전체 글108 束 묶을 속, 剌 어그러질 랄, 速 빠를 속 , 悚 두려워할 송, 整 가지런할 정 ‘束 묶을 속’을 알아볼까요? '束' 갑골문 '東' 갑골문 천으로 물건을 포대처럼 양쪽 끝을 묶은 모양이에요. ‘東’은 포대 중간에 추가로 끈으로 묶은 모양에서 나왔는데요. 옛날에 글자가 적어서 한글자에 뜻을 추가하여 ‘동녁 동‘ 으로 사용했어요. 중국에서는 현재도 물건을 동시(東西, dongxi)라고 해요. 語彙어휘로는 約束약속 拘束令狀구속영장 門團束문단속 束縛속박 있어요. 剌 어그러질 랄, 발랄할 랄 = 束 묶을 속 + 刂(刀선칼 도) 벼를 칼(刂)로 베어 묶다(束)는 뜻이었는데, 뒤에 ‘어그러지다. 고기 뛰는 소리’ 등의 뜻으로 변하였다. 生氣潑剌생기발랄 형태가 비슷한 자로 ‘刺찌를 자, 찌를 척, 나무랄 체’ 破音字파음자로 ‘刺客(자객)이 들어와 주인을 刺殺(척살)’ 하였다.라고 읽으면 돼요. 辣.. 2018. 10. 12. 各 각각 각, 客 손님 객, 額 이마 액, 落 떨어질 락,路 길 로 各 각각 각에 대해 알아볼까혀요. 갑골문 옛날에 움막에 살았는데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텐트 입구처럼 입구가 작았어요. 그래서 한 사람씩 들어갈 수 있었는데 여기서 ‘각각‘이라는 의미가 나왔음매. 한자 음 ‘ㄱ’ 은 ㅎ, ㅇ, ㄹ 이렇게 음이 변해요. 閣 누각 각 樓閣누각 內閣내각 閣下각하 擱 모을 각,놓을 각 擱筆각필(붓을 놓음) 恪 삼갈 각 恪別각별 咯 토할 각 吐 토할 토 咯血각혈 (피를 토함) 客 손님 객 顧客고객 搭乘客탑승객 觀光客관광객 額 이마 액 額子액자 金額금액 額面價格액면가격 洛 물이름 락 洛陽낙양(지명) 落 떨어질 락 落下傘낙하산 漏落누락 落石낙석 絡 헌솜 락,이을 락 連絡연락 脈絡맥락 酪 쇠젖 락 酪農業낙농업 烙 지질 락 烙印낙인 烙畫낙화 駱 낙타 락 駱峯낙봉 駱駝橋낙타교 略 = 畧.. 2018. 10. 11. 한자 동이문자, 然 그럴 연, 伏 업드릴 복, 獻 바칠 헌, 개고기 풍습 ‘然 그럴 연’ 에 대해 알아볼까 혀요. 破字파자는 月 육肉달 월 + 犬 개 견 + 灬 불화발(火) 에요. 다음은 문자학자 고故 진태하陳泰夏 교수께서 하신 설명이에요. 개를 불에다 그슬린 것이고 그렇다는 의미가 보이지 않아요. 개를 털 채로 꺼슬려 잡았다는 것이에요. 우리 조상은 개를 잡아 먹을 때, 반드시 불에 꺼슬러 잡아먹었요. 개를 아무 때나 잡지 않고 三伏삼복 때 잡아먹었어요. ‘삼복에 개 패듯한다’는 말도 있어요. 현재에도 우리는 개를 불에 꼬실러 잡아먹어요. 이러한 풍속을 가진 민족은 우리 조상, 동이족이에요. 개고기가 최고다. 그렇지. 그렇지에서 그러하다라는 의미가 나왔어요. 字義자의는 개불고기 연 -> 꺼스를 연 -> 그럴 연 으로 변했어요. ‘그스런다’는 의미의 글자가 필요해서 불화를 추.. 2018. 10. 10. 난형난제(難兄難弟), 堇 진흙 근, 難 어려울 난, 勤 부지런할 근 難題난제라는 얘기를 가끔 듣게 되요. 수학의 난제, 선택의 난제, 경영 난제 등 이렇게 써여지지요. ‘難 어려울 난‘ 한자를 알아볼려고 해요. 破字파자를 해보면 堇진흙 근 + 隹 새 추 구성된 글자를 아무리 뜯어봐도 ‘어렵다‘는 訓훈 즉 字意자의가 떠오르지 않네요. 이해를 위해 堇 옛 字形자형, 글자 형태를 살펴볼까혀요. 갑골문 금문 전문 해서 堇 불태우는 그림 갑골문을 보면 사람이 두팔이 묶인 채, 불에 태우는 형태에요. 옛날에 기우제, 비를 祈願기원하는 祭祀제사를 지낼 때, 사람을 제물로 바쳤어요. 금문을 보면 불 모양이 흙 모양으로 字形자형이 변형된 것을 볼 수 있어요. 학자 견해로는 사람대신 토용, 사람 모양을 흙로 만든 것으로 제사 방식이 변화된 것이 반영된 것이라는 얘기가 있어요. 1. 흙 모.. 2018. 10. 9. 이전 1 ··· 23 24 25 26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