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K-PASS 케이패스– 청년·다자녀·저소득층 교통비 환급 혜택!
지방자치제가 시행하는 K-PASS(케이패스) 대중교통 환급 제도를 2024년 5월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교통비 부담이 커진 요즘, 청년·다자녀·저소득층을 포함한 대상자라면 최대 53%까지 환급받을 수 있는 제도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K-PASS 신청 대상, 적용 교통수단, 환급 조건, 적립률 등 꼭 알아야 할 정보를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K-PASS 게이패스란?

**K-PASS(케이패스)**는 정부가 교통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마련한 대중교통 요금 환급 제도입니다. 버스나 지하철 등 지정된 교통수단을 월 15회 이상 이용하면 이용 금액에 따라 일정 비율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참여 대상 및 자격 조건
- 주민등록상 K-PASS 참여 지자체에 등록된 만 19세 이상 주민
- 참여 지자체: 전국 189개 지자체 (인구 10만 미만 일부 지역 제외)
- 우대 대상:
- 청년(만 19세~34세, 청년기본법 기준)
- 저소득층(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다자녀 가정 부모(미성년 자녀 2명 이상)
K-pass 케이패스 적용 교통수단
K-PASS는 다양한 대중교통 수단에 적용됩니다.
- 시내버스, 광역버스
- 도시철도, 광역철도 (신분당선, 공항철도, GTX 포함)
적용 안 됨: KTX, SRT, 시외·고속버스, 공항버스
(※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교통수단은 제외)
K-pass 케이패스 환급 기준 및 적립률
- 지급 조건: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적립
- 월 20만 원 초과 이용 시: 초과 금액에 대해 50%만 환급 (단, 경기·인천 지역은 제외)
- 다인승 시: 1인당 이용 금액으로 나누어 적립
대상적립률 1회당 적립금, 최대 월 적립액
| 구분 | 적립률 | 금액 | 최대 환급금액 |
| 일반 | 20% | 300원 | 18,000원 |
| 청년 | 30% | 450원 | 27,000원 |
| 저소득층 | 53% | 800원 | 48,000원 |
| 다자녀 부모 (2명) | 30% | 450원 | 27,000원 |
| 다자녀 부모 (3명 이상) | 50% | 750원 | 45,000원 |
※ 환급금은 익월 카드사로 자동 지급됩니다.
K-Pass 케이패스 회원가입 및 카드 등록 방법
- 홈페이지 또는 앱 접속
- 카드번호 15~16자리 입력 → 유효성 체크
- 필수 약관 동의 후 휴대폰 or 공동인증서로 본인 인증
-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주소지 자동 검증
- 확인 불가 시, 1개월 이내 발급한 주민등록등(초)본 또는 거소 사실 증명서 등록 필요
- 필수 정보 입력 후 회원가입 완료
마무리 요약
K-PASS는 출퇴근, 통학 등으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국민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주는 정부 교통비 환급 정책입니다.
이용 조건도 간편하고 적립률도 높은 만큼, 참여 대상이라면 반드시 가입해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