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68 食 밥식,旣 이미 기, 鄕 시골 향, 饗 찬치할 향 인간이 기본적으로 필요한 세가지 衣의(옷),食식(음식),住주(집) 지요. 밥심으로 살지요. 금강산도 식후경이란 말도 있고요. 온기가 가득한 밥 상나라 시대, 식기食器 이제 밥(食 밥 식)에 대한 한자를 알아보려고 해요. 甲骨文갑골문 金文금문 小筿소전 해서楷書 食 의 갑골문에서 는 밥그룻 뚜껑이고 밥과 그릇을 나나냈어요. 飯器반기(밥 그릇)에 담긴 밥에서 김이 모락모락 피어나면서 고소한 냄새와 맛을 이미하는 에서 皀 (맛)고소할 급 이 나왔어요. 皀이 들어가는 旣 이미 기, 卽 곧 즉 , 槪 대개 개, 鄕 시골 향 등 있는습니다. '旣 이미 기' 자형字形을 살펴보려고 해요. 甲骨文갑골문 金文금문 小筿소전 '欠 하품 흡' 의 갑골문 형태에요. 머리에서 입을 크게 버린 모양을 형상화한 것이에요. 그러면 旣 의.. 2018. 10. 9. 진태하 박사, 동이족東夷族, 契 글 진태하 전 인제대학교 석좌 교수님께서 강의한 문자학 내용에서 일부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동이족東夷族하면 동쪽의 오랑캐가 아닌가? 중국이 우리 민족을 낯춰서 부른 것이 아닌가? ’ 생각하기 쉬워요. 우리는 동이東夷의 이夷를 잘못 알고 있어요. 여러분이 ‘夷’글자를 자전(사전)으로 찾으면 '오랑캐 이'로 되어있어요. 夷 자가 갑골문에 처음부터 이렇게 쓰인것이 아니어요. 夷 갑골문甲骨文 화살 추가된 甲骨文 갑골문에 이렇게 씌여졌어요. 이게 뭐같이 보여요. 여러학자들이 연구해봤는데 활의 모양이라고 보았어요. 이렇게 더 활을 상용한 사람임을 알 수 있다. 평상시 활줄을 걸어놓으면 활은 못 쓰게 되요. 평상시에 줄을 빼놓았다가 유사시 필요할 때 줄을 걸었다. 동쪽에서 활을 가지고 생활하던 사람을 위와 같이 그렸다.. 2018. 10. 8. 음담패썰, 음담패설淫談悖說 ? 지상파 TV에 '맛 있는 이야기 음담패썰’ 방송이 있어요. 음식飮食을 둘러싼 담대膽大하고 패기覇氣있는 썰이라는 의미하는 얘기가 있네요. 음담패썰을 이런 의미로 한자로 한번 써볼까요? *음담패설飮膽覇說 飮 마실 음 = 食 밥 식 + 欠 하품 흠 어휘로 음식 飮食 膽 쓸개 담 = 月 육달 월 + 詹 이를 첨 (厃 우러러볼 첨 + 八 여덟 팔 + 言 말씀 언) 어휘로 담임擔任 擔 멜 담 任 맡길 임, 전담專擔 담당擔當 어휘로 대담大膽, 와신상담臥薪嘗膽 覇 으뜸 패 = 覀 덮을 아 + 革 가죽 혁 + 月 달 월 어휘로 패기覇氣, 패권覇權 說 말씀 설 = 言 말씀 언 + 兌 바꿀 태 달랠 세 어휘로 해설자解說者, 유세遊說 厃 우러러볼 첨 갑골문자甲骨文字 참고로 厃 우러러볼 첨의 위 골문자甲骨文字를 보면 벼랑, 낭.. 2018. 10. 7. 夏 여름 하(Ha)의 어원(語源) 夏 여름 하(Ha)의 어원(語源) 초록이 춤는 계절季節인 ‘夏 여름 하’ 에 대해 알아볼까요? ‘夏 여름 하’ 는 옛날 글자 夓의 간략형簡略形 이에요. 夏의 옛 글자를 얘기하는 것은 자원字源 즉 글자의 원래 모양을 찾아서 알아보기 위해서 에요. 夓 의 파자破字 즉 글자 획劃을 풀어서 나누어 보면, 頁 머리 혈 ; 유사자 首 머리 수, 面 낯 면 𦥑 깍지낄 국 (臼 절구 구; 두개 손(两壽) 双 ) 夊 천천히걸을 쇠 ; 止 그칠 지, 舛 어지러질 천 아래 글자는 夓의 옛날 동주시대 금속에 새긴 글자에요. 동주東周 金文 소전체小篆體 (설문해자체說文解字体) 문자학자들의 몇가지 설 중에 대표적으로 ‘얼굴에 가면假面이나 관冠을 써고 옷에 새의 깃털(적우翟羽)로 장식을 하고 춤을 추는 사람(무도인舞跳人)을 모습을 .. 2018. 10. 5. 이전 1 ··· 64 65 66 6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