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8

高 높은 고, 敲 두드릴 고, 稿 볏짚, 원고 고, 嚆 울릴 효,亭 정자 정 ‘高 높은 고’에 대해 알아볼까요? 갑골문 갑골문을 보면 높은 건물아래 지면에 들어다니는 문이 있는 모양이에요. 敲 두드릴 고 推敲퇴고 推(밀 추, 밀 퇴) 推進추진 推薦추천 膏 기름 고 軟膏연고 *膏粱珍味고량진미: 살진 고기와 좋은 곡식穀食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飮食 膏 기름 고, 粱 기장 량, 珍 보배 진, 味 맛 미,광택 매 槁 마를 고 槁木고목 藁 짚 고 稻藁도고(볕짚) *席藁待罪석고대죄: 거적을 깔고 엎드려 벌(罰) 주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죄과(罪過)에 대(對)한 처분(處分)을 기다림 席 자리 석, 藁 짚고, 待 기다릴 대, 罪 죄 죄 稿 볏짚, 원고 고 寄稿기고 草稿초고 原稿원고 嚆 울릴 효 嚆矢효시 : 전쟁의 시작을 신호로 쏘는 우는 화살 효시 [출저 : 사)한국 전통무예 무사협회] 縞 명.. 2018. 10. 13.
사필귀정事必歸正, 歸 돌아갈 귀, 帚 = 箒 비 추, 𠬶 조금씩할 침 정치계에서 가끔 사필귀정事必歸正이라는 말을 한다.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길로 돌아간다라는 뜻을 가지 고사성어에요. 무슨 일이든 결국 옳은 이치대로 돌아간다‘라는 뜻으로 올바르지 못 한 것과 행동이 순간 기승을 부리고 잘 풀리는 것 같지만 결국에는 오래가지 못하고 밝혀지기 마련이에요. 유사한 사자성어로 인과응보因果應報가 있어요. 事 일사, 必 반드시 필, 歸 = 㱕,䢜,帰 돌아갈 귀, 正 바를 정 ‘歸 돌아갈 귀, 시집갈 귀’의 파자破字는 𠂤 (堆) 쌓을 퇴 + 止 그칠지 + 帚 빗자루 추 이다. 갑골문 수수깡 빗자루 갑골문자를 보면 오른쪽이 빗자루 모양이고 왼쪽이 빗자루로 쓸어서 무엇인가 쌓여있는 모양이에요. 집안에 여자(婦)가 빗자루로 청소하는 모습에서 시집가다(嫁)라는 의미가 나왔고 후에 ‘止그칠지‘.. 2018. 10. 12.
한자 동이문자, 秋가을 추, 愁 시름 수, 鰍 미꾸라리 추 ‘秋가을 추’는 처음부터 이런 자형字形은 아니었어요. 갑골문 금문 전문 벼에 앉아 있는 메뚜기 위와 같이 자형이 변하여 오늘 날 모양이 되었어요. 특히 갑골문을 보면 메뚜기 밑에 불이 있는 모양이에요. 농작물을 해치는 메뚜기 떼를 잡기 위해서 들에 불을 놓았다는 풀이가 있고 메뚜기를 불에 굽는다는 해석도 있어요. 고故 진태하陳太夏 박사님은 메뚜기를 잡아 구워 먹는 우리민족, 동이족의 습속을 나타낸 것이라고 설명하셨어요. 중국 사람은 메뚜기를 황충蝗蟲 즉 벌레라고 먹지 않아요. 추수秋收를 앞둔 황금 들판에는 메뚜기가 후둑후둑 튀었어요. 애릴적에 동무들과 들판을 돌아다니며 벼에 붙어 있는 메뚜기를 잡아서 한 줄로 총종 엮어서 불에도 구워먹기도 했지요. 秋의 옜 본자 𥤚가 라고 하는데 우측 ‘龜 거북 귀’ 이.. 2018. 10. 12.
柬 가릴 간, 揀 가릴 간, 諫 간할 간, 煉 = 鍊 (쇠)달굴,불릴 련, 闌 가로막을 란 ‘柬 가릴 간’ 알아볼까요? 束 묶을 속 갑골문 여덟 팔 柬 갑골문 ‘束 묶을 속’처럼 천으로 물건을 포대처럼 양쪽 끝을 묶은 모양에서 ‘八‘모양이 추가되어 물건에 가린다라는 자의字意가 나왔어요. 揀 가릴 간 揀擇간택 分揀분간 왕실 어른이 왕비 간택 심사하는 모습 諫 간할 간 諫言간언 諫果간과 煉 = 鍊 (쇠)달굴,불릴 련 煉炭연탄 鍊丹연단 無糖煉乳무당연유 練 익힐 련 猛訓練맹훈련 練習帳연습장 洗練세련 未練미련 闌 가로막을 란 闌入난입 爛 (불)문드러질 란 輝煌燦爛휘황찬란 絢爛현란 爛商討論난상토론 欄 난간 란 欄干난간 本欄본란 空欄공란(빈칸) 蘭 난초 난 蘭草난초 金蘭之契금란지게 瀾 물결 란 波瀾曲折파란곡절 2018. 10.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