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8

犮 달릴 발, 拔 뺄 발, 기발奇拔, 奇 기이할 기, 騎 말탈 기 요즘 국정감사장, 줄여서 국감장에서 국회의원님께서 카메라에 조명을 받기 위해 기발奇拔한 연출을 하고 있어요. ‘기발한 연출’, ‘기발한 발상’ 에 사용되는 ‘기발’ 어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발奇拔 은 ‘보기 드물게 이상하고 묘하다, 재치가 있고 유달리 뛰어나다‘ 라는 뜻이에요. 한자로 ‘奇 기이할 기’, ‘拔 뺄 발’ 인데요 ‘奇 기이할 기’부터 알아볼까 혀요. 갑골문 전문 달리는 말에서 등을 돌려서 활을 쏘는 기사騎射 위 '奇' 갑골문자를 보면 어떤 동물(말) 등 위에 사람이 타고 있는 모습이에요. 해서체는 글자 형태는 변해서 大 와 可 로 구성된 奇 가 되었어요. 고대 중원의 중국사람은 유목민족의 습속인 승마乘馬, 기마騎馬 즉 말을 타는 것을 일상 생활에서 보기 어려웠어요. 말을 탄 사람을 보는.. 2018. 10. 22.
역린逆鱗, 逆 거스릴 역, 鱗 비늘 린, 粦 도깨비불 린 역린逆鱗이라는 어휘를 아주 드물게 듣게 돼요. 영화 역린이 있었고요. ‘故 고무현의 역린‘ 이란 표현도 있었고요. 역린, 좀 생소한 말인데 알아볼까혀요. 역린은 ‘逆 거스릴 역’, ‘鱗 비늘 린’ 으로 용의 가슴에 거꾸로 난 비늘이란 뜻인데 ‘용의 비늘을 건드리면 용이 크게 노하여 사람을 반드시 죽여버린다‘ 라는 말에 연유하여 , 임금의 분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에요. 逆 거스릴 역 = 屰 거스릴 역 + 辶(辵) 쉬엄쉬엄갈 착 옛난 갑골문을 보면 사람이 내가 가는 방향과 반대로 거슬러서 오고 있는 모양이 에요. 그래서 ‘거스르다’, ‘처음으로 가다’를 뜻하고 확대되어 ‘배반하다’, ‘맞다’, ‘반란’ 의미를 갖게 되었어요. 鱗 비늘 린 = 魚 고기 어 + 粦 도깨비불 린 갑 粦 도깨비 불(鬼燐) 사람.. 2018. 10. 19.
창궐猖獗, 야귀夜鬼, 猖 미처날뛸 창, 獗 날뛸 궐, 狂 미칠 광 창궐猖獗 이라는 영화映畵가 개봉 예정이라고 합니다. 밤에만 활동하는 ‘야귀(夜鬼)’의 창궐猖獗을 막고, 조선을 구하기 위한 이청 役(현빈), 박종사관役(조우진), 김자준役(장동권)의 사투를 그린 액션 블록버스터. * 야귀(夜鬼) 밤귀신 ; 夜 밤 야, 鬼 귀신 귀 이낙연 국무총리님 曰, ‘가짜 뉴스가 창궐한다‘는 기사도 있었네요. 창궐, 조금 생소한 단어인데 인터넷을 찾아보니까 창궐은 전염병(傳染病)이나 부정적(否定的)인 세력(勢力)이 세상(世上)을 휩쓸어 퍼지거나 날뛰는 것을 말한다네요. 창궐猖獗에 대해 한자를 알아볼까혀요. 猖 미처날뛸 창 = 犭(犬 개 견) 개사슴록변 + 昌 창성할 창 중국, 광견이 사람을 공격하는 뉴스 ‘犭‘ 이 미처날뛴다는 뜻을 갖게 되는데 개 모양에서 이런 의미가 나왔을까요? .. 2018. 10. 18.
輨 줏대 관, 車 수레 거, 輪 바퀴 륜, 帥 장수 수, 官 관청 관 ‘帥 장수 수’에 대해 알아볼까혀요. 갑골문 갑골문의 왼쪽은 두손으로 어떤 물건을 잡고 있는 모양인데 작대기(지휘봉指揮棒)이나 칼(刀)을 잡고 있는 모습이에요. 오른쪽은 수건巾 인데 천, 깃발로 볼수 있어요. 나무나 장대에 깃발(旗)을 걸어 놓은 모양으로 볼수 있어요. 군사가 주둔한 언덕의 깃발을 중심으로 칼로 지휘하는 장수將帥라는 의미에요. 장수에서 ‘거느리다.(䢦, 率 )’ 뜻이 나왔어요. 군대 깃발을 기치旗幟라고 혀요. ‘帥 장수 수, 거느릴 솔’ = 𠂤 언덕 부 + 巾 수건 건 국제관함식 일출봉함 帥字旗수자기 참고로 옛날에 언덕은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신성한 곳으로 모(旄)라는 깃발이 세웠어요. 이러한 천, 깃발을 거는 풍속은 무당집에 깃발이 걸려있고요. 절에 가면 당간지주(幢竿支柱)가 있고 서낭.. 2018. 10.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