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르(Bulgar) 왕가 두로(Dulo)는 흉노 도각(匈奴 屠各)에서 유래

 

1. 서돌궐 (개화살족 , Onoq, ten arrow tribe)  


                        서돌궐 부족 ( Western Turk Tribe ) 

 

서돌궐 西突闕 Western Turk, 593~659) 이쉬바라 칸( Ishbara Ilterish Qagan, 

沙鉢羅 咥利失 可汗, 634~639)의 통치 시대에 오노크 (Onoq, ten arrow tribe)로 알려졌다

오노크(On-Oq)는 투르크어 ‘On 은 열(, ten)’, ‘Oq 는 화살(, Arrow)’ 로 열개 화살(십전十箭, ten arrow)이란 의미이다.

오노크(On-Oq)는 구성하는 두개부족 연맹의 수장에게 칸(Khan)이 하사했던 열 개 화살을 의미한다. 샤드(Shade ; Chor )는 하나의 부락 우두머리를 뜻한다.

 [참고, 신당서(新唐書 Xintangshu) 십성부락(十姓部落 shixing buluo)]

 

2. 두로(DuloTuru 咄陸) 명칭 유래

두 개 부족, 두로(Dulo Дуло 돌륙咄陸, c. 603-651)과 누쉬피족(Nushipi , 로실필弩失筆)의 땅은 수이아브(Suy-ab, 쇄엽(碎葉))을 사이에 동()과 서(西)로 나뉘져 있었다. 쇄엽(碎葉)은 현재 키르키즈 추강(River Chu)와 톡마크(Tokmak) 지역을 말한다.

咄陸(돌륙 Duolu, Tolu, Turu) 은 중국 고서에 咄六, 都六, 都陸 기록되어 있다.

두로(Dulo 咄陸)는 흉노(Xiongnu 匈奴)의 선우(單于, Shanyu ; Khan)를 배출한 부족(部族, tribe)도각(屠各 Tuko)’ 명칭과 관련있다고 본다. (중국 중세어 D'uo'Klo). ‘도각(屠各 Tuko)’ 은 독고(獨孤 Tuku)로 표현할 수 있고 연제(攣鞮, 虛連題), 돌륙(咄陸), 철불(鐵弗), 파륙한(破六韓) 등은 동족(同族)이다.

남흉노(南匈奴, Southern Xiongnu)에서 도각종(屠各種, Tuko Kinds )이 가장 호귀(豪貴,세력이 강하고 존귀함)하므로 선우(單于)가 되어 여러 종()들을 통령(統領)할 수 있다.

[ 진서(晉書 JinShu)사이전(四夷傳 Shaijun) 흉노전(匈奴傳 Xiongnu zhuàn ]

좌현왕(左賢王)은 항상 태자(太子)를 좌도기왕(左屠耆王)으로 삼았다흉노어(匈奴語)(, wise)屠耆(도기, tuqi)라 한다

[ 사기(史記 Shǐjì ) 흉노열전(匈奴烈傳 Xiongnu lièzhuàn) ]

두로(Dulo)씨족의 이름은 철륵(鐵勒, Tölöš Tölis)에서 유래됐다는 견해도 있다.


                       불가르 계보 (Bulgar tree,  弗加

 

두로(Dulo, 咄陸)의 족장 쿠브라트 (Kubrat, 632~665) 휘하의 불가족(Bulgarian, 弗加)은 서돌궐 칸국으로 분리되어 나갔다.    돌궐 중부는 아시나(Ashina, 아사나阿史那) 왕조의 한 지파의 주도로 하자르(Khazaria 가살돌궐可薩突厥)가 재탄생했다.

두로가(Dulo )로 알려진 두로씨족(Dulo clan, 咄陸氏族)은 초기 불가르(Bulgars)의 지배왕조 이름이다. 이들은 불가르(Bulagr)와 아바르(Avar)의 오노구르(Patria Onoguria, Onoğundur (Vh'ndur) Bulğars )를 창업한 구브라트(Kubrat, Kurt)의 후예들이다.

 

3. 두로문장(咄陸紋章, Dulo Family Sign)


                                두로문장(咄陸紋章, Dulo Family Sign)


1. 양끝에 있는 기둥 모양은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것이다

(, Shaman)’의 갑골문(甲骨文)으로 가로 부분을 지우면 와 같이 된다.    ‘와 같이 원래 북극칠성(北斗七星, the Big Dipper)이 움직이는 모양을 본떠서 맨들었다

2. 중앙모양은 포크 모양으로 염소나 소 머리 모양으로 와 같은 옛 토템(Totem) 모습이다.

두로족이 하늘을 섬겼음 알 수 있다.   아스파르흐 칸 (Asparukh Khan)은 비잔틴 제국의 콘스탄티누스 4세는와 결전을 앞두고 하늘을 향해 단군(檀君 Dangun, Dangur, Tangra, Tengri)에게 승전을 기원하는 제천(祭天)의식을 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우크라이나(Ukraine) 국장                          크리미아(Crimea) 국장

두로씨족의 족휘(族徽, Totem)는 삼지창(三枝槍) 모양으로 불가 왕조 문장과 우크라이나(Ukraine), 크리미아(Crimea) 국가 상징으로 채책됐다.

 

4. 보야르(Boyar) 명칭 유래

보야르(Boyar)는 국가 조직의 지배 귀족으로 평의회를 통해 군주(君主 Prince, 불가리아는 Tsar)', 대공(大公)에게 조언을 했다. 이 지위는 오늘날의 핀란드와 러시아에도 파야리(Pajari)라는 성()으로 남아 존재한다.

 

보야르(Boyar, 불가어 Bolyar)는 불가르(Bulgar)족 사이에서 고위 귀족을 의미했던 Boila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는데 이 말은 Boilar 혹은 Bilyar에서 Bolyar, Bolyarin 으로 변화하였을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