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칼 홍류(紅柳 붉은 버드나무; Краснотал Верба, Siberia purple willow)

    부리야트공화국의 수도인 울란우데(Улаан-Үдэ)인데 울란(Улаан)은 몽골어로 붉다(Red)라는 뜻이고 우데(Үдэ)는 문(관문, Gateway)으로 ‘붉은 문’ 즉 홍문(紅門)이라는 뜻이다.  몽골 수도는 Улаан баатар(울란바토르)으로 동일하게 Улаан(울란)이 들어가고  баатар(바타르)는 영웅(英雄, Hero)이라는 뜻이고 그래서 울란바토르는 붉은 영웅이라는 뜻이다.  баатар(바타르)는 우리말 ‘배달’, ‘배다르’와 관계가 있다.

   울란우데는 셀렝가 강(Selenge River)과 우다 강(Үдэ гол, Uda River)이 만나는 곳에서 우다강 위쪽 분지에 위치하고 울란 부르칸(Улаан бургааhан, Ulan-Burgas) 산맥의 시작점이기도 하다.  셀렝가 강(Selenge River)은 한자로 설련하(偰輦河)이고 이 지역에 살던 설연타(薛延陀, Syr Tarduš) 부족이 자신의 성씨를 설씨(偰氏)로 삼았고 고려 때 설손(偰遜)이 귀화하여 경주 썰씨의 시조가 되었다.

   울란 부르칸(Улаан бургааhан, Ru Улан-Бургасы, Ro Ulan-Burgas)은 부리야트 몽골어로 부르칸(бургааһан)은 버드나무(willow)라는 뜻으로 붉은 버드나무 산맥을 말한다. 우드강의 지류인 커버강(Kurba River) 상류에 앙기르(Angir)라는 마을이 있는데 여기에 신석기 시대 동물 암각화가 있다.

앙기르(Angir) 동물 암각화 안내판, 부리야트공화국(Buryat)

앙기르(Angir) 동물 암각화 , 부리야트공화국(Buryat)

강원도 자작나무 : 높이 10~25m, 지름 20~40cm 정도 자라는 낙엽 활엽 교목 (사진 촬영자 : Sokey님)

붉은 버드나무(Краснотал Верба, lat. Salix acutifolia, Siberia)

   베르바(Верба, Verba)는 날카로운 잎을 가진 버드나무로((lat. Salix acutifolia))로 버드나무 (Salix)속으로 러시아와 동아시아에 자생하고 시베리아 보라색 버드나무(Siberia Violet-Willow), 붉은 관목 베르바(Краснотал Верба), 쉘유가(шелюга)로 알려진다.   이 나무는 최대 10-12m 높이로 자라거나 관목으로 가지는 얇고 길며 막대 모양이며 유연하고 적갈색이며 꽃봉우리가 있으면 밝은 빨강이지만 그렇지 않으면 달걀 같은 노란색입니다.

산 기슭 붉은 버드나무 군락, 시베리아

 자작나무 사이에 있는 붉은 버드나무, 시베리아

꽃순이 돋아난 붉은 버드나무

붉은 버드나무로 만든 바구니

붉은 버드나무로 만든 장식품  

  북아시아 지역의 저지대나 물가 주변에서 군락을 이루며 자생하는 버드나무는 유목민족들에게 치병목(治病木)으로 간주될 만큼 중시를 받고 있다.   1) 사실 의학적으로 버드나무는 그 껍질에 아스피린의 유도체인 살리실산(Salicilic acid)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진통 억제의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2) 또한 버드나무는 치병 역할만이 아니라 3) 유목민족들의 생존에 필요한 주거용의 골재(oni, онь) 및 화살대의 재료까지 제공해준다.

  부르칸(бургааhан, Burqan)은 몽골말로 버드나무(Верба, Verba), 불교용어 부다(Budda) 그리고 탱그리(Тенгри, Tengri)와 유사한 ‘하느님’을 뜻을 가진다.  타이가 숲의 자작나무는 하늘에 맞닿고 물가의 붉은 버드나무는 추운 땅에 불과 새생명 그리고 치유를 뜻하는 신앙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나나이족(那乃族, Nanai 또는 허저(중국어: 赫哲 Heje)말로 버드나무를 부르칸(Burqan, 불함不咸 : 하느님)이라고 하는데 만주지역에서 보드마마 신앙은 버들아기(유화柳花)에서 버들어미(홍류화紅柳花)가 되어 하늘 자손을 잉태하는 모태로서 하느님을 말하는데 고구려(Koguryeo, Когурё) 시조 주몽(Jumong, Цолмон)의 어머니 유화(柳花,  the goddess of willow)에 대한 모태회귀신앙과 연관된다.

[참고 : 강원대 주재혁 교,수 경향신문 컬럼]

훌룬부이르 몽골스텝 헤름투-칭기스칸의 초야 "오르둥" 궁성지(宮城址)의 홍류(紅柳): 보드마마 오보

[출처: 2003. 7월 13일 최낙민 작가 작품]

김씨(金氏)의 조상, 소호금천(少昊金天)은 알타이어  Согоо(소고) '암사슴' 과 Алтан(알튼) '황금'에서 유래했다.

 

북방민족은 초원지대에 양유목을 하며 생활하였는데 양 유목 보다 순록 유목이 먼저 되었다.

현재까도 노르웨이 북부, 러시아 투바족 차탕족(Tsaatan) 그리고 에벤키족(Эвенки) 또는 중국어로 어원커족(鄂温克族)은 순록 유목을 하고 있다.

특히 순록은 북극 툰드라 산림지대에서 이끼를 주 먹이로 한다. 

순록은 고대에 잡아먹기도 했지만 신령한 동물로 여겨 숭배하기도 했다.

산타할배의 설매를 끄는 동물이 순록이다.

 

 

고구려 도성 졸본 卒本 Jolbon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졸본은 홀본 忽本 Holbon 또는 솔본 solbon 으로 불기도 합니다.

졸본은 샛별, 금성 Geumsung 金星 Vinus 라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투르크어로 촐본 Cholbon 입니다. 금성은 저녁나절 서쪽하늘과 새벽

동쪽하늘 모퉁이에서 볼 수 있고 북극성 처럼 별자리 변동이 없어서

옛날에 유목민의 갈 길을 인도해주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김지하 시인 문명의 시원을 찾아서에서 내용에서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시 입구에 흰돌로 쌓아 만든 알바벳 초폰아타 Chopon Ota

있었다고 합니다사학자 정형진님 수시아나에서  온 환웅, 일빛 2006’ 에서

초본아타는 기마민족 이동 궤적 중의 하나이고 고깔모자 루트상에서 발견된다고 합니다.

 

이시쿨 Issykkul 호수에 촐본아타라는 마을이 있다고 하고 의미는 금성의 고향입니다.

 

시베리아 사하공하국에 촐본 Cholbon 이라는 지명이 있습니다.

 

단군의 나라, 카자흐스탄

김정민 박사 약력

1992~1996     연세대학교 경법대학 행정학과 졸업

2007~2009     카자흐스탄 KIMEP대학 국제관계학 석사

2009~2012     카자흐스탄 카즈구대학 국제관계학 박사

2012~2014     몽골국립대학 국제관계학과 박사

까페  북방아시아 공동문화연구소 http://cafe.naver.com/altaitengrilab

관련단체 참한桓우리역사모임  cafe.daum.net/CoreaChamhanHisstory

월간 '옛역사알리고'



카자흐어에는 한자로 표기하지 않는 순수 우리말과 유사한 말들이 많습니다.

몽골어도 마찬가지로 순수 우리말과 유사한 말들이 많습니다.


우리민족은 고인돌 유적에서 북방계 형식과 남방계 형식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언어에서도 마찬가지로 농사와 관련이 있는 말들은 남방계 인도의 드라비다어와 유사합니다.
북방계 유목민족과 관련된 말, 즉 동물들의 이름들과 사람을 가리키는 말은 북방계 유목민족의 언어와 유사합니다.


유목생활을 하던 북방계 기마민족이 핵심적인 주류를 이루지만 벼농사를 짓는 남방계 민족(이들도 환국의 후예)도 합해져서 한민족을 이루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민족을 동이족 혹은 구이(九夷)족으로 불렀습니다.

한국어는 알타이계 언어에서 퉁구스어족에 속합니다. 


그렇다면 퉁그스는 무엇일까요?


중국 사람들은 고대에 토카스족이 살았고 그들이 중화민족이라고 주장을 합니다.
그러나 사실 토카스는 퉁구스의 발음을 한자로 기록한 음차 문자입니다.


토카스는 도화석인데 복숭아 도 자를 썼습니다.
복숭아 나무의 원산지는 파미르 지역입니다.


그리고 장남(첫째 아들)이라는 단어가 카자흐스탄의 언어로는 퉁구슈입니다.


북방 유목민의 풍습은 재산을 막내에게 물려줍니다.

아버지가 젊었을 때 낳은 자식들은 지식이나 생존 기술을 가르쳐줘서 독립을 할 수 있게 다 가르쳐 줍니다.
늙어서 낳은 막내 자식은 뭘 가르쳐 주기가 어렵기 때문에 결국 막내한테 재산을 물려줍니다.
형님들은 아버지가 살던 집을 떠나야 합니다.


그러니까 파미르 지역에서 우리민족이 기원을 했는데 막내 민족을 남겨두고 가장 먼저 떠나온 장자 민족이 우리민족입니다.
숫자 9를 뜻하는 토그즈란 말도 동이족(동이구족) 또는 구이(九夷)족이라는 한민족을 뜻하는 말인 퉁구스와 같은 말입니다.
구이족은 원래 발음이 퉁구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유라시아의 역사를 공부하면서 느낀점은 한 뿌리에서 갈라져 나온 것은 맞지만 모두 한민족이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고 저들이 모두 우리 형제 민족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실크로드 주변의 무덤에서 동양인과 서양인의 DNA가 동시에 함께 나타납니다.

환국이라는 나라는 고대에 하나의 세계 정부, 세계를 하나로 묶는 연방 시스템이 존재하다가 그것이 무너지면서 민족별로 갈라져서 오늘날에 이르렀다고 볼 수 밖에 없는 결론에 도달합니다.

온 인류가 형제임을 깨닫고, 인류공동의 역사라는 관점을 가져야 합니다.

삼족오(三足烏) 이야기

▲고구려 고분에서 발견된 삼족오 그림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자주 보이는 삼족오(三足烏)는 태양안에서 산다는 세 발 달린 상상의 까마귀이다. 중국 집안(集安)시 '오회분 4묘호' 벽화에는 원(태양) 안에서 날개를 반원형으로 펼치고 서있는 삼족오가 그려져 있고, 평양 덕흥리 고분과 강서중묘에는 해 속의 현조(玄鳥)가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모습이 뚜렷하게 보인다. 

 미술사 전공인 김주미(51) 박사가 단국대 대학원 사학과(고고 미술사 전공)에 제출한 박사학위 논문을 다듬어 펴낸 <한민족과 해 속의 삼족오>는 둥근 태양 안에 검은 까마귀를 결합한 일상문(日象文), 즉 '해 속의 삼족오'가 한국문화에서 어떻게 형성됐고, 시대별로 어떤 변화를 거쳐 현대에 이르는지를 광범위하게 분석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다양한 일상문(日象文). 왼쪽부터 5세기 말 <쌍영총>, 6세기 중반 <오회분 5호묘> 복희, 여와상, 6세기 중반 <오회분 4호묘>

 김씨는 4세기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처음 등장하는 '해 속의 삼족오' 문양이 그와 같은 도상(圖像)의 틀을 갖추게 된 배경에는 예부터 전승되어 온 태양숭배 및 솟대신앙, 난생(卵生)설화 등의 새(鳥) 토템이 긴밀하게 연계돼 있다고 분석했다. 태양과 까마귀와의 연계성은 <동국이상국집> '동명왕편'에서 태양의 화신인 해모수가 머리에 까마귀 깃털로 만든 오우관(烏羽冠)을 쓴 것에서 연원을 찾을 수 있다고 했다.

 특히 고구려 고분벽화 이후 일상문의 시기별 양식 변천이 흥미롭다. 정치적 안정기와 전성기에는 삼족오가 원안에서 날개를 접고 있는 모습이 많고, 외세의 침입 등으로 자주(自主)의식이 고양되는 시기에는 날개를 활짝 편 삼족오를, 극도의 정치 혼란기에는 태양 속에서 날아가는 삼족오를 주로 표현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고구려 때는 6세기 중반을 전후해 날개를 접고 있는 삼족오에서 날개를 활짝 편 모습이 많아졌다. 그러다 고려 초기에는 삼족오 없는 원만으로 구성된 일상문이 나타났다가 거란의 침입 후 고구려 계승 의식이 강하게 제기되면서 개성의 현화사비(1022년), 원주의 지광국사현묘탑비(1085년)를 통해 태양과 삼족오가 결합된 일상문이 다시 나타난다. 현화사비와 지광국사현묘탑비의 삼족오는 날개를 활짝 펼친 채 서 있고, 꼬리 깃털을 위로 높이 치켜 말아올린 것이 특징이다.

 

▲고려시대 법천사 지광국사현묘탑비에 새겨진 삼족오

 김씨는 "해 속에 보이는 삼족오는 단순한 까마귀가 아니라 상서로운을 가져다주는 서조(瑞鳥)의 상징이고, 나중에는 주작이나 봉황으로 바뀌었다." 며 "한국의 일상문 전통은 고구려 이후 현재까지 대통령 문장(紋章)과 국새장식에 사용되면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씨는 "생명과 아침을 상징하는 붉은 태양 안에 죽음과 밤을 의미하는 까마귀와 같은 현조(玄鳥)를 함께 표현한 것은 생성과 소멸이 경계 없는 동반자라는 우주론을 함축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이글거리는 태양속에 세 발 달린 까마귀 일종인 삼족오를 결합한 일상문...

최근 일각에서 이를 동이족(東夷族), 혹은 한(韓)민족의 고유한 전통과 연결하려는 경향이 일고 있다. 이 때문인지 중국이 추진한 역사 프로젝트인 이른바 동북공정과 맞물려 삼족오 또한 논쟁에 휘말리기도 한다.

 미술사 전공인 김주미 박사가 단국대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에 제출한 박사 학위 논문을 손질해 최근 선보인 단행본 '한(韓) 민족과 해 속의 삼족오'는 삼족오를 한국의 전통에서 유래한 유산으로 간주하려는 시각을 비교적 명료하게 드러낸다.

저자 자신도 삼족오가 들어앉은 일상문연구를 시작할 때 "동북공정에 대응할 수 있는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고 이를 체계화 시켜야겠다고 생각했다."고 고백했다. 이런 문양의 시원(始源)을 중국이라고 주장하는 중국 학계에 맞서 그것이 한민족 전통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을 증명하겠다는 의지가 읽히는 대목이다.

 이런 저자의 시각은 한국문화에서 일상문이 언제, 어떤 배경 아래서 등장하고 시대별로는 삼국시대와 통일신라,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전개됬는지를 광범위하게 분석한 이 책 곳곳에서 표출된다. 예컨대 저자는 삼족오가 들어앉은 태양 문양이 등장하는 주요한 배경으로 태양 숭배와 새 토템(솟대신앙과 난생설화)의 두 가지를 거론하면서 그것이 태동한 문화권으로 동이족을 지목했다.

 나아가 이런 일상문이 지금의 중국 서북방에 거주하던 동이족이 남하하면서 한쪽 갈래는 산동지역으로 들어가 중국 문화권에 영향을 주어 한(漢)나라 이후에 삼족오 문양이 등장하게 됐으며 다른 한 갈래는 만주와 한반도를 거쳐 일본에까지 들어갔다고 주장한다.

이런 시각에 따르면 중국 문화권에 보이는 해 속의 삼족오 문양도 결국은 한(韓)민족 전통에서 유래한 것이므로 그것이 중국 문명의 고유한 발명품이라는 주장은 근거를 상실한다. 이런 방식으로 저자는 시종일관 일상문의 특허가 우리 민족에게 있다고 역설한다.

 그렇지만 저자의 이 같은 주장이 워낙 강하게 표출되면서 국내 학계에서 일상문 연구를 최초로 체계화했다고 해야 할 이번 연구성과의 의의를 스스로 깎아내린 게 아닌가 하는 아쉬움도 없지 않다. 그럼에도 막상 일상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그것을 뛰어넘는 그 무엇이 '해 속의 삼족오'에 함축되어 있음을 점차 인식하게 됐다."는 저자의 고백처럼 책에는 새로운 내영이 적지 않다.

 실제로 한국문화 속 일상문 자체는 물론이고 중국의 그것과 광범위한 고고미술자료를 동원해 비교 고찰한 분석 내용 중에는 참신한 내용이 많다. 예컨대 저자는 해 속에 보이는 삼족오를 단순한 까마귀가 아니라 상서로움을 가져다주는 현조(玄鳥)라는 말로 치환해 그것이 나중에는 주작이나 봉황으로 바뀌었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생명과 아침을 상징하는 붉은 태양 안에 죽음과 밤을 의미하는 현조를 함께 표현한 곳은 밤이 지나면 아침이 오듯이 생명과 소멸은 경계없는 동반자라는 우주론을 함축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고구려의 건국과정을 그린 <주몽>을 보면 동부여의 신녀(神女) 여미을에게 '삼족오'가 나타나는 장면이 화면을 가득 메운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그려진 바로 그 삼족오이다. 앞서 우리나라 새로운 국새(國璽)의 손잡이로 삼족오가 가장 많이 제안됐다는 것까지, 삼족오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런데 바다 건너 일본 축구의 상징물에도 삼족오 형상이 박혀 있다고 하니, 이건 또 어찌된 영문일까?

 

▲고구려 벽화의 삼족오(왼쪽)과 일본 대표팀의 삼족오 마크

 

최근 방송사마다 경쟁하듯이 기획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찬란한 북방역사인 고조선, 고구려, 발해, 관련 드라마, 그리고 곧 있을 돌일 월드컵을 앞두고 한국과 일본에 고조되는 민족주의 열풍, 이러한 시점에서 삼족오에 숨어있는 역사정신과 철학을 살펴보는 것도 의미심장하리라 본다.

 

                 
▲태양속에 나타나는 삼족오 문양

 세 발 달린 까마귀, 삼족오(三足烏)는 태양 안에 살면서 천상의 신(神)들과 인간세계를 이어주는 신성한 새(神鳥)이다.

삼족오는 태양의 사자로 알려져 있는데, 고대 동아시아의 태양숭배사상과 관련이 깊다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다. 삼족오는 광명숭배의 원 뿌리로서 동아시아의 천자국이었던 배달, 단군조선, 북부여, 고구려의 상징이다. 다시 말해 천손(天孫-하늘 백성)의식을 갖고 있던 한민족 고유의 상징인 것이다.

 그런데 삼족오의 다리는 왜 셋이며 왜 하필 불길한 새로 알려진 까마귀이며 또 검은 새일까?

이는 한민족의 역사정신이 왜곡된 오늘날 우리민족의 고유철학을 모르고선 그 의미를 알기 어렵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그려진 삼족오 형상을 보면 검은 새로서 하나의 몸통에 세 개의 발이 달려있다. 이것이 바로 한민족의 '삼신일체(三神一體)와 광명정신'을 역사상에 현실화시켜 이상세계를 구현하려는 철학을 상징한 것이다.

 삼신일체란 무엇인가? 우주 천리를 크게 깨우친 동방의 한민족은 천지이법의 대도(大道)를 인간역사속에 적용했다. 즉 천일(天一), 지일(地一), 태일(太一)의 삼신 하느님의 삼신일체의 도를 크게 깨쳐서 하늘의 광명정신을 통치원리에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단군조선시대의 삼한관경제(三韓管境制)이다.

 또한 신교의 우주원리인 음양오행에서 검은색은 북방을 상징하는 색으로 상수로는 1수(水)의 기운을 의미한다. 북방 1수는 우주만물의 생명과 역사의 근원을 의미한다. 즉, 우리민족이 인류 태초 문명의 시원국임을 천리로 상징화한 것이다. 그런데 중국 한족은 그들의 정체성이 확립된 한(漢)나라 때에 와서 동이족의 천자국 상징인 삼족오를 불길한 새로 폄하시켰다. 우리민족도 그 영향을 받아 까마귀가 흉조라는 선입견을 갖게 되었다.

 

             
▲삼족오 문양

 

고구려 이후 우리 역사에 나타나는 삼족오










▲고려 무신 원주부원군 대은 변안렬(邊安烈 1334~1390)의 신도비에 새겨진 삼족오 문양

 

 







▲경기도 남양주에는 삼족오와 옥토끼가 새겨진 비석이 하나 있다. 조선 초 연산군을 몰아낸 중종반정의 주역 박원종의 묘 아래 아들 박운의 묘가 자리하고 있는데 그곳에 세워진 묘비 앞면에 삼족오가 새겨져 있으며 뒷변에는 옥토끼가 방아를 찧는 그림으로 새겨져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