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족은

탁발부(拓跋部) (代, 北魏), 모용부(慕容部) (前燕, 後燕, 西燕, 南燕), 단부(段部) , 우문부(宇文部) (北周), 흘복부(乞伏部) (西秦), 독발부(禿髪部) (南涼) 6 부족이 있고 선비족의 정체성이 강한 부족은 탁발부, 모용부입니다.

중국

魏書·官氏志》记载:南北朝北魏代北地區複姓阿單氏、紇單氏,皆改為漢姓單氏

위서 성씨 관지에 기록하기를 남북조시대 북위는 북쪽에 복성 하단씨, 걸단씨있는데 한나라 성 단씨로 개명하였다.

單姓名人[编辑] 단씨 이름있는 사람

  • 单经:三国时代,公孙瓒部下 단경, 삼국시대 공손찬 부하
  • 單雄信:隋末唐初名將 단웅신, 수말당초 명장
  • 單父:宋代人 단부 송대인
  • 單仲升:元代孝子 단중승 원대효자 
  • 單立文:香港知名歌手、演員 단입문 홍콩지명가수 연원
  • 單田芳:著名評書表演藝術家 단전방 표현예술가
  • 單仲偕:香港政治人物 단중해 홍콩 정치인물
  • 單慧珠:香港導演  단혜주 홍공도연
  • 单之蔷:中国国家地理执行总编 단지장 중국국가 지리
  • 單國璽:台灣天主教樞機主教 단국이 대만 천주교 주교

天下大朝鮮之姓

 魏書 官氏志위서 관씨지 북위(北魏) 386~557

自古天子立德,因生以賜姓,胙之土而命之氏.

자고천자립덕,인생이사성,조지토이명지씨.

 고대古代 천자天子는 성(姓)을 주고, 땅(地)을 나누어주고 씨(氏)를 명(命)하였다.

 “예” 진시황제(秦始皇帝)는 성(姓)이 영(嬴)이고,

씨(氏)는 조(趙)이다.

 “예” 강태공(姜太公) 려상(呂尙)은 성(姓)이 강(姜)이고, 씨(氏)는 려(呂)이다.

 후세(後世) 위(魏),진(晉)이후 부터는 姓과 氏를 혼용(混用)하였다.

서계(書契) 즉 인류(人類) 세계최초(世界最初)의 귀갑기호(龜甲記號) 갑골문자(甲骨文字), 기원전(紀元前) 일만년경(一萬年頃) 이후(以後)에 제국(帝國)의 시조(始祖) 천황 태호복희씨(天皇 太皥伏犧氏), 인황 염제신농씨(人皇 炎帝神農氏), 지황 황제헌원씨(地皇 黃帝軒轅氏), 오제 소호금천씨(五帝 少昊金天氏), 오제 전욱고양씨(五帝 顓頊高陽氏)는 룡(龍),화(火),운(雲),조(鳥),정(正)의

관직(官職)으로 나라를 다스렸으며,

 

호(號)단군(檀君) 즉(卽) 당요(唐堯),우순(虞舜)과 삼대(三代) 하(夏),상(商),주(周)를 지나 시(始)황제(皇帝) 진(秦),한(漢),위(魏),진(晉)대(代)에 이러르 가감(加減) 성쇠(盛衰)하였으며, 수(隋)나라때 관명직(官命職)을 설치하여 제왕(帝王)이 치정(治政)하였다.

 

북조(北朝)의 북위(北魏) 즉 후위(後魏),동위(東魏),서위(西魏)는 선비(鮮卑)의 탁발씨(拓拔氏)이다.

 

헌제(獻帝)의 형(兄)은 흘골씨(紇骨氏)인데 후에 고쳐 호씨(胡氏)로 하였다.

 

“獻帝以兄爲紇骨氏,後改爲胡氏”

  헌제이형위흘골씨,후개위호씨

 

차형(次兄) 보씨(普氏)는 고쳐 주씨(周氏)로 하였다.

차형(次兄) 탁발씨(拓拔氏)는 고쳐 장손씨(長孫氏)로 하였다.

동생(同生) 달해씨(達奚氏)는 고쳐 해씨(奚氏)로 하였다.

차제(次弟) 이루씨(伊婁氏)는 고쳐 이씨(伊氏)로 하였다.

차제(次弟) 구돈씨(丘敦氏)는 고쳐 구씨(丘氏)로 하였다.

차제(次弟) 후씨(侯氏)는 고쳐 해씨(亥氏)로 하였다.

또 명(命)하기를 숙부(叔父)의 자식(子息), 을전씨(乙旃氏)를 고쳐 숙손씨(叔孫氏)로 하였다.

또 명(命)하기를 소속(疏屬) 즉 먼 촌수의 일가, 차혼씨(車焜氏)를 고쳐 차씨(車氏)로 하였다.

제왕(帝王)의 문중(門中)에 십성(十姓)은 백세(百世)까지 서로 결혼(結婚)하지 못하게 하였다.

태화(太和) 이전(以前)에는 국상(國喪)에 십족(十族)이 아니면 참석치 못하였다.

고조(高祖)는 혁신(革新)하여,직사종사(職司從事)하였으며,신원황제(神元皇帝)때는 여러성(姓)들이 출입하게 하였다.

구목릉씨(丘穆陵氏)는 고쳐 목씨(穆氏)로 하였다.

보륙고씨(步六孤氏)는 고쳐 륙씨(陸氏)로.

하뢰씨(賀賴氏)는 고쳐 하씨(賀氏).

독고씨(獨孤氏)는 고쳐 류씨(劉氏).

하루씨(賀樓氏)는 고쳐 루씨(樓氏).

물뉴우씨(勿忸于氏)는 고쳐 우씨(于氏).

시련씨(是連氏)는 고쳐 련씨(連氏).

복란씨(僕闌氏)는 고쳐 복씨(僕氏).

약간씨(若干氏)는 고쳐구씨(苟氏).

발렬씨(拔列氏)는 고쳐 량씨(梁氏).

발략씨(撥略氏)는 고쳐 략씨(略氏).

약구인씨(若口引氏)는 고쳐 구씨(寇氏).

질라씨(叱羅氏)는 고쳐 라씨(羅氏).

보루여씨(普陋茹氏)는 고쳐 여씨(茹氏).

하갈씨(賀葛氏)는 고쳐 갈씨(葛氏).

시분씨(是賁氏)는 고쳐 봉씨(封氏).

아복우씨(阿伏于氏)는 고쳐 아씨(阿氏).

가지연씨(可地延氏)는 고쳐 연씨(延氏).

아록환씨(阿鹿桓氏)는 고쳐 록씨(鹿氏).

타락발씨(他駱拔氏)는 고쳐 락씨(駱氏).

박해씨(薄奚氏)는 고쳐 박씨(薄氏).

오환씨(烏丸氏)는 고쳐 환씨(桓氏).

소화씨(素和氏)는 고쳐 화씨(和氏).

토욕혼씨(吐谷渾氏)는 의구(依舊)하여 토욕혼씨(吐谷渾氏).

호고구인씨(胡古口引氏)는 고쳐 후씨(侯氏).

하약씨(賀若氏)는 의구(依舊)하여 하약씨(賀若氏).

욕혼씨(谷渾氏)는 고쳐 혼씨(渾氏).

필루씨(匹婁氏)는 고쳐 루씨(婁氏).

기력벌씨(俟力伐氏)는 고쳐 포씨(鮑氏).

토복로씨(吐伏盧氏)는 고쳐 로씨(盧氏).

첩운씨(牒云氏)는 고쳐 운씨(云氏).

시운씨(是云氏)는 고쳐 시씨(是氏).

질리씨(叱利氏)는 고쳐 리씨(利氏).

부려씨(副呂氏)는 고쳐 부씨(副氏).

나씨(那氏)는 의구(依舊)하여 나씨(那氏).

여라씨(如羅氏)는 고쳐 여씨(如氏).

걸부씨(乞扶氏)는 고쳐 부씨(扶氏).

아단씨(阿單氏)는 고쳐 단씨(單氏).

기기씨(俟幾氏)는 고쳐 기씨(幾氏).

하예씨(賀兒氏)는 고쳐 예씨(兒氏).

토해씨(吐奚氏)는 고쳐 고씨(古氏).

출련씨(出連氏)는 고쳐 필씨(畢氏).

유씨(庾氏)는 의구(依舊)하여 유씨(庾氏).

하발씨(賀拔氏)는 고쳐 하씨(何氏).

질려씨(叱呂氏)는 고쳐 려씨(呂氏).

막나루씨(莫那婁氏)는 고쳐 막씨(莫氏).

해두로씨(奚斗盧氏)는 고쳐 삭로씨(索盧氏).

막로씨(莫蘆氏)는 고쳐 로씨(蘆氏).

출대한씨(出大汗氏)는 고쳐 한씨(韓氏).

몰로진씨(沒路眞氏)는 고쳐 로씨(路氏).

호지우씨(扈地于氏)는 고쳐 호씨(扈氏).

막여씨(莫輿氏)는 고쳐 여씨(輿氏).

흘간씨(紇干氏)는 고쳐 간씨(干氏).

기복근씨(俟伏斤氏)는 고쳐 복씨(伏氏).

시루씨(是樓氏)는 고쳐 고씨(高氏).

시돌씨(尸突氏)는 고쳐 굴씨(屈氏).

답로씨(沓盧氏)는 고쳐 답씨(沓氏).

올석란씨(嗢石蘭氏)는 고쳐 석씨(石氏).

해비씨(解枇氏)는 고쳐 해씨(解氏).

기근씨(奇斤氏)는 고쳐 기씨(奇氏).

수복씨(須卜氏)는 고쳐 복씨(卜氏).

구림씨(丘林氏)는 고쳐 림씨(林氏).

대막간씨(大莫干氏)는 고쳐 태씨(邰氏).

이면씨(尒緜氏)는 고쳐 면씨(緜氏).

갑루씨(蓋樓氏)는 고쳐 갑씨(蓋氏).

소려씨(素黎氏)는 고쳐 려씨(黎氏).

갈단씨(渴單氏)는 고쳐 단씨(單氏).

일두권씨(壹斗眷氏)는 고쳐 명씨(明氏).

질문씨(叱門氏)는 고쳐 문씨(門氏).

숙륙근씨(宿六斤氏)는 고쳐 숙씨(宿氏).

필천씨(馝䢴氏)는 고쳐 천씨(䢴氏).

토난씨(土難氏)는 고쳐 산씨(山氏).

옥인씨(屋引氏)는 고쳐 방씨(房氏).

수락우씨(樹洛于氏)는 고쳐 수씨(樹氏).

을불씨(乙弗氏)는 고쳐 을씨(乙氏).

무권씨(茂眷氏)는 고쳐 무씨(茂氏).

유련씨(宥連氏)는 고쳐 운씨(雲氏).

흘두릉씨(紇豆陵氏)는 고쳐 두씨(竇氏).

후막진씨(侯莫陳氏)는 고쳐 진씨(陳氏).

고적씨(庫狄氏)는 고쳐 적씨(狄氏).

태락계씨(太洛稽氏)는 고쳐 계씨(稽氏).

가발씨(柯拔氏)는 고쳐 가씨(柯氏).

울지씨(尉遲氏)는 고쳐 위씨(尉氏).

보록근씨(步鹿根氏)는 고쳐 보씨(步氏).

파다라씨(破多羅氏)는 고쳐 반씨(潘氏).

질간씨(叱干氏)는 고쳐 설씨(薛氏).

기노씨(俟奴氏)는 고쳐 사씨(俟氏).

전지씨(輾遲氏)는 고쳐 전씨(展氏).

비련씨(費連氏)는 고쳐 비씨(費氏).

기련씨(其連氏)는 고쳐 기씨(綦氏).

거근씨(去斤氏)는 고쳐 애씨(艾氏).

갈후씨(渴侯氏)는 고쳐 구씨(緱氏).

질로씨(叱盧氏)는 고쳐 축씨(祝氏).

화계씨(和稽氏)는 고쳐 완씨(緩氏).

원뢰씨(寃賴氏)는 고쳐 취씨(就氏).

올분씨(嗢盆氏)는 고쳐 온씨(溫氏).

달발씨(達勃氏)는 고쳐 포씨(褒氏).

독고혼씨(獨孤渾氏)는 고쳐 두시(杜氏).

하란씨(賀蘭氏)는 고쳐 하씨(賀氏).

욱도견씨(郁都甄氏)는 고쳐 견씨(甄氏).

흘해씨(紇奚氏)는 고쳐 혜씨(嵇氏).

월륵씨(越勒氏)는 고쳐 월씨(越氏).

질노씨(叱奴氏)는 고쳐 랑씨(狼氏).

갈촉혼씨(渴燭渾氏)는 고쳐 미씨(味氏).

고욕관씨(庫褥官氏)는 고쳐 고씨(庫氏).

오락란씨(烏洛蘭氏)는 고쳐 란씨(蘭氏).

일나루씨(一那蔞氏)는 고쳐 루씨(蔞氏).

우불씨(羽弗氏)는 고쳐 우씨(羽氏).

 通志 氏族目錄통지 씨족목록

宋: 정초(鄭樵) 撰 (1131~1162)

 文女生爲姓故姓之字多從女如姬,姜,嬴,姒,嬀,姞,妘,婤,姶,㚰,嫪 之類是

문녀생위성고성지자다종녀여희,강,영,사,규,길,운,주,압,배,로.지류시

                       

所以爲婦人之稱如 伯姬,季姬,孟姜,叔姜. 之類並稱姓也

소이위부인지칭여 백희,계희,맹강,숙강. 지류병칭성야         

딸아이가 태어나면 여러종류의 성을 같은 문자로 사용하였다.

부인들은 나이에 따라 여러가지로 병행하여부르는 것이 성이다.

 三皇삼황.五帝오제.三代삼대(夏하.商상.周주.)

三代之後姓氏合而爲一雖.

삼대지후성씨합이위일수.

 하(夏),상(商),주(周)를 지나 진(秦),한(漢),위(魏),진(晉)때

성과 씨(姓과 氏)를 합칭(合稱)하였다.

 「一」: 국씨『國氏』

【古帝王氏고제왕성】

 당(唐). 우(虞). 하(夏). 상(商). 은(殷). 북은(北殷).

주(周). 서주(西周). 주생(周生). 진(秦). 한(漢).

 【周同姓國】

 로(魯). 진(晉). 위(衞). 채(蔡). 조(曹). 등(滕). 등(騰).

연(燕). 정(鄭). 오(吳). 위(魏). 한(韓). 하(何). 괵(虢). 곽(郭). 관(管). 초(焦). 골(滑). 곽(霍). 담(聃). 고(郜). 호(浩). 옹(雍). 필(畢). 풍(酆). 순(郇). 성(郕). 성(成). 성(盛). 우(于). 우(邘). 응(應). 범(凡). 장(蔣). 형(刑). 모(茅). 조(胙). 작(作). 가(賈). 예(芮). 수(隨). 호(胡). 파(巴). 파(杷). 파(爬). 수(遂). 돈(頓). 도(道). 빈(邠). 빈(豳). 경(耿). 잠(岑). 동(彤). 융(肜).

 

【周異姓國】

 제(齊). 초(楚). 송(宋). 형(荊). 진(陳). 조(趙). 전(田). 허(許). 거(莒). 주(邾). 주(朱). 루(婁). 루(僂). 예(郳). 예(兒). 예(倪). 기(杞). 루(樓). 동루(東樓). 월(越). 기(紀). 식(息). 식(鄎). 등(鄧). 량(梁). 설(薛). 소(蕭). 심(沈). 증(曾). 증(鄫). 증(繒). 서(徐). 운(䢵). 운(云). 운(妘). 운(鄖). 우(鄅). 숙(宿). 라(羅). 기(夔). 순우(淳于). 공(公). 주(州). 이(夷). 곡(穀). 국(國). 서(舒). 서구(舒鳩). 서료(舒蓼). 서포(舒鮑). 수구(須句). 수(須). 담(郯). 담(談). 려(黎). 려(犂). 신(申). 장(章). 상(向). 갈(葛). 제갈(諸葛). 료(蓼). 황(黃). 권(權). 강(江). 전유(顓臾). 회(鄶). 영(英). 륙(六). 신(莘). 신(辛). 사(謝). 사(射). 핍양(偪陽). 봉(封). 려(呂). 구오(仇吾). 축(祝).

 【周不得姓之國】

 래(萊). 뢰(賴). 담(譚). 담(覃). 현(弦). 대(戴). 재(載). 항(項). 폭(暴). 양(陽). 기(冀). 모(牟). 전(鄟). 격(鬲). 소(巢). 백(柏). 진(軫). 교(絞). 이(貳).

 【夏商以前國】

 정(程). 숭(崇). 호(扈). 방(房). 두(杜). 기(箕). 밀수(密須). 한(寒). 과(過). 용(庸). 과(戈). 패(邶). 용(鄘). 주(鑄). 비(邳). 관(觀). 포(褒). 민(緡). 기(岐). 잉(仍). 엄(奄). 쌍(雙). 무라(武羅). 오(吾). 곤(昆). 곤오(昆吾). 매(梅). 계북(癸北). 뢰(雷). 원(元). 명(冥). 짐(斟). 짐심(斟尋). 배(䣙). 용(用). 지(摯). 윤(允). 관(灌). 짐관(斟灌). 료(廖). 류(飂). 죽(竹). 질(郅). 습(習). 서릉(西陵). 안릉(安陵). 갑보(甲父). 유궁(有窮). 유호(有扈). 포고(蒲姑). 서왕(西王). 고죽(孤竹). 봉보(封父). 종리(終利). 숙사(夙沙). 말(秣). 말(末). 박성(柏成). 고(顧). 원(阮). 공(共). 공(恭). 공(龔). 홍(洪). 원(苑). 원(宛). 봉(逢). 팽(彭). 위(韋).

 【夷狄之國】

 적(狄). 백적(白狄). 적(翟). 대(代). 로(路). 로(潞). 융(戎). 지(支). 려(驪). 비(卑). 려(廬). 나(郍). 구(甌). 구(歐). 안(安). 만(瞞). 만(蠻). 강(羌). 고(鼓). 미(米). 만(滿). 축(竺). 락(落). 락(洛). 회이(淮夷). 고락(皐落). 의거(義渠). 서중(西中).

 「二」: 군국씨『郡國氏』

【漢郡國한군국】

 홍(紅). 기(蘄). 파(番). 침(郴). 동양(東陽). 동릉(東陵). 력양(櫟陽). 주양(周陽). 신도(信都). 관군(冠軍). 무강(武彊). 광무(廣武). (質⻏). 무(鄮).

 「三」: 읍씨『邑氏』

 【周邑주읍】

 제(祭). 윤(尹). 소(蘇). 모(毛). 번(樊). 심(尋). 심(鄩). 단(單). 감(甘). 구(緱). 영(榮). 치(郗). 공(鞏). 범(氾). 범(汎). 사구(謝邱). 영(營). 류(劉). 원(原). 소(召). 소(邵). 【魯邑】 장(臧). 후(郈). 후(后). 비(費). 랑(郞). 류(柳). 광(匡). 관(管). 운(鄆). 락고(落姑). 추(鄒). 변(卞). 하구(瑕邱). 확상(矍相). 도구(菟裘). 【晉邑】 란(欒). 극(郄). 고(苦). 기(祁). 순(荀). 지(智). 보(輔). 속(續). 희양(戲陽). 함여(函與). 한단(邯鄲). 양설(羊舌). 양(羊). 강(絳). 보(步). 괴(蒯). 괴(蕢). 체(彘). 곡(曲). 범(范). 토수(土隨). 묘(苗). 병(邴). 병(丙). 오구(吾邱). 우구(虞邱). 령호(令狐). 온(溫). 양(楊). 우(盂). 호(壺). 제(鞮). 동제(銅鞮). 체(遆). 면(緜). 해(解). 주(州). 오(鄔). 협(莢). 협(俠). 악(鄂). 익(翼). 【衞邑】 녕(寗). 원(元). 의(儀). 상(常). 구(裘). 승(承). 복(濮). 척(戚). 급(汲). 섭(聶). 조(棗). 극(棘). 상구(商邱). 오록(五鹿). 【鄭邑】 풍(馮). 경(京). 【齊邑】 려구(閭邱). 려(閭). 습(隰). 최(崔). 로(盧). 포(鮑). 당(棠). 양(穰). 안(晏). 주(晝). 단(檀). 래(來). 래(郲). 치(菑). 분(盆). 즉묵(卽墨). 즉(卽). 규구(葵邱). 량구(梁邱). 적구(籍邱). 여구(余邱). 안평(安平). 고당(高堂). 【楚邑】 투(鬪). 위(薳). 위(蔿). 굴(屈). 음(陰). 종(鍾). 종리(鍾離). 춘(春). 상관(上官). 담(儋). 만(蔓). 백(白). 엽(葉). 상밀(商密). 헌구(軒邱). 삼려(三閭). 등릉(鄧陵). 제량(諸梁). 당계(棠谿). 【宋邑】 류(留). 합(合). 감(坎). 화(華). 【韓邑】 평(平). 횡(橫). 【魏邑】 업(鄴). 신(信). 【趙邑】 마(馬). 수(睢). 린(藺). 록(鹿). 무성(武成). 교(鄡).

 【秦邑】

 아(衙). 무안(武安). 화양(華陽). 경양(涇陽). 고릉(高陵).

 【諸國邑】

  통(通). 초(譙). 우(鄾). 찬(酇). 현(縣). 력(酈). 취려(取慮). 계(薊). 선우(鮮于). 선(鮮). 모구(母邱). 모(母). 삼오(三烏). 거구(渠邱). 자구(者邱). 어양(漁陽). 당읍(堂邑).

 【漢魏邑】

천(泉). 전(全). 걸양(揭陽).

 

 

 

「四」: 향씨『鄕氏』

배(裴). 륙(陸). 누(耨). 방(龎). 염(閻). 학(郝). 시(尸). 비(肥). 자(資). 협(頰). 호모(胡母). 대륙(大陸).

 

 

 

「五」: 정씨『亭氏』

미(麋). 채(采). 유두(俞豆). 구양(毆陽).

 

 

 

「六」: 지씨『地氏』 소거(所居)

부(傅). 몽(蒙). 릉양(陵陽). 소실(少室). 성(城). 지(池). 도(涂). 혜(嵇). 규(鮭). 교(橋). 교(喬). 로(勞). 동관(東關). 관(關). 영(潁). 호구(狐邱). 구(邱). 호구(壺邱). 상구(桑邱). 룡구(龍邱). 사구(虵丘). 도구(陶邱). 어구(於邱). 포구(苞邱). 수구(水邱). 조구(曹邱). 초구(楚邱). 름구(廩邱). 만구(曼邱). 함구(咸邱). 부구(浮邱). 안구(安邱). 치구(淄邱). 직구(稷邱). 옹구(雍邱). 하구(何邱). 맥구(麥邱).북구(北邱). 헌구(獻邱). 기구(岐邱). 강구(羗邱). 봉구(逢邱). 후구(厚邱). 一作원(原). 유(羑). 기(綺). 제(濟). 항(巷). 예(艾). 자(柘). 촉(燭). 사( ????). 궐(闕). 벽려(辟閭). 신도(申屠). 신도(申徒). 동문(東門). 서문(西門). 서(西). 남문(南門). 북문(北門). 양문(陽門). 동문(桐門). 이문(夷門). 궐문(闕門). 목문(木門). 봉문(逢門). 서문(胥門). 익문(弋門). 옹문(雍門). 이문(耏門). 문(門). 동궁(東宮). 서궁(西宮). 남궁(南宮). 북궁(北宮). 동곽(東郭). 서곽(西郭). 남곽(南郭). 북곽(北郭). 동려(東閭). 서려(西閭). 옥려(屋廬). 시남(市南). 사남(社南). 사북(社北). 삼구(三邱). 삼주(三州). 연릉(延陵). 어릉(於陵). 평릉(平陵). 량원(梁垣). 포포(蒲圃). 동방(東方). 서방(西方). 구방(九方). 동리(東里). 백리(百里). 동향(東鄕). 서향(西鄕). 남향(南鄕). 북향(北鄕). 동야(東野). 서야(西野). 남야(南野). 북야(北野). 북당(北唐). 북해(北海). 성양(成陽). 복양(濮陽). 선양(鮮陽). 규양(鮭陽). 경양(梗陽). 락하(洛下). 과전(瓜田). 록(甪). 록리(祿里). 기리(綺里). 하리(夏里). 저리(樗里). 동리(桐里). 공동(空同). 연주(延州). 극주(郄州). 판상(阪上). 연릉(鈆陵).

 

 

 

「七」: 성씨『姓氏』 통(通). 정(正).

요(姚). 규(嬀). 강(姜). 귀(歸). 임(任). 풍(風). 희(姬). 영(嬴). 성(姓). 시(是). 자(子). 미(羋). 사(姒). 사(似). 외(隗). 윤(允). 언(偃). 유언(有偃). 언(匽). 독(禿). 길(姞). 길(吉). 유(酉). 배(㚰). 칠(漆). 익(弋). 후강(侯岡). 이기(伊祁). 이(伊). 이(已). 로(嫪).

 

 

 

「八」: 자씨『字氏』

 

【周人字주인자】

 

림(林). 가(家). 기(忌). 모(謀). 현(顯). 려(旅). 방(方). 분(賁). 괴(槐). 길(吉). 【魯人字】 시(施). 기(奇). 위(爲). 공(貢). 중(眾). 건(騫). 전손(顓孫). 공보(公父). 공자(公子). 공석(公石). 공삭(公索). 공백(公伯). 공신(公愼). 공수(公輸). 공서(公西). 공망(公罔). 공야(公冶). 공조(公祖). 공양(公羊). 공량(公良). 공제(公齊). 공산(公山). 공의(公儀). 공사(公沙). 공옥(公玉). 소시(少施). 하보(夏父). 자복(子服). 자가(子家). 자상(子桑). 자양(子陽). 자숙(子叔). 자사(子士). 자언(子言). 자양(子楊). 자맹(子孟). 자아(子我). 자유(子有). 자중(子仲). 자우(子羽). 【晉人字】 장(張). 교(矯). 가(嘉). 서(胥). 선(先). 리손(利孫). 비(㔻). 비(丕). 숙대(叔帶). 숙상(叔向). 숙어(叔魚). 【衞人字】 손(孫). 미(彌). 석(析). 석(石). 남(南). 자남(子南). 자옥(子玉). 자백(子伯). 자제(子齊). 공남(公南). 공숙(公叔). 공맹(公孟). 공명(公明). 공문(公文). 공석(公析). 【鄭人字】 유(游). 국(國). 사(駟). 인(印). 량(良). 백유(伯有). 우(羽). 한(罕). 자사(子師). 자국(子國). 자한(子罕). 자공(子孔). 자사(子駟). 자석(子晳). 자유(字游). 자풍(子豐). 자인(子人). 【宋人字】 공(孔). 우(牛). 악(樂). 황보(皇甫). 령(靈). 변(邊). 정(正). 정(政). 록(祿). 을(乙). 어(魚). 사보(事父). 자혁(子革). 자의(子儀). 【齊人字】 경(慶). 하(賀). 상(尙). 기(旗). 자기(子旗). 자건(子乾). 자공(子工). 자천(子泉). 자양(子襄). 자아(子雅). 자미(子尾). 【邾人字】 안(顔). 【諸國人字】 동(董). 명(明). 자장(子臧). 자화(子華). 자주(子州). 공빈(公賔). 【陳人字】 원(袁). 원(轅). 원(爰). 점(占). 자헌(子獻). 자점(子占). 자앙(子鞅). 자망(子芒). 자상(子尙). 자금(子禽). 자여(子輿). 자오(子寤). 자저(子沮). 자송(子宋). 자하(子夏). 자방(子枋). 【楚人字】 성(成). 포(包). 반(潘). 승(乘). 초(椒). 낭(囊). 숙오(叔敖). 무균(無鈞). 약오(若敖). 백비(伯比). 자경(子庚). 자계(子季). 자서(子西). 자중(子重). 자기(子期). 자낭(子囊). 상(桑). 봉손(逢孫).

 

 

 

「九」: 명씨『名氏』

 

【古六子名고륙자명】

 

대정(大庭). 대(大). 회(懷). 종(鬷). 희(戲). 복(伏). 복(宓). 유(有). 신(神). 헌원(軒轅). 헌(軒). 홍(鴻). 금(金). 청양(靑陽). 청(靑). 왜(媧). 반(盤). 호(昊). 호(皥). 소(少). 고양(高陽). 전옥(顓玉).

 

【帝王名】

 

 요(堯). 우(禹). 계(啓). 탕(湯). 갑(甲). 옥(沃). 괴(槐).

 

 

 

 

【古人名고인명】

 

력(力). 목(牧). 숙(玉)음(音)숙(宿). 삼묘(三苗). 이고(夷鼓). 주(疇). 감(堪). 힐(頡). 창힐(倉頡). 교(僑). 교(蟜). 동(童). 동(僮). 로(老). 광(廣). 방(放)상성(上聲). 분(奮). 욕(蓐). 률(栗). 존로(尊盧). 종이(鬷夷). 구룡(勾龍). 희(熙). 수(修). 백명(白冥). 근수(根水). 분수(奔水). 렬(列). 렬(烈). 숙(夙). 자(訾). 천( ????). 융(融). 구(勾). 존(尊). 돈혼(沌渾). 둔(屯). 왕(汪). 계(稽). 령(泠). 랭(冷). 륜(倫). 령륜(伶倫). 대(臺). 회(回). 애(敳). 렴(廉). 룡(龍). 용(容). 중(重). 막(幕). 막(莫). 화(和). 희(羲). 수(殳). 우(禺). 리(狸). 류(纍). 실(實). 달(達). 격(格). 웅(雄). 종(終). 계련(季連). 선(善). 효(囂). 고(皐). 오(敖). 륙종(陸終). 단(丹). 림(臨). 삼(參). 삼(薓). 징(徵). 함(咸). 비렴(飛廉). 창(昌). 표(豹). 창(倉). 창(蒼). 【周人名】 복(服). 국(鞠). 국(麴). 직(稷). 편(篇). 피(皮). 여(輿). 조(晁). 조(鼂)音조(朝). 호(狐). 석(昔). 태(太). 계과(季騧). 계수(季隨). 굉(閎). 아(牙). 【魯人名】 전(展). 궁(弓). 사(賜). 자(茲). 여의(如意). 유(遺). 술(述). 뢰(牢). 【晉人名】 주(犨). 려(麗). 초(招). 거(居). 광(曠). 만(萬). 만(娩). 영(盈). 괵사(虢射). 계영(季嬰). 계숙(季夙). 루계(樓季). 불기(弗忌). 생(甥). 대호(大狐). 대무(大戊). 영(嬰). 이오(夷吾). 량기(梁其). 심(瞫). 【鄭人名】 단(段). 사(司). 풍(豐). 란(蘭). 연(然). 자연(子然). 거질(去疾).

 

 

 

 

【吳人名오인명】

 

수(壽). 요(要). 기(旣). 상수(常壽). 경기(慶忌). 【衞人名】 첩(輒). 겸(兼). 강량(强梁). 자영(子郢). 【齊人名】 고(高). 시(柴). 구계(臼季). 격(激). 조(刁). 리(刕). 련(連). 법(法). 광(光). 락(駱). 망(望). 장구(將具). 장거(將鉅). 【楚人名】 웅(熊). 내(能). 육(鬻). 반(班). 운(員). 건(建). 와(渦). 염(冉). 염(染). 지(枝). 도(到). 균(鈞). 의상(倚相). 행료(幸廖). 접여(接輿). 기질(棄疾). 사(射)입성(入聲). 권(拳). 료(僚). 대심(大心). 초계(楚季). 무용(無庸). 계융(季融). 취(翠). 자건(子建). 자오(子午). 위귀(圍龜). 월초(越椒). 영제(嬰齊). 흑굉(黑肱). 무신(巫臣). 선우(鮮虞). 【夏人名】 예(羿). 열(悅). 열(說). 해(奚).

 

 

 

 

【宋人名송인명】

 

연(衍). 미(微). 미생(微生). 기(幾). 구(仇). 구(求). 획(獲). 계로(季老). 자탕(子蕩). 탕(蕩). 탁알(鐸遏). 독(督). 목이(目夷). 축기(祝其). 우(耦). 니(泥). 【諸國人名】 서기(庶其). 모이(茅夷). 쾌(噲). 요(搖). 유(由). 유여(由余). 손양(孫陽). 언사(偃師). 경(卿). 무루(無婁). 저(苴). 리(離). 여(余). 【名字未辯】 륜(綸). 린(鱗). 혼(渾). 비(裨). 개(開). 랑(狼). 명(名). 전(顚). 마(麻). 가(柯). 하(瑕). 담(儋). 주(舟). 유(攸). 기(祁). 간(干). 금(禽). 금(琴). 장(萇). 금(黔). 역(易). 점(苫). 홍(弘). 구(臼). 야(冶). 구(苟). 재(梓). 의(倚). 미(尾). 여(汝). 오(伍). 례(禮). 면(免). 건(蹇). 산(散). 요(繞). 사(肆). 구(具). 감(闞). 설(洩). 첩(捷). 빈(賔). 은(恩). 견오(肩吾). 서오(徐吾). 종오(鍾吾). 유오(由吾). 숙산(叔山). 숙선(叔先). 숙달(叔達). 숙야(叔夜). 숙복(叔服). 방숙(方叔). 도숙(陶叔). 갑선(甲鮮). 신장(申章). 자사(子師). 부보(富父). 중웅(仲熊). 중안(仲顔). 원중(原仲). 경보(慶父). 안국(安國). 중장(仲長). 중항(仲行). 영숙(榮叔). 묵태(墨台). 묵(墨). 태이(台怡). 립여(立如). 병의(邴意). 서견(舒堅).

 

 

 

 

「十」: 차씨『次氏』

 

맹(孟). 중(仲). 중손(仲孫). 충(种). 숙(叔). 숙손(叔孫). 숙중(叔仲). 계(季). 백(伯). 정(丁). 계(癸). 조(祖). 구(舅). 구(咎). 고(古). 녜(禰). 치(稚). 차(次). 차(佽). 유(孺). 태숙(太叔). 태백(太伯). 숙중(叔仲). 중숙(中叔). 중숙(仲叔). 제오(第五). 제이(第二). 제팔(第八). 태사(太士). 주보(主父). 주(主). 남백(南伯). 남공(南公). 대계(大季).

 

 

 

 

「十一」: 족씨『族氏』

 

인(因). 령(領). 기(飢). 의(錡). 조(條). 소(昭). 파(繁). 사(嗣). 좌(左). 경(景). 상(賞). 삭(索). 형(陘). 장(黨). 장(掌). 장작(長勺). 미작(尾勺). 조양(趙陽). 로양(魯陽). 종규(終葵). 공루(工婁). 부여(傅餘). 여(餘). 한여(韓餘). 갈여(褐餘). 량여(梁餘). 수수(須遂). 렬종(列宗). 운엄(運奄). 수어(修魚). 오왕(五王). 소왕(小王). 굴남(屈南). 속기(續祁). 강헌(羌憲). 회아(會庌). 악리(樂利). 간헌(幹獻). 이추(伊秋).

 

 

 

 

「十二」: 이적대성『夷狄大姓』

 

당(党). 박(朴). 석(釋). 혁(赫). 새(塞). 의(宜). 방(㫄)평성(平聲). 단(單)平聲. 조(雕). 구(口). 함(歛). 이(異). 추(騶). 지(紙). 완(緩). 기(幾). 론(論). 부(副). 답(沓). 루(蔞). 합(郃). 서로(徐盧). 원(源). 여(茹). 먀(乜).

 

 

 

 

「十三」: 관씨『官氏』

 

운(雲). 오구(五鳩). 상구(爽鳩). 상호(桑扈). 오(烏). 사(史). 남사(南史). 병사(丙史). 청사(靑史). 태사(太史). 왕사(王史). 후사(侯史). 축사(祝史). 좌사(左史). 우사(右史). 종고(終古). 감(監). 사(士). 적(籍). 석(席). 사(師). 수(帥). 중영(中英). 악정(樂正). 태축(太祝). 유(庾). 저사(褚師). 저(褚). 전(錢). 산(山). 사마(司馬). 사구(司寇). 구(寇). 사도(司徒). 사공(司空). 사성(司城). 사공(司功). 사홍(司鴻). 사갈(司褐). 사공(司工). 공정(公正). 종정(宗正). 종(宗). 종백(宗伯). 부(符). 군(軍). 편(偏). 조(調). 형(衡). 아(阿). 환(環). 잠(箴). 릉(凌). 주(酒). 위(委). 위(骫). 주(柱). 수(豎). 재(宰). 재씨(宰氏). 보(保). 도(度). 고(庫). 어(御). 훈(訓). 헌(憲). 간(諫). 효(校). 후(候). 루(漏). 절(節). 휵(畜). 축(鄐). 복(僕). 속(粟). 알(謁). 각(閣). 직(職). 색(嗇). 대사(大師). 대라(大羅). 목사(牧師). 마사(馬師). 소사(少師). 소정(少正). 재보(宰父). 항인(行人). 왕인(王人). 도인(徒人). 좌인(左人). 주인(厨人). 옹인(雍人). 봉인(封人). 사인(寺人). 대부(大傅). 중항(中行). 중루(中壘). 왕관(王官). 병관(幷官). 좌윤(左尹). 우윤(右尹). 문윤(門尹). 잠윤(箴尹). 공윤(工尹). 구윤(廐尹). 련윤(連尹). 심윤(沈尹). 릉윤(陵尹). 계윤(季尹). 우윤(芋尹). 람윤(藍尹). 악윤(樂尹). 감윤(監尹). 청윤(淸尹). 전윤(占尹). 장장(將匠). 정령(正令). 취마(趣馬). 상방(尙方). 장군(將軍). 하군(下軍). 우항(右行). 우재(右宰). 우사(右師). 아반(亞飯). 삼반(三飯). 사반(四飯). 리(理). 리(里). 상리(相里). 리(李).

 

 

 

 

「十四」: 작씨『爵氏』

 

황(皇). 왕(王). 공(公). 패(覇). 후(侯). 공승(公乘). 공사(公士). 불경(不更). 서장(庶長).

 

 

 

 

「十五」: 흉덕씨『凶德氏』

 

초(蛸). 망(莽). 문인(聞人). 문(聞). 효(梟). 올(兀). 발(勃). 올(杌). 경(黥). 복(蝮). “唐武后賜有罪人以虺氏”

당나라 무후는 죄인에께 훼씨(虺氏), 즉 독사(毒蛇) 성(姓)을 주었다.

 

 

 

 

「十六」: 길덕씨『吉德氏』

 

동일(冬日). 로성(老成). 고성(考成).

 

 

 

 

「十七」: 기씨『技氏』

 

무(巫). 도(屠). 견(甄). 도(陶). 우(優). 복(卜). 장(匠). 환룡(豢龍). 어룡(御龍). 요룡(擾龍). 도양(屠羊). 오욕(烏浴). 로락(路洛). 간장(干將).

 

 

 

 

「十八」: 사씨『事氏』

 

두(竇). 소(所). 통(痛). 예(兒). 차(車). 치이(鴟夷). 관(冠). 갈관(褐冠). 신원(新垣). 백마(白馬). 승마(乘馬). 청우(靑牛). 백상(白象). 백록(白鹿). 포(蒲). 부(苻). 추(芻). 예(銳). 공상(空桑). 백석(白石). 장구(章仇).

 

 

 

 

「十九」: 시씨『諡氏』

 

장(莊). 엄(嚴). 경(敬). 지공(支恭). 강(康). 무(武). 환(桓). 목(穆). 목(繆). 희(僖). 희(釐). 문(文). 애(哀). 유(幽). 의(宜). 소(昭). 양(襄). 성(聲). 녕(寍). 위(威). 은(隱). 민(閔). 간(簡). 경(耿). 정(靖). 의(懿). 혜(惠). 려(厲). 헌(獻). 효(孝). 류(繆). 류목(謬穆). 숙(肅).

 

 

 

 

「二十」: 작계씨『爵系氏』

 

왕숙(㑌叔). 왕자(王子). 왕손(王孫). 공자(公子). 공손(公孫). 사손(士孫).

 

 

 

 

「二十一」: 국계씨『國系氏』

당손(唐孫). 실손(室孫). 로숙(廖叔). 등숙(滕叔). 채중(蔡仲). 제계(齊季).

 

 

 

 

「二十二」: 족계씨『族系氏』

 

중손(仲孫). 숙손(叔孫). 계손(季孫). 장손(臧孫). 어손9魚孫). 양손(楊孫). 가손(賈孫). 고손(古孫). 복자(福子). 권자(卷子).

 

 

 

 

「二十三」: 명씨씨『名氏氏』 국읍향(國邑鄕)

 

사개(士丐). 사계(士季). 사길(士吉). 사위(士蔿). 사정(士貞). 사사(士思). 오삼(伍參). 호비(胡非). 투기(鬭耆). 백종(伯宗). 기야(祁夜). 투반(鬭班). 투강(鬭彊). 위강(魏彊). 무함(巫咸). 장려(匠麗). 축어(祝圉). 장회(臧會). 한영(韓嬰). 한언(韓言). 한궐(韓厥). 한적(韓籍). 한갈(韓褐). 맹획(孟獲). 사엽(史葉). 봉구(封具). 정종(精縱). 도주(屠住). 소호(邵皓). 천이(千已). 선곡(先縠). 팽조(彭祖). 웅솔(熊率). 웅상(熊相).

 

 

 

 

「二十四」: 국작씨『國爵氏』 읍작(邑爵)

 

하후(夏侯). 백후(柏侯). 한후(韓侯). 굴후(屈侯). 라후(羅侯). 백후(白侯). 거자(莒子). 융자(戎子). 서자(舒子). 골백(滑伯). 갈백(葛伯). 식부(息夫).

 

 

 

 

「二十五」: 읍계씨『邑系氏』 읍관(邑官)

 

읍.군(邑.君)은 女子의 封號

원백(原伯). 온백(溫伯). 소백(召伯). 신숙(申叔). 기상(沂相). 감사(甘士).

 

 

 

 

「二十六」: 관명씨『官名氏』 관씨(官氏)

 

사의(師宜). 사연(師延). 사기(師祁). 윤오(尹午). 려상(呂相). 사조(史晁). 시기(侍其).

 

 

 

 

「二十七」: 읍시씨『邑諡氏』

 

고성(苦成). 고성(古成). 고성(庫成). 장문(臧文). 정약(丁若).

 

 

 

 

「二十八」: 시씨씨『諡氏氏』

 

희자(釐子). 공숙(共叔). 혜숙(惠叔). 안성(顔成). 사성(士成). 윤문(尹文). 투문(鬭文). 무중(武仲).

 

 

 

 

「二十九」: 작시씨『爵諡氏』

 

성공(成公). 성왕(成王).

 

 

 

 

「三十」: 대북복성『代北複姓』

 

장손(長孫). 묵기(万俟). 우문(宇文). 모용(慕容). 모여(慕輿). 모리(慕利). 두로(豆盧). 독고(獨孤). 달소(達笑). 하란(賀蘭). 하약(賀若). 이주(爾朱). 혁련(赫連). 하발(賀拔). 울지(尉遲). 굴돌(屈突). 곡률(斛律). 곡사(斛斯). 하루(賀婁). 이루(伊婁). 고적(庫狄). 약천(若千). 호연(呼延). 자왕(柘王). 을불(乙弗). 살고(薩孤). 흘골(紇骨). 구돈(邱敦). 기련(綦連). 시련(是連). 가달(可達). 질리(叱利). 발야(拔也). 질천(叱千). 을천(乙千). 옥인(屋引). 하수(賀遂). 탁발(拓跋). 저거(沮渠). 독발(禿髮). 걸복(乞伏). 절루(折婁). 욕혼(谷渾). 소화(素和). 토만(吐萬). 차혼(車焜). 차비(車非). 흘천(紇千). 을전(乙㫋). 가빈(可頻). 구니(仇尼). 하열(賀悅). 도하(徒何). 곡회(谷會). 대야(大野). 발략(拔畧). 기리(俟利). 기원(俟元). 기기(俟幾). 기력(俟力). 기노(俟奴). 하로(賀魯). 하갈(賀葛). 하뢰(賀賴). 하예(賀兒). 시루(是婁). 시공(是貢). 시운(是云). 시노(是奴). 질리(叱利). 질문(叱門). 질려(叱呂). 질리(叱李). 질로(叱盧). 유련(宥連). 비련(費連). 질라(叱羅). 질노(叱奴). 출련(出連). 비우(費羽). 출불(黜弗). 막로(莫盧). 막여(莫轝). 막자(莫者). 막후(莫侯). 갑루(蓋婁). 필루(疋婁). 열력(悅力). 칙력(勅力). 배리(倍利). 다란(多蘭). 하술(賀術). 토해(吐奚). 월륵(越勒). 이면(爾綿). 온고(溫孤). 해비(解毘). 첩운(牒云). 호낙(護諾). 철벌(鐵伐). 호액(胡掖). 목역(木易). 자설(者舌). 시축(尸逐). 하내(何柰). 선현(先賢). 유서(唯徐). 호독(呼毒). 거복(渠復). 식려(植黎). 기근(奇斤). 여여(茹茹).

토하(吐賀). 토돌(吐突). 흘단(紇單). 실거(悉㞐). 려비(麗飛). 토문(吐門). 토난(吐難). 갈단(渴單). 아단(阿單). 갈후(渴侯). 통만(統萬). 통혜(統嵇). 실운(悉雲). 안지(安遲). 전지(輾遲). 조란(鳥蘭). 부려(副呂). 가발(柯拔). 온분(溫盆). 필천(馝䢴). 여라(如羅). 구림(邱林). 여계(如稽). 철불(鐵弗). 박해(薄奚). 흘해(紇奚). 달해(達奚). 구인(口引). 수복(須卜). 오환(烏丸). 가지(可地). 답로(沓盧). 융권(茙眷). 거근(去斤). 도뢰(菟賴). 소려(素黎). 고문(庫門). 가답(可沓). 추문(醜門). 고한(庫汗). 파연(婆衍). 약구(若久). 숙근(宿勤). 지륜(地倫). 무도(武都). 보둔(普屯). 절굴(折掘). 잠로(昝盧). 달보(達步). 사인(斯引). 질령(叱靈). 욱주(郁朱). 포조(鮑俎). 골야(鶻也). 거금(渠金). 군차(軍車). 질뢰(叱雷). 락뢰(駱雷). 토속(吐粟). 도차(都車). 생이(生耳). 박야(薄野). 골해(鶻奚). 구로(九盧). 하자(荷訾). 리란(李蘭). 묵용(默容). 삼종(三種). 토화(吐火). 토화(吐和). 옥남(屋南). 골야(鶻野).

“已上二十一姓見複姓錄並不詳所出”

 

 

계필(契苾). 아질(阿跌). 복고(僕固). 고차(高車). 가서(哥舒). 집실(執失). 사리(舍利). 사질(沙叱). 사타(沙陁). 소농(蘇農). 사화(似和). 혈질(????跌). 대발(大拔). 철랄(啜剌).

“已上十四姓並唐朝歸化”

 

 

 

 

「三十一」: 관서복성『關西複姓』

 

겸이(鉗耳). 막절(莫折). 려비(荔,茘菲). 미저(彌姐). 부몽(夫蒙). 휴몽(攜蒙).

“已上西羌人不詳所出”

 

 

작화(昨和). 굴남(屈男). 한정(罕井). 로보(魯步). 삼차9彡且). 부몽(不蒙). 야희(吔咥)

 

 

 

 

「三十二」: 제방복성『諸方複姓』

 

부여(夫餘). 흑치(黑齒). 부수(鳧叟). 사선(似先). 조신(朝臣). 구담(瞿曇). 구마(鳩摩). 불도(佛圖). 가엽(迦葉). 선선(鄯善). 오씨(烏氏). 언기(焉耆). 차말(且末). 소무(昭武). 파사(波斯).

 

 

 

 

「三十三」: 대북삼자성『代北三字姓』

 

후막진(侯莫陳). 파륙한(破六韓). 을속고(乙速孤). 가주혼(可朱渾). 보대한(步大汗). 욱구려(郁久閭). 보륙고(步六孤). 구목릉(邱穆陵). 흘두릉(紇豆陵). 몰록회(沒鹿回). 막다루(莫多婁). 막군루(莫郡婁). 막호로(莫胡盧). 막차루(莫且婁). 막후로(莫侯盧). 아사나(阿史那). 아사덕(阿史德). 아복우(阿伏于). 을나루(乙那婁). 곡슬라(斛瑟羅). 보록고(步鹿孤). 보루여(普陋茹). 가지연(可地延). 발렬란(拔列蘭). 아록환(阿鹿桓). 숙륙근(宿六斤). 오락란(烏落蘭). 파다라(破多羅). 고약간(庫若干). 백양제(白揚提). 토욕혼(吐谷渾). 질복렬(叱伏列). 고녹관(庫傉官). 물뉵우(勿忸于), 보륙여(普六茹). 수약간(樹若干). 호지간(扈地干). 기복근(俟伏斤). 지락발(地駱拔). 욱원견(郁原甄). 약구인(若口引). 비야두(費也頭). 파락나(破落那). 몰로진(沒路眞). 비력진(譬厯辰). 온석란(溫石蘭). 오석란(烏石蘭). 흘돌린(紇突隣). 골돌록(骨咄祿). 기려릉(俟呂陵). 대막간(大莫干). 대리계(大利稽). 기력대(俟力代). 대락계(大洛稽). 일두권(壹斗眷). 보록근(步鹿根). 독고혼(獨孤渾). 말나루(末那樓). 해십로(奚什盧). 가족혼(可足渾). 갈촉혼(渴燭渾). 월질힐(越質詰). 아일다(阿逸多). 돌려인(突黎人). 적소두(赤小豆).

 

 

 

 

「三十四」: 대북사자성『代北四字姓』

 

자사촉박(自死燭膊). 정강륙근(井疆六斤).

 

 

 

 

「三十五」: 부득계지성『不得系之姓』 평성『平聲』

 

평도막저앙(平道莫低昂) 평성은 가장 낮은소리로 상성과 하성이 있다.

 

동(東). 동(桐). 궁(宮). 궁(躬). 총(叢 ). 중(中). 융(茙). 충(蟲). 동(同). 충(充). 옹(翁). 농(儂). 동(冬). 퉁(佟). 종(琮). 종(從). 송(松). 방(邦). 공(涳). 위(危). 치(馳). 기(綦). 자(慈). 희(釐). 사(斯). 이(移). 지(脂). 지(之). 기(其). 원(元). 시(時). 지(遲). 자(茨). 치(治). 려(藜). 추(騅). 의(衣). 비(斐). 희(希). 분(賁). 부(扶). 도(塗). 도(都). 우(區). 구(瞿). 유(俞). 구(俱). 구(衢). 모(模). 호(呼). 호(雽). 오(梧). 호(軤). 고(辜). 고(軲). 서(藇). 여(如). 구(絇). 저(儲). 우(紆). 거(蘧). 거(璩). 저(沮). 어(於). 수(洙). 거(渠). 소(踈). 속(束)平聲. 초(初). 서(鉏). 허(虛). 서(犀). 제(䧑). 규(洼). 독(毒). 휴( ????). 회(淮). 배(棓). 매(枚). 신(新). 진(眞). 빈(頻). 흔(欣). 인(仁). 은(誾). 근(勤). 근(筋). 분(芬). 언(言). 원(垣). 원(溒). 훈(薰). 준(鐏). 돈(敦). 운(惲). 건(乾). 단(端). 환(讙). 관(官). 완(莞). 단(但). 전(籛). 난(難). 산(姍). 한(瞷). 간(間). 간(馯). 견(堅). 전(全). 견(肩). 현(賢). 연(蜎). 연(涓). 편(便). 견(牽). 연(延). 건(虔). 천(呑). 전(纒). 요(銚). 요(饒). 소(韶). 료(遼). 료(聊). 초(貂). 초(超). 조(朝). 포(麃). 교(膠). 호(蒿). 도(桃). 아(蛾). 붕(傰). 다(茶). 사(沙). 여(余). 사(蛇). 자(諸). 사(査). 화(花). 랑(琅). 상(相). 강(疆). 장(將). 방(芳). 량(涼). 강(彊). 앙(卬). 황(荒). 향(鄕). 당(當). 상(喪). 광(鄺). 항(杭). 정(征). 굉(訇). 경(經). 령(零). 경(庚). 경(更). 성(星). 병(甁). 칭(稱). 등(登). 증(繒). 항(恒). 붕(傰). 우(憂). 우(尤). 수(修). 우(郵). 추(秋). 부(不). 부( ????). 유(猷). 투(投). 류(摎). 침(侵). 심(鐔). 흠(欽). 심(諶). 염(鹽). 잠(潛). 침(鍼). 함(函). 람(藍).

 

 

 

 

「三十六」: 상성『上聲』

 

고호맹렬강(高呼猛烈强) 상성은 처음이 낮고 ,나중은 높은 소리이다.

 

봉(奉). 중(重). 롱(隴). 위(䦱). 기(起). 사(俟). 피(被). 미(弭). 자(紫). 리(履). 귀(鬼). 무(舞). 우(宇). 만(萬). 부(府). 부(鬴). 우(栩). 서(序). 거(舉). 처(處). 거(巨). 오(仵). 도(堵). 포(浦). 포(圃). 모(姥). 보(補). 례(禮). 저(邸). 선(洗). 해(亥). 박(敀). 해(海). 촌(忖). 균(菌). 본(本). 전(雋). 잔(棧). 관(琯). 환(㬊). 건(寋). 권(圈). 권(卷). 연(兖). 전(典). 조(肁). 소(紹). 표(表). 고(考). 도(稻). 보(寶). 아(我). 가(假). 구(仇). 앙(仰). 양(養). 강(强). 앙(鞅). 상(象). 방( ????). 항(汻). 정(井). 영(永). 행(幸). 행(杏). 병(秉). 성(省). 맹(猛). 두(鈄). 뉴(鈕). 수(守). 구(糗). 추(醜). 추.주(棸). 후(厚). 후(後). 부(部). 심(審). 품(品). 침(枕). 검(檢). 검(儉). 탐(湛). 담(啖). 잠(昝). 람(覽). 남(湳). 감(減). 함(咸). 함(撖). 범(範).

 

 

 

 

「三十七」: 거성『去聲』

 

분명애원도(分明哀遠道) 거성은 가장 높은 소리이다.

 

통(統). 봉(鳳). 비(祕). 리(利). 의(義). 기(騎). 궤(匱). 류(類). 귀(貴). 위(尉). 기(暣). 의(意). 위(謂). 로(露). 고(固). 고(故). 유(喩). 유(諭). 포(布). 수(樹). 우(遇). 부(附). 무(務). 호(瓠). 착(錯). 거(據). 주(住). 려(鑢). 서(庶). 나.녀(絮). 계(桂). 계(昋). 걔(計). 체(棣). 례(隷). 제(制). 취(毳). 체(蒂). 체(慸). 세(稅). 예(藝). 예(裔). 폐(弊). 세(世). 예(秇). 대(帶). 애(藹). 패(沛). 구(具). 태(兌).내(佴). 진(進). 린(遴). 신(愼). 근(靳). 관(貫). 관(冠). 찬(爨). 찬(贊). 탄(炭). 전(戰). 련(戀). 천(賤). 련(練). 변(變). 견(見). 천(薦). 연(燃). 뇨(淖). 조(漕). 호(好). 모(耗). 파(播). 조(操). 사(舍). 사(厙). 화(化). 진(晋). 차(斥). 창(暢). 항(伉). 항(抗). 항(亢). 광(曠). 상(相). 량(諒). 량(亮). 앙(盎). 황(況). 랑(浪). 성(聖). 성(性). 두(豆). 루(鏤). 구(勾). 부(富). 수(繡). 구(救). 구(廐). 구(灸). 주(冑). 구(舊). 취(就). 금(禁). 념(念).

  「三十八」: 입성『入聲』

 단촉급수장(短促急收藏) 입성은 끝을 빨리닫는 소리이다.

즉 짧고 몹씨 빠르게 소리낸다.

 복(澓). 목(木). 목(沐). 곡(谷). 목(睦). 숙(潚). 곡(鵠). 책(蓛). 욱(郁). 속(束). 족(鎐). 욱( ????). 록(逯). 탁(卓). 악(偓). 탁(濁). 탁(濯). 삭(朔). 학(學). 술(術). 글(曁). 실(悉). 질(帙). 귤( ????). 울(鬱). 위(尉). 위(蔚). 필(茀). 휼(恤). 불( ????). 궐(厥). 골(骨). 발(髮). 차(笡). 찰(察). 탈(脫). 도(糴). 절(折). 설(渫). 걸(桀). 벽(蘗). 설(齧). 별(別). 철(鐵). 각(恪). 학(佫). 락(洛). 박(薄). 착(錯). 확(矍). 탁(鐸). 박(博). 략(畧). 약(藥). 약(約). 직(直). 식(食). 칙(勅). 묵(墨). 륵(勒). 식(植). 특(特). 석(錫). 벽(壁)닉(㲻). 석(夕). 실(室). 적(赤). 벽(辟). 책(笮). 적(適). 맥(麥). 백(帛). 익(益). 혁(革). 택(澤). 급(給). 집(集). 습(襲). 갑(蓋). 합(㧁). 잡(䪞). 납(納). 섭(涉). 접(接).

 「三十九」: 복성『複姓』 사성지후(四聲之後)

 

기무(綦毋). 서걸(西乞). 서도(西都). 서서(西鉏). 남영(南榮). 북인(北人). 구백(九百). 가간(叚干). 청평(靑萍). 장로(長盧). 삭로(索盧). 포로(蒲盧). 로포(盧蒲). 자무(茲毋). 거무(巨毋). 무장(毋將). 무종(毋終). 모차(母車). 선우(宣于). 투우(鬭于). 다우(多于). 량유(梁由). 량석(梁石). 량가(梁可). 중량(仲梁). 곡량(穀梁). 장량(將梁). 용성(容成). 광성(廣成). 무성(務成). 석성(析成). 양성(陽成). 상성(上成). 분성(盆成). 장려(將閭). 림려(林閭). 경상(庚桑). 유남(有男). 담대(澹臺). 호성(浩星). 묵이(墨夷). 양유(養由). 안기(安期). 목란(沐蘭). 단목(端木). 고포(姑布). 검루(黔婁). 중량(中梁). 중야(中野). 실중(室中). 로중(路中). 보숙(步叔). 석작(石作). 고야(古野). 양사(壤駟). 합박(合博). 칠조(漆彫). 공상(空相). 경상(京相). 마시(馬矢). 마적(馬適). 무마(巫馬). 관룡(關龍). 청오(靑烏). 양각(羊角). 원양(苑羊). 누양(羺羊). 호양(浩羊). 장어(長魚). 소사(昭沙). 악왕(樂王). 령주(泠州). 로래(老萊). 렬어(列禦). 첨갈(瞻葛). 하려(瑕呂). 부제(不弟). 구익(鉤弋). 려관(呂管). 릉종(陵終). 읍구(邑裘). 현반(縣潘). 도안(屠岸). 함야(函冶). 동목(洞沐). 보상(甫爽). 안시(安是). 칙복(遫僕). 보록(補祿). 유율( 游????).

 

 

흉노별명『匈奴別名』

하왈순유(夏曰淳維): 하(夏)나라 때는 순유(淳維).

은왈귀방(殷曰鬼方): 은(殷)나라 때는 귀방(鬼方).

주왈험윤(周曰玁狁): 주(周)나라 때는 험윤(玁狁).

한왈흉노(漢曰匈奴): 한(漢)나라 때는 흉노(匈奴).

 萬姓統譜만성통보

 

씨족박고(氏族博攷)

萬曆己卯孟夏朔日 (1579年)

 歐羅巴 姓氏

 몽고성씨(蒙古姓氏) (1206年)

 아자자(阿刺刺). 찰자예알(扎刺兒歹). 홀신망올알(忽神忙兀歹). 옹길자알(瓮吉刺歹). 황홀나(晃忽㰙). 영길렬사(永吉列思). 올로올(兀魯兀). 곽예자사(郭兒刺思). 별자알(別刺歹). 겁렬알(怯烈歹). 독별석(禿別夕). 팔로자홀(八魯刺忽). 곡려률(曲呂律). 야리길근(也里吉斤). 찰자지자(扎刺只刺). 탈리별알(脫里別歹). 탑탑예(塔塔兒). 삽답길(哈荅吉). 산예알(散兒歹). 걸요알(乞要歹). 렬술알(列术歹). 안부화알(顔不花歹). 알(歹). 렬리양새(列里養賽). 산술올알(散术兀歹). 멸리길알(滅里吉歹). 아대리길알(阿大里吉歹). 올라알(兀羅歹). 별첩리알(別帖里歹). 만알(蠻歹). 야가말합자(也可抹合刺). 나안길알(那顔吉歹). 아탑리길알(阿塔里吉歹). 역걸렬알(亦乞列歹). 합특걸알(合忒乞歹). 목리걸(木里乞). 외올알(外兀歹). 외말알(外抹歹). 아예자알(阿兒刺歹). 백요알(伯要歹). 단길알(担吉歹). 외자알(外刺歹). 말리걸알(末里乞歹). 허대알(許大歹). 황올탄(晃兀攤). 별속알(別速歹). 안부초알(顔不草歹). 목온탑알(木溫塔歹). 망올알(忙兀歹). 탑탑알(塔塔歹). 나안걸태(那顔乞台). 아탑력길알(阿塔力吉歹). 홀신탑일예(忽神塔一兒). 올로알(兀魯歹). 살술알(撒术歹). 멸리길(滅里吉). 아화리력알(阿火里力歹). 찰마예알(扎馬兒歹). 올라라알(兀羅羅歹). 렬첩걸내만알(列帖乞乃蠻歹). 답답예알(荅荅兒歹). 야가림합자(也可林合刺). 옹길알(瓮吉歹). 술리알(术里歹). 망고알(忙古歹). 외말알내(外秣歹乃). 타리별알(朶里別歹). 입련(入憐). 찰리길알(察里吉歹). 팔로홀알(八魯忽歹). 삽답알(哈荅歹). 외자(外刺).

 『色目姓』색목성(1271年)

 원元의 몽고인蒙古人 이 外외의 몽고종족蒙古種族의 칭성稱姓.

元나라 때 그 치하治下의 北美大陸북미대륙,유럽 여러 종족種族에 속屬하는 외국外國 사람의 총칭성總稱姓. 즉 피부皮膚나 파란눈의 빛깔이 다르기 때문이다.

음자로(吟刺魯). 흠찰(欽察), 당올(唐兀). 아속(阿速). 독팔(禿八). 강리(康里). 고리로(苦里魯). 자걸알(刺乞歹). 적걸알(赤乞歹). 외오올(畏吾兀). 회회(回囘). 내만알(乃蠻歹). 아예혼(阿兒渾). 합로알(合魯歹). 화리자(火里刺). 살리가(撒里哥). 독백알(禿伯歹). 옹고알(雍古歹). 밀적사(蜜赤思). 항력(夯力). 고로정(苦魯丁). 귀적(貴赤). 갑자로(匣刺魯). 독로화(禿魯花). 삽자길답알(哈刺吉荅歹). 졸예찰알(拙兒察歹). 독로팔알(禿魯八歹). 화리자(火里刺). 감목로(甘木魯). 철예가(徹兒哥). 걸실미예(乞失迷兒).

 

 

금국인성『金國人姓』 (1115年)

 

완안(完顔)은 한조(漢朝)때 왕성(王姓)이다.

오고론(烏古論)은 상성(商姓).

걸석렬(乞石烈)은 고(高).

도단(徒單)은 두(杜).

녀해렬(女奚烈)은 랑(郞).

올안(兀顔)은 주(朱).

포찰(蒲察)은 리(李).

안잔(顔盞)은 장(張).

온적한(溫迪罕)은 온(溫).

석말(石抹)은 소(蕭).

오둔(奧屯)은 조(曹).

발술로(孛术魯)은 로(魯).

이자(移刺)는 류(劉).

알륵(斡勒)은 석(石).

납자(納刺)는 강(康).

협곡(夾谷)은 동(仝).

배만(裴滿)은 마(麻).

니망고(尼忙古)는 어(魚).

알준(斡准)은 조(趙).

아전(阿典)은 뢰(雷).

아리간(阿里侃)은 하(何).

온돈(溫敦)은 공(空).

오로(吾魯)는 혜(惠).

말안(抹顔)은 맹(孟).

도렬(都烈)은 강(强).

산답(散荅)은 락(駱).

가부삽(呵不哈)은 유(由).

조림답(鳥林荅)은 채(蔡).

복산(僕散)은 림(林).

술호(术虎)는 동(董).

우리갑(又里甲)은 왕(汪).

 

흉노선우성『匈奴單于姓』

 

흉노匈奴는 북적(北狄)의 일족(一族)으로 진(秦),한(漢)때 초고(最高)로 번성(繁盛)하였다. (BC 3~1세기)

지금(只今)의 외몽고지방(外蒙古地方)이며, 그 후 남(南),북(北)으로 나누어져 한(漢)나라 말 때 한(漢)과 화합(化合)하여 지금의 산서성에 많이 살고있다.

흉노(匈奴) 묵돌선우(冒頓單于)의 대제국(大帝國) 그 후

훈족(HUN 族).

선우(單于)는 흉노(匈奴) 왕(王)의 칭호(稱號)이다. 선우 (單于)의 성(姓)은 련제씨(攣鞮氏).

련제씨(攣鞮氏)의 대신(大臣)들은 호연씨(呼衍氏),란씨(蘭氏),수십씨(須十氏)의 그 후가 선우태자(單于太子) 명(名) 묵돌(冒頓)은 한조(漢朝)때 류씨(劉氏)이다.

또 혁련씨(赫連氏)의 원속(遠屬) 갈(羯)은 석씨(石氏)이며, 제왕(帝王)이다.

  * 료동(遼東) 색외(塞外)는 우문씨(宇文氏) 즉 후주(後周),북주(北周)의 태조(太祖) 성(姓)이다.

* 북량(北凉)은 저거씨(沮渠氏).

* 선비(鮮卑): 종족(宗族)이름으로 황제(黃帝)의 둘째아들 창의(昌意) 소자(少子)를 북토(北土)에 봉(封)하여 나라를 선비(鮮卑)라 했다.

북아세아(北亞細亞)에살던 몽고(蒙古) 퉁구스계에 속하는 유목민족의 하나

그 후 최성대(最盛大)하여 연(燕)에서 모용씨(慕容氏).

위(魏)에서 탁발씨(拓拔氏),모두가 제왕(帝王)이다.

* 롱서(隴西)에서 걸복씨(乞伏氏).

* 하서(河西)에서 독발씨(禿髮氏)로 왕(王)이다.

* 삭로(索虜): 변발(辮髮)를 하고있는 이적(夷狄)이란 뜻으로, 남조(南朝)사람이 북조(北朝)의 위인(魏人)을 부르던 말.

* 모용(慕容)의 선조(先祖)는 토욕혼(吐谷渾) 연연(蠕蠕)에서 탁발씨(托跋氏),고차씨(高車氏), 혹은 흉노종(匈奴種)이라 하며, 적씨(狄氏), 원씨(袁氏), 곡률씨(斛律氏), 해비씨(解批氏), 이씨(異氏), 기근씨(奇斤氏)가 있으며, 그 족(族)에는 십이성(十二姓)이 있다.

읍복리씨(湆伏利氏), 질로씨(叱盧氏), 을전씨(乙㫋氏), 아륜씨(阿崘氏), 막윤씨(莫允氏), 기분씨(俟分氏), 부복라씨(副伏羅氏), 걸표씨(乞表氏), 그 외 패씨(沛氏).

* 돌궐(突厥)에 아사나씨(阿史那氏). 설연타씨(薛延陀氏). 일리토씨(壹利吐氏).

* 거란(契丹)에 세리씨(世里氏) 즉 야률씨(耶律氏).

* 위이구르: 몽고(蒙古).투르키스탄(Turki stan)지방에 살고 있던 터어키계 민족(民族) 8세기 무럽 크게 번성했으며,당(唐)나라와 교섭이 있었다.

현재는 중국의 신강(新疆) 위이구르 자치구에 많이 살고있다.외올(畏兀).회흘(回紇).회골(回鶻).외오아(畏吾兒).

* 회흘(回紇) 위이구르(UIGUR) 즉 연연국(蠕蠕國)은 흉노(匈奴)의 별종(別種)으로 약라갈씨(藥羅葛氏).

* 사타(沙陀): 6세기 말 이래 알려진 터어키계(Turkey系) 유목민(遊牧民)의 부족 이름으로, 천산산맥(天山山脈) 방면에 자리 잡고 서돌궐국(西突厥國)을 이루고 있었으나, 나라가 망한 후에 염주(鹽州)로 옮겨 당(唐)나라에 예속 되었다.

그 후예(後裔)인 진대동절도사(進大同節度使) 사명(賜名) 리국창(李國昌)의 아들 리극용(李克用)은 오대(五代)의 진왕(晉王)에 봉(封)해졌고, 극용(克用)의 아들은 후량(後粱)을 멸(滅)하고 칭(稱)하기로 후당(後唐),후진(後晉),북한(北漢)이다.

초에 무씨(無氏) 후에 리씨(李氏) 후당(後唐).

* 지나달단(支那韃靼): 예전에 동몽고(東蒙古)에 살던 몽고계(蒙古系)의 유목민(遊牧民)으로 명(明)나라 이후로는 몽고지방(蒙古地方) 또는 몽고민족(蒙古民族) 전체를 가르킨다. 타타르(Tatar).

* 타타르: 달단(韃靼) 현재는 남(南)러시아로부터 시베리아 중부에 걸쳐 분포하는 북방 터어키(土耳其)(Turkey)계 주민을 일컬으며,거의 이슬람교을 신봉한다.

달단(韃靼)의 기악온씨(奇渥溫氏)가 원(元)나라의 태조(太祖) 제왕(帝王)이며, 중국을 세계속에서 크게 대성(大盛)한 성(姓)이다. 북로지 성자야(北虜之盛者也),

태조 성길사한(太祖 成吉思汗) 명 태무진(名 鐵木眞).

* 녀진(女眞)에 완안씨(完顔氏)는 금(金)나라의 제왕(帝王)이다. 동로지 성자야(東虜之盛者也).

* 강종(羗種)에 요씨(姚氏) 제왕(帝王).

* 후진(後秦)에 양씨(楊氏) 왕(王).

* 지씨(池氏) 종(種)에 포씨(蒲氏) 또 부씨(苻氏) 왕(王).

* 진(秦),토번(吐蕃)에 재발야씨(宰勃野氏)가 서로지 성자야(西虜之盛者也). 북(北)은 기악온씨(奇渥溫氏).

동(東)은 완안씨(完顔氏). 서(西)는 재발야씨(宰勃野氏)가 크게 나라를 번성(繁盛)시킨 성씨(姓氏)이다.

* 흉노(匈奴)의 선조(先祖)는 하후씨(夏后氏).

* 선비(鮮卑),모용(慕容),삭로(索虜),탁발(拓拔)의 선조(先祖)는 황제 헌원씨(黃帝 軒轅氏).

* 저,부씨(氐,苻氏)의 선조(先祖)는 유호씨(有扈氏).

* 강,요씨(羗,姚氏)의 선조(先祖)는 유우씨(有虞氏).

* 녀진(女眞)의 선조(先祖)는 숙신(肅愼).

숙신국(肅愼國)

산해경(山海經)에 숙신국은 백민북(白民北) 즉 백민은 고남이(古南夷)이다. 【書序】「成王旣伐東夷」숙신래하(肅愼來賀) 기원전(紀元前) 1127년경. 식신(息愼).직신(稷愼)이라 하며, 후한(後漢)때는 읍루(挹婁)이다.

강역(疆域)때는 부여천리(扶餘千里),원토북(元菟北) 삼천여리(三千餘里)이다.

이 모두의 선조(先祖)는 동이제국(東夷帝國)의 시조(始祖), 천황(天皇) 태호복희씨(太皥伏犧氏)의 손자(孫子)

지황(地黃) 황제헌원씨(黃帝軒轅氏)의 후예(後裔)이다.

 

황제(黃帝) 고분천하위구주(古分天下爲九州)

天下천하를 구주(九州)로 할지(割地)하여 관장(管掌) 하였다.

강음 단씨(江陰 段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단일하(段一河)는 명나라 때인 1509년에 장원급제하여 내원직각(內院直閣)에 올랐다.

단만리(段萬里)의 아들 단희상(段希詳)이 명나라 참정(參政)에 임명되어 1597년(조선 선조 30) 정유재란 때 원병을 이끌고 조선에 와서 풍양 조씨 조익보의 딸과 혼인하여 평양에 머물러 살게 되어 그를 중시조로 한다.

현대 인물[편집]

강릉 단씨(江陵 段氏)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고려 충렬왕 때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단간목(段干木)이다.

시조 단간목(段干木)은 지금의 경주 지방인 모양부(牟梁部)사람으로 고려(高麗) 충렬왕 때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했다. 단간목(段干木)의 아들 단홍인(段弘仁)이 고려 충숙왕 때에는 무과 선전관(宣傳官)을 지냈다는 기록이 있다.[1]

단양이(段楊爾) - 백제 오경박사(五經博士)

5세 단유인(段由仁)이 1459년(조선 세조 5년) 문과에 급제하고 포천현감(抱川縣監)을 지내며, 연안 단씨로 분적하였다. 단유인은 당대의 석학(碩學) 화담 서경덕과 동문수학을 할만큼 빼어난 인물이었다.

연안 단씨(延安 段氏)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단유인(段由仁)은 1459년(조선 세조 5년) 문과에 급제하고 포천현감(抱川縣監)을 지냈다.[1]

연안단씨(延安單氏)

단씨(單氏)는 우리나라 성씨의 298성이 실려 있는 《도곡총설(陶谷叢說)》이나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등 옛 문헌은 물론 중국에도 없던 성으로 1930년도 국세조사 당시 경기도 부천군 영흥면 내리에 살던 단명선(單明先) 1가구가 나타났다. 그의 아버지 단명선(單明善)이 어려서 고양·수원 등지를 전전하다가 그곳으로 왔다고 한다. 본관이 연안이란 것으로 보아 문헌에 나오는 연안탄씨(延安憚氏)나 연안단씨(延安段氏)의 오기가 아닌가 싶다.

2.한산 단씨(韓山端氏)

 관향의 유래(貫鄕由來)
한산(韓山)은 충남 서천군에 속한 곳으로 지명은 원래 백제 마산현(馬山縣)
인데, 신라 때 가림군(嘉林郡) : 임천의 옛 지명)에 속했다가 고려 초에
한산으로 고쳐, 다시 조선 태종 때 한산군(韓山郡)이 되었으나 1913년 서천군에
합병되어 한산면(韓山面)이 되었다.

 창씨연유(創氏緣由)
단씨(端氏)는 중국 동해(東海)에서 계출(系出)된 성씨로 청나라 덕종 때 사람인
단 방(端 方 : 호는 오초)의 후예(後裔)로 전한다.
우리나라 단씨(端氏)의 연원(淵源)은 문헌이 실전(失傳)되어 정확하게 상고
(詳考)할 수 없으며 1930년도 국세조사 때 부산 동래에 1가구가 있었다.
1985년 경제기획원의 통계에 의하면 남한에 살고 있는 한산 단씨(韓山端氏)는
총 36인으로 나타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