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옴] 서당개도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 김해모 2016.02.05 16:20 http://blog.daum.net/ky1002027/6583072

술을 마셔도 석잔!!!

못 먹어도 고!!!

그러다 못 나면 독박을 쓰는데 3번 고를 하면 따따블로 받고!

싸면 피를 못 가지고 오는데 3번 싸면 불행이 행운이 되어 이깁니다. 



서당개도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고 합니다. 

또한 가위 바위 보에서 보듯이 우리 민족은 3이란 숫자를 유난히 많이 사용합니다. 그런데 이것이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우리 민족의 무의식 속에 있는 정신세계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항공대 우실하 교수님의 강의 내용을 정리합니다. 

무지개 색이 몇종류냐고 물어보면 7가지 색깔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그러나 무지개는 모든 가시광선의 색이 포함돼 있어 특정 갯수의 색깔로 나누는 것은 우리의 사유체계의 산물일 뿐이다. 

우리나라엔 개항기 이후에 7색이라고 인식이 되었을 것이다. 

만일 조선시대에 무지개 색이 몇 종류냐고 물어보면 5색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음양 오행의 사고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더 오래로 들어가 상고시대에 물어보면 9가지 색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유치원생은 12색 크레용을 중고등학생은 24색내지 36색 물감을 사용한다. 

전부 무지개 색을 자른 것인데 사실 무한대로 자르기 가능하며 화가는 색을 만들어 새로운 색을 쓰기도 한다.

즉 무지개 색은 문화권 마다 다르게 인지하게 된다. 

무지개 색은 그리스시대 크세노폰은 3색, 아리스토텔레스는 4색, 세네카는 5색이, 뉴턴은 7색 이라고 대답했을 것이다. 

7색 무지개 보편화도기 시작한 것은 기독교문화의 영향으로 7색으로 고정되었고 뉴턴도 그 영향으로 7색 무기개라 대답한 것이다. 

성경에 7은 성스러운 숫자이기 때문인데 그 기원은 수메르가 원류이다. 


수메르 신화는 인류 최초의 기록으로 남아 있는데 우주에는 굉장히 많은 신이 존재한다는 표현을 60x60이라고 한다. 

많다는 것을 이렇게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 많은 신 중에서 운명을 결정하는 7신이 있는데 그들이 핵심적인 신이다.

저승사자도 7, 저승사자가 인도하는 지하로 통하는 대문도 7, 심판관도 7이고 하물며 영웅 길가메쉬 전쟁시 7개의 톱니바퀴로 이루어진 별모양의 도끼를 들고, 무게가 7탈란트이며 적을 무찌르러 가는 먼 길을 7개의 산을 건너서 7개의 물을 건너서 간다로 표현한다. 

태양신이 길가메쉬에게 동반시킨 사자도 7명이다.

대홍수도 7일 밤낮으로 왔고 기독교가 경전화 되면서 성경에 흡수되어 결국 Lucky 7등장한 것이고 따라서 무지개를 7색으로 인지 시작한 것이다. 


개항기 이전에는 동아시아에서는 한자문화권 음양오행의 사상에서는 5색으로 대답했을 것인데 오색찬란한 무지개라고 했을 것이다. 

전국시대 때 기원전 4세기정도에 음양오행사상 완비되어 체계화 된후 그때부터 개화기 이전 약 2500년이상을 5색으로 인지한 것은 음양오행의 사유체계의 산물이다. 

그 한참 이전의 몽고 만주 에벤키 야쿠트족의 전설민담에 풍부한 자료 존재하는데 이때는 9색 무지개였다. 


북방 유목민족에게 보편적으로 나오는 인식체계는 3수 분화의 세계이다. 

'3수 분화의 세계관" 즉 1-3-9-81로 숫자가 3배수로 나가는 것이다. 


훈민정음의 글자의 원리도 음양오행 삼재의 논리로 만든 것이다. 

기본 모음 3개 천지인이 기본으로 했다. 

음양오행과 전지인 삼재(三才)를 알아야 동양문화적 문법이 이해가 된다.



삼신할머니라고 하지만 원래는 삼일신이다.

우주도 하늘세계 중간세계 지하세계로 존재 3층의 세계를 잇는 신단수 혹은 생명수(樹나무)로 나누었다. 

뿌리가 9개이면 가지도 9개의 우주관이다. 


중국은 술을 먹어도 짝수, 축의금도 짝수, 요리도 짝수로 한다. 

중국은 3을 기피한다. 


3이 세번 반복되면 9가 된다.. 

9는 변화가 완성되는 완성의 수이다 

그래서 속담에 귀머거리 3년, 벙어리3년, 눈봉사3년 하면 혹독한 시집살이를 마치고 시어머니와 종속적인 관계에서 평등한 관계가 되어 곳간 열쇠를 맡긴다는 것이다. 

구미호는 3번을 재주를 넘어야 변한다. 왜 꼬리가 9일까...

구미호는 아홉이라는 상징수를 자기몸에 가지고 있다 외부의 도움없이 스스로 완성시킬 수 있다는 상징수이다. 

대신 변화를 할려면 재주를 세번 넘어야 한다. 

예쁜 처녀 둔갑 전설의 고향에 보면 꼭 마지막에 재주넘을 때 누군가 훔쳐 봐서 인간이 되는 소원을 이루지 못한다.



변화의 완성수 9에 자기 제곱을 하면 81이 되고 81은 우주적 완성수이다. 

몽골의 민담에 보면 예쁜 여인을 칭찬할때 "81가지 덕을 갖춘 여인"이라 표현하는데 이것이 3수 분화의 세계관을 그대로 보여주는 증거이다. 

최고의 찬사인 것이 81은 우주적 완성수이기 때문이다. 


징기즈칸 특등공신에게 공훈에 대한 부상으로 잘못을 9회까지 해도 징지스칸이 벌을 내리지 않는 특권을 준다 


반면 중국에는 1회에 한정적이다. 


몽골은 벌이나 상을 줄때 9수가 항상 존재한다. 

선물도 9의 배수로 그걸 9x9 예법이라 한다. 

그래서 칸에게 81마리의 가축을 선물한다. 


이런 예는 고려사에도 기록돼있다. 

고민도 3일간 하는 것이 변화의 계기 수가 3이기 때문이다. 

몽골의 천막가옥 게르의 석가래에 해당하는 지지대인 우니의 숫자는 81개이고 규모가 작으면 72개 일때도 있지만 거의 거주집은 81개이다. 



하나이면서 셋이고 셋이면서 하나라는 삼일관에서 시작한다.

하나가 계속 셋으로 분화된다.

중요한 상징성을 가진 상징수다.


삼수분화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