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트리아, 대하(大夏), 월지(月支), 쿠샨왕조 (박트리아 - 영문위키번역)
.bbs_content p{margin:0px;}

http://chosunsa.org/ssMain/d.jsp?menu_index=3

날짜: (2008-04-09 07:53:16.0)
 
[아무다르야: 다르야는 팔라비어로 바다 또는 강. 아무는 아물(Āmul)이라는 도시에서 유래하였고, 현재의 Türkmenabat(39.5N, 63.3E)이다. Türkmenabat은 시릴릭어로 turkmen이고, 투르크메니스탄 레밥주의 주도(州都)이며, 공식명칭은 Chardzhou이고, 또는 Chardjui이며 그 뜻은 네개의 강이다. 아무다르야는 vakhsh강과 panj강이 합류된 강으로, 현지인은 에덴동산 또는 천국의 네개의 강 중의 하나인 gihon에서 유래된 jayhoun이라고 부른다. 희랍어로 Oxus강이라고 하며, 유래는 Vakhsh(왁쉬)강이다. 옥수스강은 Matsya Purana(비슈누의 첫번째 화신의 신화)에서는 Chakshu강이고, Tushara (Rishika?)족, Lampaka족, Pahlava족, Parada족과 Shaka족의 나라를 통과한다(마하바라타 힌두 서사시에 나오는 부족명).
해석: 아무다르야는 한자로 알목하, 아목하이다. 투르크멘니스탄에서는 ‘투르크멘’이라고 하는데 토문(土門), 두만과 음이 유사하다. 위 내용으로 볼 때 에덴의 위치가 아무하가 될 수 있으며, 마하바라타 힌두서사시의 역사적 배경이 아무하가 될 수 있다. 또 박트리아는 페르시아어로 ‘박타르’이므로 ‘배달’과 통한다.
사천성은 四川이므로 아무 다르야강의 유래와 일치하는 네 개의 강이다. 인류의 시원은 중앙아시아이기 때문에 사천성의 지명도 위에서 따왔을 것이다.]
 
박트리아, 대하(大夏), 월지(月支), 쿠샨왕조
 
Bactr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search
"Bactrian" redirects here. For the camel, see Bactrian camel. For the language, see Bactrian language.
 

   Map of Bactria 박트리아 지도

Ancient cities of Bactria. 박트리아의 고대 도시
 
Bactria (Bactriana, Bākhtar in Persian, also Bhalika in Arabic and Indian languages, and Daxia in Chinese) was the ancient Greek name of the country between the range of the Hindu Kush and the Amu Darya (Oxus); its capital, Bactra or Balhika or Bokhdi (now Balkh), was located in what is northern Afghanistan.
Bactria was bounded on the east by the ancient region of Gandhara. The Bactrian language is an Iranian language of the Indo-Iranian sub-family of the Indo-European family.
The Bactrians are one  of the main ancestral lines of the modern-day Tajiks.[1]
박트리아: 페르시아어로박트리아나, 박타르, 아랍어와인도어로발리카, 한자로대하(大夏). 박트리아는 힌두쿠쉬와 아무다르야(옥수스) 사이 영역에 있는 나라로서 희랍어 이름이었다. 수도는 박트라 또는 발히카 또는 보크디(현재의 발크흐)이고, 아프가니스탄 북부에 있다.
박트리아는 동쪽으로 간다라의 고대 영역과 경계가 된다. 박트리아 언어는 인도 유럽어계의 인도 이란어 아래의 이란 언어이다.
박트리아족은 현재의 타직크족(타지크스탄)의 주요한 조상의 하나이다.
 
 
Geography
Bactria is basically what is now northern Afghanistan. It is a mountainous region with a moderate climate. Water is abundant and the land is very fertile. Bactria was the home of one  of the Iranian tribes. Modern authors have often used the name in a wider sense, as the designation of all the countries of Central Asia.
지리:
박트리아는 기본적으로 현재 아프가니스탄 북부에 있다. 그 곳은 따뜻한 날씨의 산지(山地)이다. 물은 풍부하고 땅은 비옥하다. 박트리아는 이란부족 중의 하나의 고향이었다. 현대의 작가들은 종종 이 이름을 넓은 의미로 ‘중앙아시아의 모든 국가’ 명칭으로 사용해왔다.
 
 
History
Bactria-Margiana Archaeological Complex (BMAC)
 
Godesses, Bactria, Afghanistan, 2000-1800 BCE
 
The Bactria-Margiana Archaeological Complex (BMAC, also known as the "Oxus civilization") is the modern archaeological designation for a Bronze Ageculture of Central Asia, dated to ca. 2200–1700 BC, located in present day Turkmenistan, northern Afghanistan, southern Uzbekistan and western Tajikistan, centered on the upper Amu Darya (Oxus), in area covering ancient Bactria. Its sites were discovered and named by the Soviet archaeologist Viktor Sarianidi (1976). Bactria was the Greek name for the area of Bactra (modern Balkh), in what is now northern Afghanistan, and Margiana was the Greek name for the Persian satrapy of Margu, the capital of which was Merv, in today’s Turkmenistan.
According to some writers, Bactria was the homeland of Aryan tribes who moved south-west into Iran and into North-Western India around 2500-2000 BCE Later it became the north province of the Persian Empire in Central Asia.(Cotterell, 59) It was in these regions, where the fertile soil of the mountainous country is surrounded by the Turanian desert, that the prophet Zarathushtra (Zoroaster) was said to have been born and gained his first adherents. Avestan, the language of the oldest portions of the Zoroastrian Avesta, was onc e called "old-iranic" which is related to Sanskrit. Today some scholars believe the Avestan-Language was the western dialect of the Sanskrit because both languages are the oldest Indo-Iranian language of Aryans we know. With the time the Avestan-Language became developed by own western style.
역사:
박트리아-마르기아나 유적군(BMAC)
BMAC는 옥수스 문화라고 하며, 중앙아시아의 현대의 고고학 명칭이고, BC2200-1700년이며, 투르크메니스탄, 북부 아프가니스칸, 남부 우즈베키스탄, 서부 타지키스탄에 있고, 중심은 고대 박트리아 영역의 아무다르야(옥수스)강의 상류에 있다. 이 곳은 소련 고고학자 빅토르 사리아니디(1976)가 발견하고 이름을 붙였다. 박트리아는 현재의 북부 아프가니스탄의 박트라(현 발크) 지역에 대한 희랍 이름이었고, ‘마르기아나’는 마르구의 페르시아 군주에 대한 희랍어 이름이며, 마르구의 수도는 현 투르크메니스탄의 메르브(MERV)이었다. [MERV: 한자로 목록(木鹿), 페르시아어로 Mary, 12세기 최대 도시. Mary주의 주도, 위치는 37.6N, 61.8E]
작가들에 따르면, 박트리아는 아리안족의 고향이었으며, 그들은 BC2500-2000년에 남서쪽으로는 이란에 들어갔고, 인도 북서부에 들어갔다. 그 후 중앙아시아의 페르시아 제국 (550–330 BC)의 북부 주가 되었다. 바로 이 지역은 산이 많은 나라의 비옥한 토지가 투란 사막으로 둘러쌓여 있으며, 조로아스터교의 예언자 Zarathushtra가 태어나고 첫번째 신봉자들을 얻었던 지역으로 알려졌다. 아베스탄 언어는 조로아스터교 성전의 고대 언어로, 산스크리트어와 관련있는 고(古) 이란어였다. 오늘날 몇몇 학자들은 아베스탄 언어는 산스크리트어의 서부 방언이었다고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두 언어가 아리안족의 가장 오래된 인도-이란어였기 때문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베스탄 언어는 서양식으로 발전되었다.
 
 
Cyrus and Alexander
See main article: Bactria (satrapy)
It is not known whether Bactria formed part of the Median Empire, but it was subjugated by Cyrus the Great, and from then formed one  of the satrapies of the Persian empire. After Darius III of Persia had been defeated by Alexander the Great and killed in the ensuing chaos, his murderer Bessus, the satrap of Bactria, tried to organize a national resistance based on his satrapy.
Alexander conquered Sogdiana and Iran without much difficulty; it was onl y in to the south, beyond the Oxus, that he met strong resistance. After two years of bloody war Bactria became a province of the Macedonian empire, but Alexander never successfully subdued the people. After Alexander’s death the Macedonian empire was eventually divided up between generals in Alexander’s army. Bactria became a part of the Seleucid empire, named after its founder, Seleucus I.
씨루스와 알렉산더:
박트리아가 메디안 제국의 일부가 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씨루스 대왕(590 BC 또는 576 — 530 BC)에 의해 종속되었으며, 그 때부터 페르시아 제국의 군주의 하나가 되었다(사트라피는 산스크리트어로 크샤트리야(kshatriya)이고 군인계급 또는 왕).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3세가 알렉산더 대왕에 의해 패배하고 뒤이은 혼란에서 살해당한 후에, 시해자 베수스(BC329사망)는 박트리아의 군주인데, 그의 군주에 기초한 국민저항군을 조직하려 했다.
알렉산더는 별 어려움 없이 소그드(이란족, 粟特)와 이란을 정복했다; 강력한 저항에 부딪힌 곳은 옥수스강을 넘어 남쪽 뿐이었다. 알렉산더 사후 마케도니아 제국은 결국 알렉산더 장군들(의 국가)로 분리되었다. 박트리아는 창건자 셀로우코스를 따서 셀로우코스(BC312-64년) 왕조의 일부가 되었다.
 
[소그디아: 이란족의 고대문명으로 한자로 속특이고, 페르시아어로 수구다이다. 현 우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 부하라, 후잔드(khujand), 케쉬이다. 주 도시는 사마르칸. 위치는 박트리아의 북쪽, 콰레즘(화레즘)의 동쪽, 강거(康居)국의 남동쪽에 있으며, 자라프샨 계곡을 따라 아무다르야와 시르다르야 강 사이에 있다.
강거(康居)국: 대완(大宛, Ferghana)의 북서쪽의 왕국으로 소그드 왕국의 시기이다. 한나라 장건이 BC128년 방문함. 이 부족은 월지족을 닮았고, 월지국은 남쪽에 흉노는 동쪽에 있다(월지국이 박트리아).
한나라 때 장건이 갔었던 지역으로, 이 지역은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지로, 희랍국가입니다. 따라서 한자 이름과 희랍 이름이 있습니다.]  
 
 
Seleucid Empire
The Macedonians (and especially Seleucus I and his son Antiochus I) established the Seleucid Empire, and founded a great many Greek towns in eastern Iran, and the Greek language became dominant for some time there.
The paradox that Greek presence was more prominent in Bactria than in areas far more adjacent to Greece could possibly be explained by the supposed policy of Persian kings to deport unreliable Greeks to this the most remote province of their huge empire.[citation needed]
셀레우코스 왕조: (영어 사전)
마케도니아인들(특히 셀레우코습세와 그의 아들 안티오쿠스1세)는 셀루우코스 왕조를 열었고, 동부 이란에 거대한 희랍 도시를 건설했으며, 희랍어가 이곳에서 오랫동안 지배적이었다.
{번역 생략}
 
Greco-Bactrian Kingdom
 
Gold stater of the Greco-Bactrian king Eucratides, the largest gold coin of Antiquity.
 
Map of the Greco-Bactrian at its maximum extent, circa 180 BCE
[Sogdiana는 속특, Ferghana는 대완, Bactria는 대하, Parthia는 안식국]
 
The many difficulties against which the Seleucid kings had to fight and the attacks of Ptolemy II of Egypt, gave Diodotus, satrap of Bactria, the opportunity to declare independence (about 255 BCE) and conquer Sogdiana. He was the founder of the Greco-Bactrian kingdom. Diodotus and his successors were able to maintain themselves against the attacks of the Seleucids - particularly from Antiochus III the Great, who was ultimately defeated by the Romans (190 BCE).
The Greco-Bactrians were so powerful that they were able to expand their territory as far as India:
"As for Bactria, a part of it lies alongside Aria towards the north, though most of it lies above Aria and to the east of it. And much of it produces everything except oil. The Greeks who caused Bactria to revolt grew so powerful on account of the fertility of the country that they became masters, not onl y of Bactria and beyond, but also of India, as Apollodorus of Artemita says: and more tribes were subdued by them than by Alexander...." [2]
그레코-박트리아 왕국: [BC250-125] [그레코는 ‘그리스의’ 의 뜻]
셀로우코스 왕들이 부딪힌 어려움과 이집트의 프톨레미2 세의 침략으로 인하여, 박트리아의 군주 디오도투스는 기원전 255년 독립을 선언하고 소그드 왕국을 정복할 기회를 갖게 된 것이다. 디오도투스와 그의 후계자들은 셀로우코스의 침략(특히 안티무스 3세 대왕)으로부터 대항할 수 있었다.(안티무스3세는 로마제국에 의해 결국 패배당함)
그레코-박트리아는 강력해서 인도까지 영역을 확장할 수 있었다:
“박트리아는, 그 일부는 아리아의 북쪽에 놓여 있고, 대부분 아리아 위쪽과 동쪽이다. 석유를 제외한 모든 것이 생산된다.  박트리에서 반란을 일으켰던 희랍인들은 토지가 비옥해서 강력해졌으며 박트리아와 그 주변 그리고 인도에서 주인이 되었으며, 아르테미타의 아폴로도루스(희랍작가)가 말하는 바와 같이: 많은 부족들은 알렉산더에 의해서가 아니라 희랍인들에게 정복되었다.”
 
 
Indo-Greek Kingdom: 인도-희랍(그리스) 왕국
Main article: Indo-Greek Kingdom
 
The founder of the Indo-Greek KingdomDemetrius I (205-171 BCE), wearing the scalp of an elephant, symbol of his conquest of India.
인도-희랍 왕국의 개창자 데메트리우스(BC205-171)는 꼬끼리 머리 가죽을 쓰고 있는데, 인도 정복의 상징이다.
 
The Bactrian king Euthydemus and his son Demetrius crossed the Hindu Kush and began the conquest of Northern Afghanistan and the Indus valley. For a short time they wielded great power; a great Greek empire seemed to have arisen far in the East. But this empire was torn by internal dissensions and continual usurpations. When Demetrius advanced far into India one  of his generals, Eucratides, made himself king of Bactria, and soon in every province there arose new usurpers, who proclaimed themselves kings and fought one  against the other.
Most of them we know onl y by their coins, a great many of which are found in Afghanistan, Pakistan and India. By these wars the dominant position of the Greeks was undermined even more quickly than would otherwise have been the case. After Demetrius and Eucratides, the kings abandoned the Attic standard of coinage and introduced a native standard, no doubt to gain support from outside the Greek minority. In India, this went even further. Indo-Greek King Menander I (known as Milinda in India), recognized as a great conqueror, converted to Buddhism. His successors managed to cling to power somewhat longer, but around 10 CE all of the Greek kings were gone.
인도-희랍 왕국:
박트리아 왕 유티데무스와 아들 데메트리우스는 힌두쿠쉬를 넘어서 북부 아프가니스탄과 인두스 계곡을 정복하기 시작했다. 짧은 시간에 그들은 권력을 휘둘렀다; 대 희랍제국은 극동에서 일어서는 것 같았다. 그러나 이 제국은 내부 불화와 계속된 왕위찬탈로 분열되었다. 드메트리우스가 인도로 진격할 때, 그의 장군 유크라티데스은 스스로 박트리아의 왕이라 했으며, 곧 모든 지역에서 찬탈자가 나타났으며, 자신을 왕이라 하고 서로 싸웠다.
그들 대부분을 오직 그들의 주화로만 알 수 있는데, 주화의 대부분은 아프카니스탄, 파키스탄, 인도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전쟁에 의해서 희랍인들의 우세적인 위치는 다른 경우보다 훨씬 빨리 깎아 내려갔다. 데메트리우스와 유크라티데스왕은 아테네의 표준 주화를 포기하고 토착 표준을 도입했는데, 희랍 소수민족 밖에서 지원을 얻기 위해서였다. 인도에서 이것은 훨씬 더 진척되었는데, 인도-희랍왕 메난데르(밀린다왕)은 대 정복자로서 불교에 귀의했다. 그의 계승자는 좀 오랫동안 그럭저럭 권력을 유지했지만, 기원10년쯤에 모든 희랍의 왕들은 사라졌다.
 
[대승경전 밀린다王問經에 밀린다왕과 비구 나가세나와의 문답이 있다. 이 경전은 한글로 번역되 한국 사찰에 많이 보급되었다. 희랍인들이 불교에 귀의하게 된 것은 전불시대(역사이전의 부처의 시대)에 불교를 믿었었기 때문이고, 소크라테스의 철학으로 인해 고등 불교를 받아들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왕문경에 보면 밀린다왕의 질문은 상당히 수준이 높다. 서양인 답게 질문이 직설적이다. 또 희랍어, 페르시아어, 산스크리트어는 같은 언어에서 유래된 것이기 때문에 불교를 이해하는데 빠른 것이다.
인도-희랍왕국은 기원10년 인도-스키타이인의 침공으로 멸망했다. 이 시기에 파키스탄의 동부에 ‘Taxila’라고 하는 도시들이 있었는데 이 도시들에 여러 왕가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왕국은 대승불교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 특히 불상을 조각함. 초기불교에서는 불제자는 부처를 존중하는 의미로 보리수 아래에 앉아 있는 부처의 모습에서 보리수와 그의 제자들만 그리고 부처의 모습은 ‘좌대’만을 표시했다. 그러나 희랍인들은 부처를 신으로 여겼기 때문에 신상처럼 불상을 조각한 것이다.]
 
 
Sakas and Yuezhis
 
The treasure of the royal burial Tillia tepe is attributed to 1st century BC Sakas in Bactria.
왕실 부장품 틸리야 테페는 BC1세기 박트리아의 사카족의 것이다.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 Sakas were related to the Buddha’s original clan, Shakya.
The weakness of the Greco-Bactrian empire was shown by its sudden and complete overthrow, first by the Sakas, and then by the Yuezhi (who later became known as Kushans), who had conquered Daxia (= Bactria) by the time of the visit of the Chinese envoy Zhang Qian, who was sent by the Han emperor to investigate lands to the west of China circa 126 BC.[3]
But then its emergence, isolated thousands of miles from Greece, could onl y be described as a paradox. However, its cultural influences were not completely undone; an artistic style mixing western and eastern elements known as the Gandhara culture survived the empire for hundreds of years.
사카(塞,새)족과 월지(月支)족:
사카족이 부처의 씨족 샤키야족과 관련이 있다는 증거는 없다.
그레코-박트리아 제국의 몰락은 갑자기 완벽히 전복되었는데, 먼저 사카족에 의해서, 그 다음은 월지족에 의해서였다. 월지족은 나중에는 쿠샨(貴霜 ,귀상)족이라고 한다. 쿠샨족은 대하(박트리아)를 정복했는데 그 당시는 한무제의 장건이 방문할 때이고 기원전 126년에 서역을 조사하기 위해 파견된 것이다.
그러나 쿠샨왕조의 출현은 희랍에서 수천마일 떨어진곳에서는 역설로 서술될 뿐이었다. 그러나 그 문화적 영향은 완전히 끝난 것이 아니다; 간다라 문화라고 하는 동서양의 예술적 혼합은 수백년동안 제국에서 살아남았다.
 
 
Contacts with China
 
Zhang Qian taking leave from emperor Han Wudi, for his expedition to Central Asia from 138 to 126 BCE, Mogao Caves mural, 618-712 CE.
장건의 한무제와의 이별, 기원전138-126년 중앙아시아 탐방, 서기 618-712년의 막고굴 벽화.
 
The name Daxia appears in Chinese from the 3rd century BCE to designate a mythical kingdom to the West, possibly a consequence of the first contacts with the expansion of the Greco-Bactrian Kingdom, and then is used by the explorer Zhang Qian in 126 BCE to designate Bactria.
The reports of Zhang Qian were put in writing in the Shiji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by Sima Qian in the 1st century BCE. They describe an important urban civilization of about one  million people, living in walled cities under small city kings or magistrates. Daxia was an affluent country with rich markets, trading in an incredible variety of objects, coming as far as Southern China. By the time Zhang Qian visited Daxia, there was no longer a major king, and the Bactrian were suzerains to the nomadic Yuezhi, who were settled to the north of their territory beyond the Oxus (Amu Darya). Overall Zhang Qian depicted a rather sophisticated but demoralized people who were afraid of war.
Following these reports, the Chinese emperor Wu Di was informed of the level of sophistication of the urban civilizations of Ferghana, Bactria and Parthia, and became interested in developing commercial relationship them:
"The Son of Heaven on hearing all this reasoned thus: Ferghana (Dayuan) and the possessions of Bactria (Daxia) and Parthia (Anxi) are large countries, full of rare things, with a population living in fixed abodes and given to occupations somewhat identical with those of the Chinese people, but with weak armies, and placing great value on the rich produce of China" (Hanshu, Former Han History).
These contacts immediately led to the dispatch of multiple embassies from the Chinese, which helped to develop the Silk Road.
중국과의 교류:
대하는 기원전3세기 중국에서 서역의 신비왕국을 가리키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아마도 그레코-박트리아 왕국의 확장과 더불어 첫번째 접촉의 결과일 것이고, 기원전 126년 장건에 의해 박트리아를 가리키는 것으로 쓰여졌다.
장건의 보고서는 기원전 1세기 사마천의 사기에 기록되어있다. 약 백만의 사람들이 작은 왕 또는 지사의 통치아래 성안에서 살고 있는 문명도시를 서술하고 있다. 대하는 시장이 활기찬 부유한 나라이고, 다양한 물품을 거래하고, 멀리는 남부 중국까지 거래한다. 장건이 대하를 방문할 때는, 주요한 왕이 없었으며, 박트리아 왕국은 월지족 유목민을 지배하고 있었고, 월지족은 옥수스강(아무다르여) 넘어 왕국의 북쪽에 거주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장건은 전쟁을 두려워하고 교활하고 풍속이 문란한 사람들이라고 서술했다.
다음 보고서에서, 한무제는 페르가나(대완), 박트리아(대하), 파르티아(안식국)의 복잡한 도시문명을 듣고서 그들과 상업교류에 관심을 가졌다:
 “천자는 이 모든 것을 듣고서 이와 같이 생각했다: 페르가나(대완)와 박트리아(대하)와 파르티아(안식)은 큰 나라이고, 희귀한 것이 많고, 고정된 장소에 거주하고, 중국인과 어느정도 같은 직업을 가지고 있지만, 군대는 약하고, 중국의 풍부한 물산에 관심을 갖는다.(한서, 전한)
이러한 교류는 즉각 중국에서 여러 사신을 파견하게 되었고, 실크로드를 발전시키게 하였다.
[위는 깊이 있는 내용이 없어 보입니다]
 
 
Tokharistan
 
Kushan worshipper with Zeus/Serapis/Ohrmazd, Bactria, 3rd century CE.[4]
 
Kushan worshipper with Pharro, Bactria, 3rd century CE.[5]
 
토하리스탄: 토하리 왕국
Following the settlement of the Yuezhi (described in the West as "Tocharians"), the general area of Bactria came to be called Tokharistan. From the 1st century CE to the 3rd century CE, Tokharistan was under the rule of the Kushans. They were followed by Sassanides (Indo-Sassanids). Later, in the 5th century, it was controlled by the Xionites and the Hephthalites. In the 7th century, after a brief rule under the TurkishKhaganats, it was conquered by the Arabs.
This article incorporates text from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Eleventh Edition, a publication now in the public domain.
월지족이 정착함에 따라(서 양에서는 ‘토차리언’이라고 함) 박트리아의 일반적인 지역은 토하리스탄으로 불려졌다. 기원 1세기부터 3세기까지, 토하리스탄은 쿠샨왕조의 통치아래 있었다. 그 다음은 사사니드왕조의 통치를 받았다. 그 후 5세기에 씨오니테와 헤프탈리테의해 지배되었다. 7세기 돌궐 가한(왕)의 짧은 통치 후에는 아랍에게 정복되었다.
[토하리스탄의 영역은 쿠샨 박트리아와 같으며, 남부 타지키스탄, 북부 아프가니스탄과 Surxondaryo(아무강 지류)강이다.
 
 
이전글 돈황은 천산 주변이고, 월지족이 거주하던 곳이다.
다음글 오이라트(와랄)의 위치는 준가르분지, 티벳, 카스피해 칼미키아 공화국

현재 글에 달린 댓글 수 : 3개
댓글 3. 신화는 동서양이 공유 중산 2008-04-09 18:50:24.0



박 트리아는 페르시아어로 박타르이므로 박달, 배달이 됩니다. 즉 배달의 역사를 이란인 희랍인과 공유한다는 것입니다. 상고시대의 고조선, 삼한의 역사는 페르시아,인도,그리스와 공유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즉 고조선의 역사중에서 그리스 로마신화, 힌두신화, 페르시아 신화 등의 내용은 고조선의 역사를 가리킬 수 있다고 봅니다.
특히 신라의 이름 지명을 보면 범어, 페르시아어, 희랍어와 닮은 것이 많습니다.
신화중에서 내용이 같다면 연원이 같은 것에서 출발하여 각색되어 변형된 것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몽골-돌궐의 텡그리 신앙은 단군신앙과 같은 것입니다. 이것은 미주 인디언까지 해당됩니다.
댓글 2. 전불시대 중산 2008-04-09 18:32:19.0



  위키영문사이트 참고서적을 보면 주로 서양인 학자입니다. 부처는 1만년, 5천년, 3천년 이내에몇 천만년동안 출현해왔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것은 문명주기설에 따른 것으로, 사상이 상당한 수준에 도달해야, 부처가 출현하여 설법을 하는 것입니다. 원시시대에는 출현해도 알아듣는 사람이 없기 때문임. 부처의 출현이후 문명은 더욱 고도화 되고, 일반적으로 최후에는 물질과학 수준이 높아지고, 정신적인 수준은 떨어지게 됩니다. 그리하여 최후에는 전쟁, 사막화, 질병, 지각변동, 혜성충돌 등으로 인류의 문명은 하루아침에 또는 시간을 두고 사라지게 됩니다. 소겁, 중겁, 대겁이라 하는데, 긴 기간에 일어난 재앙 또는 넓은 지역의 재앙을 대겁이라 한다면, 짧은 기간 좁은 범위의 재앙은 소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주기는 종류가 엄청 많습니다.
  적어도 1만년에 한번씩 문명은 고도화되고 지구는 엄청난 재앙으로 인하여 살아남은 소수에 의해 원시시대로 돌아가게 됩니다.

  불경은 시간개념이 희박하여 몇천년전의 일도 몇 겁전이라고 쓰는데, 1겁은 어떤때는 1억년입니다.
 원시7불은 시간적으로 무슨 의미인지 알 수 가 없습니다. 두가지로 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백만년 동안이면 백만명의 부처가 출현한 것으로 보면, 이 기간의 대표적인 부처를 원시7불의 하나로 적는 방식입니다. 그러면 원시7불 중 한분 한분마다 백만년마다 출현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총 7백만년이 됩니다.
  적어도 원시 7불은 석가모니 직전의 부처이름이 아니고, 몇 십만년전, 몇 백만년 전의 부처 이름입니다.

역사 이전은 사료가 별로 없으므로 무슨 시대구분을 못하지만, 수련계에서는 지구의 역사를 모모 부처의 시대로 구분하는 것입니다. 현재의 시기는 '석가모니불 시대'에 해당되고 거의 끝나가는 시점입니다.

댓글 1. 전불은 가섭불 최남석 2008-04-09 12:38:45.0



 전불은 가섭불입니다  대승공교 이지요 새거란 (스기타이) 으로서 알타이에서 발상한 새부루(서가불)은 주술밀교 입니ㄷ
페르시아 가 이란 북부에 있다가 지금의 페르시아로 갔는데 달마대사 가 이곳 원 페르시아 출생이고  달마는 가섭의 공교를 계승하여 지나에 전했으며 니힐리즘이 이곳에서 발상한 사상으로 쏘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야스퍼스  니체로 이어지다 정치적 허무주의로 악화 되어 나찌의 파시즘이 나왔습니다  (최남석 연구 미완성 결론)

기고 하신 글은 저자가 누구인지 모르지만 저 하고 맥락이 닿아 있네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