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基文> 물의 15세기 표기는 ‘믈’이다. 신라어에 ‘勿(믈)’이 보인다. 일본어에는 '건너가다라는 말은 涉(섭)또는 渡라고 쓰고 wata-ru(わた-る)라고 훈독한다. 현대 일본어의 바다라는 말은 'umi(うみ)'이다. 물론 이말은 고대 한국어의 물을 의미하는 '믓'이 일본에 건너가면서 '믓>므스>미즈'라는 음운 전환을 거쳐서 일본어 'mizu(みず=水)'가 되고 바로 물을 의미하는 '미즈가 현대 일본어의 바다를 의미하는 'umi(うみ)'의 어원이 되었다. 한국의고어 '믓'(mws=물-중세이전의 고어로서 한국어에서는 유음화 현상으로 믈<물이된다) 일본어 'みず'[mizu=水-한국고어인 '믓'이 '믓<므스<미즈 '로 음운전성(믓의 종성 'ㅅ'은 개음절화해서 '스'로 독립음절화하여 '므스'가 되고 같은 모음끼리의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첫음절의 모음 '므'가 '미'로 전성되고 두번째 음절의 초성 ㅅ과 ㅈ은 같은 계열의 음으로 서로 호환됨)] 하지만 그보다 고대에는 즉 일본어의 고어에는 바다는 현대 한국어의 바다와 똑같은 음가인 wata(海)가된다. 현대일본어에서는 wata에 동사를 나타내는 접미사 ru가 붙어 이제 '건너다 또는 지나가다'라는 말로 확장 변형되어 쓰이지만 이 wata-ru의 어근은 바다를 의미하는 'wata'인 것이다. 한국어 bada(바다) 일본고어 wata (わた=바다) 현대일본어 wata-ru(わた-る=건너다) 한국의 ㅂ계열의 입술음이나 고어인 순경음 ㅸ의 음가는 w음가와도 호환된다(곱다라는 말이 '곱다<고부니<고우니로 전성되는 경우를 상기하라) 따라서 bada가 wata가 되는 것은 순음끼리의 교차라 할 수 있다
퉁구스어 mŭ (水)
만주어 muke (水)
일본어 mizu (水)
일본어 모레루(moreru, 洩)의 어근‘몰(mol)-’은 국어 물에 그 어원이 있다. 만주어에서는 무케(mukhe)이고, 퉁구스어에서는 무(mu)인데, 무(mu)는 국어 물의 ㄹ 탈락 현상과도 같다. 몽골어에 닐 모순(nil mosun, 淚)이 있는데, 모순(mosun)은 물의 뜻을 지닌다. 어근 ‘믓(mws)-’의 조어형은 ‘몯(몰)’이다. 역시 국어 물과 어원이 같다. 이와 같이, 물은 국어, 몽골어, 만주어, 일본어 등에서 같은 어원을 지니고 있다. 미르[龍]는 수신(水神)으로서, 또한 물의 어원을 지닌다.은하수를 우리의 고유어로 미리내라고 하는데, 미리는 물의 원음으로 볼 수 있는 말이다. 미리내는 물이 흐르는 내라는 뜻이다. <徐廷範>․믈¹ 몽고어 mӦren (江)
Water 원시 게르만어로 와트(wat)이고 원시 인도-유럽어 와드(wodr)이다. 현재 물은 게르만어 와셔(wasser),네덜란드어 와터(water),러시아어 보다(voda)이다. 'ㅸ'음가가 'w'와 호환되므로 우리말 '바다'가 일본어,원시 게르만어,인도-유럽어 '와트'와 관련 있어 보인다.
'물을 붇다'라는 표현에서 붇다에서 어근은 '붇'인데 받+아> 바다 '받' 동일 어원 '믓'이다. 러시아어 '보다(voda)'는 우리말 '바다'와 소리가 거의 유사 하다.
물(水)의 어원
2009. 2. 21. 1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