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후(皇后)의 품격(品格) 인물관계
2018년 11월 드라마 연속극(連續劇) ‘황후(皇后)의 품격(品格)' 가 시작한다고 하네요.
황후(皇后)의 품격(品格) 인물관계
‘입헌군주제 (立憲 君主制) 시대(時代)’, 대한제국(大韓帝國) 이라는 가정 하에,
황후(皇后) 오써니 역役의 장나라(張娜拉)
황실(皇室) 경호원(警護員) 천우빈 역의 최진혁(崔真赫)
황제(皇帝) 이혁 역의 신성록(申成祿)
대비(大妃) 강씨 역의 신은경(申恩慶)
민유라 역의 이엘리야(李 Elija) 등, 출연(出演)해요.
어느 날 갑자기 신데렐라가 돼 황제에게 혼인(婚姻)한 명랑(明朗) 발랄(潑剌) 뮤지컬 배우(配偶)가 황궁(皇宮)의 절대권력(絶對權力)과 맞서 투쟁(鬪爭)하다가 대왕대비(大王大妃) 살인사건(殺人事件)을 계기(癸期)로 황실(皇室)을 붕괴(崩壞)하고 진정한 사랑과 행복(幸福)을 찾는 이야기에요.
대한제국(大韓帝國)의 유래를 살펴보겠어요.
1897년 10월 12일 고종태황제(高宗太皇帝)께서 환구단(圜丘壇)에 올라 천제(天帝)에 제사를 올린 후 칭제건원(稱帝建元), 즉 황제(皇帝)라 칭(稱)하고 독자적인 연호(年號)를 만들었어요. 연호(年號)는 광무(光武)로, 국호(國號)는 '대한(大韓)' 으로 하였고 마침내 '대한제국(大韓帝國, The Empire of Korea)'을 선포(宣布)하였어요.
대한제국 국가(大韓帝國 國歌)에서 ‘상제보우황제성상 上帝保佑皇帝聖上’, ‘하느님은 우리 황제를 도우소서‘ 구절이 반복되어요.
황실의 문장(紋章)으로 이화(李花, 오얏꽃)를 사용했는데 오얏은 자두에요. 자두는 본디 자도(紫桃, 자줏빛 복숭아)라 했디요. 자두 열매가 복숭아처럼 생겼고 자주 빛깔이기 때문이디요. 하늘의 색으로 하늘의 제왕인 옥황상제(玉皇上帝), 북극성과 북두칠성이 있는 곳, 곧 자미원(紫薇垣)을 뜻하기도 해여.
오얏꽃, 자두나무 꽃
대한군(大韓軍) 군복 모자 제국익문사 오얏 인장
제국익문사는 대한제국의 비밀정보 조직입니다.
성충보좌(聖聰輔佐)라는 글씨가 새겨져 진 제국익문사 고유의 인장을 사용했습니다.
이제 한자를 알아볼까 혀요.
‘皇 임금 황’ = 白 (흰 백) + 王 (임금 왕)
皇 王
금문(金文)의 위쪽은 해가 빛나는 모양 또는 머리의 왕관이 빛나는 모양이고 아래쪽은 도끼 모양으로 임금을 상징하는 물건이에요. 어휘로는
황후皇后 황제皇帝 황태자皇太子 황실皇室 황궁皇宮
后 임금 후, 왕비 후
‘司 맡을 사’ 와 ‘后 임금 후’ 갑골문 및 금문
‘司 맡을 사’ 와 ‘后 임금 후’ 의 갑골문은 권위를 상징하는 도구와 명령을 의미하는 ‘口’ 가 결합하여 최고권력자를 의미한다. 갑골문은 구별없이 사용되다가 금문에서 분화되기 시작했다. ‘事 일 사’, ‘史 사관 사’, ‘使 벼슬이름 사’ 등을 고려해보면 ‘사’가 본래의 독음이고 후가 나중에 분화된 글자의 독음이 된 것으로 보인다.
后의 갑골문은 ‘育 기를 육’ 을 대신하여 사용된 경우도 있는데 후사를 잇는 것이 절대자의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뒤를 의미하는 ‘後 뒷 후’ 와 같은 독음을 따른 것이다.
[참조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ave21&logNo=220410476456]
逅 만날 후 해후邂逅 (우연히 만남)
垢 때 구 치구齒垢 (치석齒石)
수진무구純眞無垢 : 마음과 몸이 아주 깨끗하여 조금도 더러운 때가 없음
姤 만날 구 천풍구(天風姤) 괘.
司 맡을 사
고대에 맡겨진 소임을 갖은 벼슬의 이름이 사마司馬 였어요. 행정 일을 대대로 맡아오면서 사마씨라는 성씨가 되었디요. 사기‘史記’를 엮은 사마천司馬遷, 삼국지에서 제갈량諸葛亮 과 지략을 겨눈 사마의司馬懿이 있디요.
사령관司令官 사법부司法府
사령탑 司令塔 : 군대나 함대를 통솔하는 책임자가 지휘하기 편리하도록 만든 탑
詞 말 사 가사歌詞
대사臺詞 : 무대(舞臺) 위에서 각본(脚本)에 따라 배우(俳優)가 연극(演劇) 중(中)에 하는 말
祠 사당 사 사당祠堂
飼 기를 사, 먹일 사 사육장飼育場 사료飼料
嗣 이을 사
적후사속嫡後嗣續 : 적자(嫡子)된 자, 즉 장남(長男)은 뒤를 계승(繼承)하여 대(代)를 이룸
‘后‘ 와 유사한 자형字形 ‘君 임금 군’을 살펴보겠습니다.
君 = ‘尹 다스릴 윤’ + ‘口 입 구’
尹 갑골문 君 갑골문 금문 전문
‘尹 다스릴 윤’ 은 손에 권장(權杖 ; 왕홀王笏, sceptre), 즉 권력을 상징하는 지팡이 같은 것을 들고 있는 모양으로 ‘다스리다’ 가 그 의미이고 ‘君 임금 군’은 거기에 ‘口’ 가 추가된 것이에요. 씨족 범위을 벗어나 부락의 추장이나 대추장이 명령을 내리는 의미에요. 어휘로는
군주君主 군림君臨 군신君臣 단군신화檀君王儉
尹 다스릴 윤 판윤判尹 (한성부 으뜸 벼슬)
윤문자尹文子 : 중국 전국(戰國)시대 제(齊)나라의 윤문(尹文)이 군왕(郡王)의 올바른 정사(政事)에 관하여 논한 책(冊)
伊 저 이 황진이黃眞伊 이태리伊太利 (이탈리아)
郡 고을 군 군수郡守 군청郡廳
群 무리 군 군중심리群衆心理 증후군症候群
裙 치마 군
견군남대 牽裙攬帶 : 牽 이끌 견, 裙 치마 군, 攬 가질 람, 帶 띠 대
치마를 잡아 당기고 허리띠를 붙잡는다는 뜻으로, 이별하는 사람을 떠나지 못하게 만류함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窘 군색할 군 군색窘塞 군핍窘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