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성 9여단장 오오시마 오오토리 공사 협의하여 내정개혁에 대한 답변의 시한을 정하고 구체적인 경복궁 점령작전을 계획했습니다.  경복궁 점령작전은 조선의 수도 서울에서 조선의 국왕을 포로로 삼아 조선군의 무장해제를 도모하고, 새로운 친일정권을 수립하여 조선정부가 일본에 조선주재 청군의 축출을 의뢰하도록 강요하기 위한 군사작전이었습니다. 

7 22, 10시경에 일본공사관에서 오오토리 공사와 오시마여단장을 비롯한 일본군부와 외교라인이 모여 23일 새벽부터 진행되는 경복궁 점령작전을 지휘했습니다.  작전은 제11연대가 동대문, 광희문, 동북문 등을 점령하고 순찰 및 서울시내 경계를 담당하면, 21연대가 실질적으로 경복궁으로 난입하여 고종의 신변을 확보하고 조선군을 제압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7 23, 새벽 4시부터 시작된 경복궁 점령작전은 왕궁수비대와 접전을 벌였지만, 고종의 신변이 일본군에 확보되자 고종의 명으로 왕궁수비대의 무장해제가 내려졌습니다. 아침 7시를 전후하여 상황은 종료되었습니다.

21연대 제1대대는 영추문을 통해 경복궁으로 진입하여 경복궁의 동서 양쪽으로 우회하여 왕궁수비대와 접전을 벌였다.  1대대의 일부 병력은 광화문 왼쪽의 장위영을 습격하여 지원병력을 차단시켰습다. 평양병으로 구성된 왕궁수비대는 일본군의 침입에 대응하여 경복궁의 후문이었던 신무문을 중심으로 강력하게 접전했지만, 4배의 정규 일본군에 의해 열세에 있었습다.  일본군은 영추문을 먼저 통과하여 신무문을 통해 진입한 병력과 함께 경복궁 향원지 북쪽에 별궁으로 있던 건청궁乾淸宮서 고종의 신변을 확보했습니다.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작전에 대응한 조선군의 활동은 전반적으로 미약했습다.  당시 경복궁을 수비하던 조선군의 전력은 평양군이 주축이었으며, 별도로 친군장용영 있었지만 압도적인 일본군에 의해장해제 되었습다.  친군장용영은 많은병력이 한양 외곽경비 북한산성에 배치되어 실제 왕궁경비 병력은 적었습다.  오후 3시경에 동대문 근처의 친군통위영 일본군의 습격을 받아 격렬한 총격전이 벌어졌지만, 결국 오후 5시경 통위영의 우영과 좌영이 일본군에 의해 점령됐습다.   고종의 신변이 일본군에 의해 제압되면서 강제로 내려진 고종의 교지 접하자 대부분 흩어져 평양으로 복귀했습다.  또한, 중앙군영의 병력들은 경복궁 점령이후 하도감 모여 일본군의 군영점령에 대비하여 결사투쟁을 맹세하고 보유한 무기를 동원하여 일본군에 대응했습다. 그러나 평양병과 마찬가지로 고종의 교지를 가져온 의장병 도착하자 스스로 해산했습다.

   

일본 혼성여단 조선군 진압 지역


  대규모 일본군이 인천과 용산에 주둔하며 군사적 위협을 가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실록을 비롯한 연대기사료에 조선의 구체적인 대응이 없습니다.  동학농민혁명군을 진압을 한다고 지방군을 불러올 여력이 없었겠지만 지방군을 집합시키든지 어가가 이동하여 왕의 신변 안전을 확보했어야 했습니다.  일본군의 불법적인 경복궁 점령은 고종을 포로로 하고, 조선정부를 압박하여 청군의 구축(철병)의뢰를 요청하도록 하며, 일본에 적대적이었던 민씨정권을 타도하고 친일정권을 수립함에 있었습니다.  경복궁 점령이후 일본은 7 25, 조선정부를 압박하여 청일전쟁의 명분을 확보하고자했습니다. 일본은 조선으로 하여금 청과 체결된 일체의 장정폐기 章程 廢棄 선언宣言하도록 했으며, 조선에 주둔한 청군을 구축驅逐(철병)하는 정식요구를 일본에 도록 협박했습니다.


1894년 갑오년은 1884년 갑신정변이 일어난 10년이 되는 해로 일본은 정한론(征韓論 ; 에도 막부 말기 1855년 에서 메이지 초기에 일본에서 등장한 조선 침략론) 에 따라 드디어 실행은 옮깁니다.  갑오년 일본의 조선 정벌은 개혁으로, 청일전쟁으로 갑오왜란, 조선 정벌, 경복궁 점령은 가려져 있고 이때부터 조선은 일본에 병탄, 합방, 보호국, 식민지가 된 것입니다.  일본은 조선정복을 위해 일본군의 준비과정, 출병, 경복궁 강제점령 등은 매우 조직적이고 계획적으로 진행했습니다.  일본군은 사전준비를 철저히 하여 동학농민군의 진압이 아닌 내정개혁요구, 한성(경성, 서울) 진입과 경복궁 점령을 통해 조선정부를 제압하고 친일정권을 수립함으로써 청일전쟁을 안정적으로 개시했습니다.

  일본은 한성 진입, 경복궁 점령을 위해 군사작전을 시행했습니다. 출병한 혼성여단의 전체 병력은 8,000여명이었으며, 혼성9여단사령부, 보병11연대, 보병21연대, 기병5대대1중대, 야전포병5연대3대대, 공병5대대1중대, 치중병대, 위생대, 야전병원, 병참부 편제(예하부대) 종졸마졸(從卒馬卒), 인부 보조병력이 포함됐다.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전신대를 혼성여단에 편성시켜 작전통신을 확보하고자 했다.

인천에 상륙한 혼성여단의 전신대(479) 서울에 무단 입성한 조선과 협의없이 임의대로 경부간 전선가설을 시작했다.   전선가설에 대한 명령은 1894 6 27, 대본영 참모총장 熾仁 親王 명의로 혼성여단장 大島義昌에게 하달됐다. 혼성여단은 12전선가설대 편성하여 병참총감에게 소속하고, 1지대는 부산에서 청주까지, 2지대는 서울에서 청주까지 전선을 가설했다. 군사전선의 가설은 불법성이 있었다. 조선의 영토에 외국군이 임의대로 군사목적의 기반시설을 착공하는 것도 문제였을 뿐만 아니라 해당 전선이 통과하는 토지를 매입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은 이를 무시하 전선가설을 감행했다. 군사전선의 가설이후 이에 대한 경비문제도 있어 일본군은 차후 이를 조선정부에 일방적으로 책임지우는 태도를 취했습니다

국내에서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나자 이의 진압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근거는 무엇이며, 이후 외 일본군이 출병하여 수도 서울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조선군은 어떠한 조치를 취했으며, 왕궁이 불법적이고 강제적으로 점령당하는 사태가 벌어지도록 조선군은 무엇을 하였는가에 대한 의문이 듭니다.

무기력한 조선의 군사적 대응으로 마냥 치부하기엔 시기의 정세변화와 군사강점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조선군에 대한 정리가 먼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조선군 군제도와 상황을 알아보겠습니다.

1888(고종 25) 4월에 고종은 군제개편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군인 수효가 적은데 군영은 많다는 이유로 새로운 군제에 대한 절제와 규식을 정한 절목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신건친군우영, 신건친군후영, 해방영을 합쳐 통위영으로, 신건친군전영, 신건친군전영, 신건친군좌영을 합쳐 장위영, 별영으로 총어영을 정했습니다. 신설된 3영의 지휘관으로 민영익閔泳翊 통위사統衛使, 이경하李景夏 통위대장統衛大將으로,  전영사 前營使 한규설韓圭卨 (형인 韓圭稷 ) 장위사壯衛使, 신정희申正熙 장어대장壯禦大將으로, 별영사別營使 이종건李鍾健 총어사總禦使 임명했습니다.  3영체제를 지속하면서 1891(고종 28) 고종은 서울 외곽방비의요지였던 탕춘대蕩春臺 북한산성北漢山城 수비를 위해 이전 총융군摠戎軍 3영에서 분리하여 경리청經理廳 별도로 신설했다.  실질적인 왕궁 호위를 담당했던 친군 용호영을 제외하고 조선의 중앙군은 통위영, 장위영, 총어영, 경리청 등 친군 4영체제로 지속되어 1894년 청일전쟁시기까지 유지됐습니다.

장위영 조직은 총 2,666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간부 및 사무직은 도제조(都提調) 1, 영사(營使) 1, 병방(兵房군사마(軍司馬문안(文案정령관(正領官부영관(副領官참영관(參領官초관(哨官)·참군(參軍) 241명이며, 병정은 1,680명이고, 지원 요원은 치중병(輜重兵) 150, 비전병(非戰兵) 170, 공병(工兵) 25명 등 745명이었다. 장위영의 조직도는 그림과 같다.



이들 중앙군영 뿐만 아니라 군사력으로 간과해서 안 되는 조직이 1888년 설치된 연무공원鍊武公院이다. 미국인 교관에 의해 미국식 군사교육을 시행했던 연무공원은 40여명의 생도들을 대상으로 장교교육기관의 역할을 했다. 연무공원을 통해 양성된 생도들은 중앙군의 핵심이었던 친군 4영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연무공원의 기간요원들도 정부의 핵심요직으로 배치됐습니다.  이때 이전에 각 영별로 약 500여 명이었던 병력이 1영에 병력 2,250, 작대병作隊兵 1,960명으로 확충됐습니다.

3군영으로 통합한 1889 6, 1891 2, 고종은 직접 봉무당隆武堂에서 왕세자가 대좌侍座한 상태에서 통위영, 장위영 군영의 새로 훈련된 군사들의 연조演操 점검했습니다.  고종 자신이 추진하는 군영강화의 결과 일정 성과가 있다고 판단한 고종은 군영의 훈련을 담당했던 훈련교관 차윤茶伊(Dye, William. M.)은 병조참판으로, 인시덕 仁時德(Neinstead, F.H.) 병조참의 임명했습니다.

  1891(고종 28) 서울 도성의 방위를 위한 배후지로 탕춘대 북한산 방비를 강조한 고종은 이전 총융청에 소속되었던 병력을 별도로 차출하여 경리청 지칭하고, 서울 북쪽에 주둔하도록 했다.

참고자료

1] 2014. 12, 김경록, 청일전쟁기 일본군의 경복궁 침략에 관한 군사사적 검토,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 2015. 08, 김경록, 韓日關係史硏究 제51집, 청일전쟁淸日戰爭 초기初期 조일맹약朝日盟約의 강제 체결과 일본의 군사침략, 

 

청일전쟁기_일본군의_경복궁_침략에_관한_군사사적_검토.pdf

청일전쟁 초기 조일맹약 강제체결 군사침략 KCI_FI002024039.pdf


    갑오왜란 (갑오경장 또는 갑오개혁) 기간 ( 1894년 7월 27일부터 1897년 2월 11일) 중 정치 세력은 갑오파 (국내 개화파 ; 김홍집) , 갑신파 (망명한 갑신정변파; 박영효), 궁정파(왕당파) 왕족 및 외척, 정동파 (정동구락부; 외국 공사관 지역으로 세부 친미파, 친러파 구분), 신진관료들이 있다. 

   동학농민혁명 1차 봉기로 전주성이 점령되고 관군이 전투에서 패배하여 조선정부에서 청나라에 군대가 출동할 것은 요청하게 되자 일본에서도 즉시 1894년 6월 9일 오시마 요시마사 소장이  일본군 제5사단 혼성 제9여단 6000명 (보병 3,000명, 기병 300명)을 이끌고 인천항에 상륙하여 6월 21일 새벽 5시 경복궁을 점령한다. 그렇게 하여 기존 수구파 정권을 전복하고 대원군과 김홍집을 앞세워 정권을 수립한다. 대원군과 김홍집은 1880년대 기구인 군국기무처(軍國機務)라는 최고 의결 기구를 만들어 개혁을 추진한다.

갑오왜란 기간 중 김홍집 내각 조직을 간략하게 표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친미개화파 박정양, 이완용, 이채연, 윤치호, 이하영, 이상재(李商在)

갑신계      :   윤치호(尹致昊)․서광범(徐光範)․서재필(徐載弼)

친러파      :   이범진(李範晉)․이윤용(李允用)․민영환(閔泳煥)․민상호(閔商鎬)




대한제국 박정양 내각


갑오왜란 김홍집 내각_180811_JYKim.pptx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