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밀어(Tamil Language) 신체 낱말

한국문명교류연구소 양기문님의 유튜브 무니티브 강의 내용을 참고로 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 눈[Nu:n]

Korean

Engish

Tamil

눈[Nu:n]

Eye

கான் [Kan]

 

타밀어 누니 நுனி [Nuni] 는 뽀족한 것을 뜻하는데 영어로 Point, tip 이다.

கான் [Kan] 칸은 눈을 뜻하고 한자(漢子; Chinese Letter) ‘看 볼 간[kan]’ 소리음과 연관된다. 장소(Eng. place, location)를  나타낼 때 한 칸, 두 칸으로 쓰인다.

‘보다’와 관계되는 விழி [vili] 비리가 있는데 ‘(눈을) 뜨다, 잠에서 깨어나다, 지켜보다.’ 뜻을 가진다.  사투리로 ‘비다’가 있는데 예) 뭐가 뷔나? 뭐가 보이나? 이다.  비리의 어근 ‘비’와 사투리 ‘뷔다’ 관련있어 보인다.

그리고 영어 View, vision, video  관련있다.

 

*코[Ko]

Korean

Engish

Tamil

코[Ko]

Nose

மூக்கு [Mukku]

제주도 서귀포 성산음 섭지코지

제주도 서귀포에 ‘섭지코지’란 관광지가 있는디 섭지는 재사(才士)가 많이 배출되는 지세란 뜻이고, 코지는 곶을 뜻하는 제주 방언이다.  코지는 육지와 바다가 만나는 곳으로 돌출된 코 모양의 땅이고 간, 만, 곶이라 하고 영어로 Cape 이다.

타밀어 கோடி [Koti] 코디 (뜻: 곶) -> 콛 > 콪   <=>  곶 과 대응된다.

타밀어 ‘(코를)골다, 코골이’ 뜻을 가지는 குறட்டை [Kurattai] 쿠랕타이 가 있는데 우리말로 ‘(코)골았다이’와 비슷하다.

 

* 이빨[ipal] : ‘이’

Korean

Engish

Tamil

이빨[Ipal]

Tooth

பல் [Pal]

 

이[Lee]는  பல் [pal] 팔,빨 (Eng Tooth) 이다.

잇몸[Itmom]은  ஈறு [I:ru] 이루 : 잇몸, 끝(tip) (Eng Gums)이고 다른 표현으로 ‘பல்ஈறு [Paliru] 빨이루’가 있는데 ‘빨 + 이루’ 합쳐진 것이다.  우리말 잇빨은 타밀어 빨이루를 거꾸로 형태 이루빨 > 잇빨 로 될 수 있다.

외래어 차용시 외래어 먼저 후에 우리말이 나온다.

깡통 = 캔(can) + 통(Tong ; container)

족발(Jokbal ; Pig’s Feet) =  족(足: Foot) + 발

 

* 배[Bae]

Korean

Engish

Tamil

배[Bae]

Bally, Stomach

Ship

வயிறு [Vayiru]

பாய் [Pay]

 

வயிறு [Vayiru] 바이루 > 바이 > 배

பாய் [Pay] 파이 > ‘패’ 가 되고 ‘항해하다(Sail)’을 뜻하는데 배가 항해하는 것이니까 우리말 ‘배(Ship)’와 관계된다고 볼 수 있다. 타밀어 배(선박)으로 கப்பல் [Kappal] 카팔 이다.

 

김씨(金氏)의 조상, 소호금천(少昊金天)은 알타이어  Согоо(소고) '암사슴' 과 Алтан(알튼) '황금'에서 유래했다.

 

북방민족은 초원지대에 양유목을 하며 생활하였는데 양 유목 보다 순록 유목이 먼저 되었다.

현재까도 노르웨이 북부, 러시아 투바족 차탕족(Tsaatan) 그리고 에벤키족(Эвенки) 또는 중국어로 어원커족(鄂温克族)은 순록 유목을 하고 있다.

특히 순록은 북극 툰드라 산림지대에서 이끼를 주 먹이로 한다. 

순록은 고대에 잡아먹기도 했지만 신령한 동물로 여겨 숭배하기도 했다.

산타할배의 설매를 끄는 동물이 순록이다.

 

 

내가 타밀어(Tamil, தமிழ்)를 공부하게 된 계기, 한국어와 타밀어 사이에 있는 비슷한 말!

 

 

 

대리 여행자 라솔님이 남인도 출신 세종대 교수 2분과 우리말과 타밀어 낱말을 비교하여 얘기하는 내용이다.

비슷한 낱말에 흥미진진하네요.

 

 

 

 

‘五 다섯’을 넘어서 첫 수가 ‘六 여섯’ 이다.

六 은 어떻게 여섯이란 의미를 갖게 되었을까?

갑골문 형체를 보면 집 모양이다.  이러한 형체는 ‘宀 집 면’, ‘入 들어갈 입’ 의 원래 글자 형태이기도 합니다.

밭 가운데 오두막

六 갑골문 형태 집을 한자로 표현하면 ‘庐 오둑막 려’인데 방이 여러 개 있고 마루가 있는 그러한 형태가 아니라 임시로 거처로 사용하는 오두막, 원두막 같은 형태이다.

 六 원래 집을 의미하는 뜻인데 어떻게 해서 여섯을 의미하게 되는 뜻이 가차되었는지 분명하지 않다.  집의 밀폐된 공간이 육면(六面)에서 여섯 의미를 가지고 되었는다는 견해가 있고 어떤 이는 히브리어 여섯의 어원 ‘빛나다’ 에서 여섯이 빛나는 수이므로 여섯을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六 동일한 소리(音)와 뜻(義)인  ‘陸 뭍 육’ 을 살펴볼까 해요.

 ‘陸 갑골문은 ‘阜언덕 부’와 ‘艸풀 초’, ’六 여섯 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다와 달리 뭍은 언덕도 있고 초록이 빛나는 풀이 있는 곳이다.

’六 여섯 육’ 이 ‘빛나다’ 라고 의미로 할 때 뜻이 자연스러워 진다.

그런데 ‘陸’ 의 오른쪽 위쪽 ‘圥’ 은 ‘버섯 록, 두꺼비 록’ 이고 이체자(異體字)은 ‘𡴆’ 이지만

六 은 ‘빛나다’ 로 해석이 되지 않는다.

陸橋육교  : ①육상()의 우묵한 곳이나 계곡() 등()을 건너기 위()해 놓은 다리  ②교통()이 번잡()한 도로(), 철로 위에 걸친 다리 

着陸착륙  비행기()나 비행선() 따위가 공중()에서 땅으로 내려 앉는 일

 

‘冥 어두울 명’ 을 살펴볼게요.

갑골문 유형1은 해(밝음)를 위와 아래에서 막은 형태로 보인다.

갑골문 유형2은 여성이 아이를 분만시 모습으로 양 다리를 벌리고 손으로 잡고 있는 모습으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빛나다’의 관점에서 어떤 공간에 창으로 빛이 들어오는 것을 양손으로 천이나 창문을 가리는 모습으로 본다.

冥福명복  : 죽은 뒤에 저승에서 받는 복(

冥想명상  : 고요한 가운데 눈을 감고 깊이 사물()을 생각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