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태국 북부도시 치앙라이(Chiangrai) 시내에서 3시간정도 떨어진 산속에 거주하는 민족. 태국 북부와 중국 운남성,미얀마 등지에 넒게 퍼져 분포하고 있다. 예전에 태국 마약지대로 유명한 황금의 삼각지대(golded triangle area) 고산지역으로 마약왕 쿤사가 미얀마 정부대항으로 샨족 독립을 전개하다가 정부군에 소탕되고 2007년에 죽었다.
 
라후족은 원래 티벳과 가까운 중국의 운남성일대에서 살았다. 후에 중국 정부당국과의 분쟁에 휘말리게 되어 남쪽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한족의 압제에 견디다 못한 대부분의 라후족은 미얀마로 넘어갔고, 그 일부는 태국과 라오스로 넘어와 정착하게 되었다. 라후족은 19세기에 들어와서야 태국으로 넘어왔다. 오늘 날 대부분의 라후족은 북부지방인 치앙라이, 치앙마이, 매홍손 등지에 살고 있다.
 

라후족의 태국식 명칭은 '무서 (또는 무수르)' 인데 이는 "사냥꾼"이라는 뜻의 미얀마어에서 따온 말이다. 하지만 모든 라후족은 무수르라는 명칭을 거부하고, 스스로를 "라후(拉祜; Lahu)"라고 부르고 있다. 라후족에는 라후 니(붉은 라후), 라후 나(검은 라후) 라후 시(노란 라후) 라후 푸(흰 라후) 및 라후 셸레 등의 하위부족이 있다. 그런데 이들의 생김새뿐만 아니라 언어구조가 우리와 너무 흡사하다는 것이다.


 [라후족 거주 지역: 주황색 경계선으로 마약으로 유명한 황금의 삼각지대]

이현복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명예교수의 말
"라후족의 언어는 우리의 언어구조와 매우 비슷하다. 미국의 마티소프교수가 라후족의 말의 문장구조가 한국이나 일본의 문장구조와 아주 유사하다고 이미 밝힌 적이 있다. "

라후족 언어

우리말

나흐(1인칭 복수,We)

우리

너희(2인칭 복수,You)

너희(당신들)


2. 라후족의 한민족 생활과 유사점
첫째, 인절미 만들기
        절구통에 찐 찹쌀을 넣고 깨를 묻힌 덕방아를 넣고 찧는 것이 우리의 인절미 만들기과 똑같다.
둘째, 어린이의 놀이(공기놀이)
       공기놀이라는 것을 하는데, 작은돌들을 던지며 노는 것이 우리의 공기놀이와 아주 똑같으며,
       1단에서 5단에 이르기까지  의 과정이 동일하다.
셋째, 비석치기(사방치기)
      우선 손 바닥 뒤집기로 편을 정하고 가위, 바위, 보로 순서를 정한다. 편이 정해지면 손으로 정교하게 굴려서 맞추면
      이기는 놀이로 우리의 비석치기(사방치기)와 동일하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우리는 편평한 돌을 이용하여 놀이를
      하는데   비하여 이들은 열대의 납작한 열매를 이용한다는 사실이다. 또한, 아이들은 우리의 전통 팽이치기와 같은
       놀이를 하면서 논다.

넷째, 라후는 고생을 해서라도 부슬부슬한 안남미보다는 찰기가 있는 찹쌀로 지은 밥을 먹으려 든다. 
        때문에 라후족의 마을에서는 항상 찰기진 밥을 먹을 수 있기도 하다. 라후족에는 우리나라와 비슷한 된장이나 김치 
        등도 있다. (물론, 고춧가루가 없는 하얀 배추절임같은 것이다. 한국의 김치가 붉은 것은 고춧가루가 한국에
        들어온 이후부터이다.)

  [라후족 여자아이들의 비석치기 모습, 뒤에 새해 대나무 제단 ]

  [ 대나부 제단의 음식들 :우리나라 고사 때에도 빠지지않는 돼지머리]

 
[라후 셀레 여인의 색동 옷; 시계를 차고 있는 것을 보니 라후이 족이 아닌 것 같음]

관련 동영상 연결
KBS1 한민족 리포터 [태국 치앙라이 사랑 김병호박사님]
KBS1 뉴스[태국 소수 민족 라후족의 설 맞이]
KBS1 뉴스 [태국의 고구려 후예 라후족]


다른 참고할 만한 글
라후의 여인네들 역시 어릴때부터 자수를 비롯한 뜨개질을 배운다. 처녀들은 부지런하여, 자신이 입을 옷 이외에 미래의 신랑이 될 사람의 옷까지도 미리 만들어 두는 것을 자랑으로 여긴다. 남자들 역시 부지런하여 이른 아침부터 밭에 나가 일을 시작한다.
- 라후족에게 있어 음악과 춤은 생활속에 배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항상 즐거운 노래소리가 울려퍼지는 마을에는 축제도 자주 벌어진다. 축제날이 되면, 여자들은 그동안 준비해 두었던 예쁜 옷을 입고나와 춤을 추고, 남자들은 풀잎으로 피리를 만들어 음악을 연주한다. 대나무를 이용해 '여러개의 관이 달린 스코틀랜드식의 피리'와 비슷한 것을 만들어 불기도 한다.

- 마을 사람중에 한명이 병이 나면, 사람들은 그 주위에 모여 춤과 노래를 부르는 의식을 하여, 악귀를 쫓아 낸다. 마을의 부족장은 제사장의 역할을 함께 하여 결혼이나 장례를 주관하고, 길흉을 점치기도 한다. 부족장의 권한은 막강하여, 마을은 부족장의 이름을 따서 짓는다. 따라서 부족장이 죽거나 새로운 부족장이 들어서면, 마을의 이름도 바뀌게 된다.
- 라후족은 콩을 쑤어서 만든 된장을 먹는다. 우리나라의 된장과 거의 흡사한 것이며, 야채를 소금에 절인 '와찌' 라는 것도 먹는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김치와 비슷한 것이다. 명절이 되면, 찹쌀을 대나무통에 넣고, 숯불속에 넣어 밥을 쪄 먹는다.
- 라후족의 음식은 김치·된장 등 우리 음식과 비슷한 것이 많아 잘만 찾아 먹으면 식사때 고민스럽지 않다.불편한 점은 무엇보다 고도가 높아 도착해 며칠동안은 고산병 증세가 나타난다는 것이다.머리가 띵하고 무기력해진다.

★ 잊혀진 우리 핏줄 아카 라후 리수
- 소수 민족을 연구해온 학자들은 태국의 고산족이 고구려가 멸망한 후 당나라 군사에게 포로가 되어 잡혀가 오지에 버려졌던 고구려의 후손들일 것이라고 주장한다. 고구려 본기에 의하면 당나라 고종이 고구려인 3만 8천 3백호를 잡아가 중국 남쪽 광막한 땅에 옮겼다고 기록하고 있다. 우리 학자들뿐 아니라 소수민족 출신의 호례극이라는 중국 학자도 같은 의견을 내놓는다. 이들 고산족들은 고구려 사람들이 그랬듯이 남자가 처가살이를 하고, 결혼 때 닭을 옆에 두고 식을 올린다. 형이 죽으면 동생이 형수를 아내로 맞은 것도 우연으로 돌릴 수만 없는 고구려 옛 풍습 그대로다. 아카족 같은 경우는 구슬을 머리에 달고 장식하기를 좋아하는데 이 또한 예사로 보아 넘길 일이 아니다. 중국 후한서에 '동이족은 구슬 장식을 즐긴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 북한 사투리 '나 메홍손 가메'
학자들의 얘기가 아니더라도 한국 여행자들이라면 이들이 우리 핏줄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명절 때 색동옷을 입는 것이 그렇고 태국 사람들은 별로 좋아 하지 않는 끈기있는 찰벼를 산간에서 재배하는 것도 그렇다. 된장이나 김치를 담가먹는 것까지 우리를 닮았다. 무엇보다 신비한 것은 이들의 말이 중국이나 태국말처럼 주어 동사 목적어 순이 아니고 우리말처럼 주어 목적어 동사 순이라는 것이다. 라후족이이나 아카 리수족이 한결같이 나를 '나'라고 하고 너를 '너'라고 하는 것을 들으면 숨이 막힐 지경이 된다. 지구상에 한국인 말고 어느 민족이 "나"를 "나"라고 하고 "너"를 "너"라고 할 것인가 말이다."나 매홍손 가이메이" 라후족의 말로 "나 매홍손에 간다"는 뜻이다. 이 말을 어찌 들어보면 "나 매홍손 가메" 라는 이북 사투리만 같지 않은가? 어쨋든 이들을 만나면 우리와 같은 핏줄일 것이라는 확신이 든다. 그들을 우리 민족이 아니고는 세계의 어떤 민족과도 동일시할 수 없을 것이다.

★ 우리와의 유사점
- 외모도 태국보다는 우리네와 더 비슷했다.
- 집안의 아궁이를 쓰는 것도 우리네와 닮았다.
- 명절 때 색동옷을 입는 것
- 태국 사람들은 별로 좋아 하지 않는 끈기있는 찰벼를 산간에서 재배하는 것.
- 된장이나 김치를 담가먹는 것까지 우리를 닮았다.
- 이들의 말이 중국이나 태국말처럼 주어 동사 목적어 순이 아니고 우리말처럼 주어 목적어 동사 순이라는 것이다.
- 고구려 사람들이 그랬듯이 남자가 처가살이를 하고, 결혼 때 닭을 옆에 두고 식을 올린다. 형이 죽으면 동생이 형수를 아내로 맞은 것도 우연으로 돌릴 수만 없는 고구려 옛 풍습 그대로다. (형사취수제)
- 라후족·아카족 등이 개고기를 먹는다.
- 라후족도 아기를 낳으면 문밖에 인줄을 쳐 일정기간 외부 사람들이 집안으로 못 들어오게 한다고 했다.라후족의 인줄은 지푸라기를 사용해 왼새끼를 꼰 후 새끼줄 사이사이에 창호지·숯·빨간고추(사내아이의 경우)·푸성귀를 꽂아 놓는다.그런데 탐사팀을 놀라게 한 것은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의 인줄에 푸성귀를 꽂았다고 하는데 라후족은 지금도 푸성귀를 꽂는다는 사실이었다
- 라후족의 명절이나 제사에서 찾을수 있는 유사성
라후족의 설은 우리나라 처럼 1년중 가장 큰 명절로 떨어져있던 가족과 만나고 이웃 부락과의 교류를 통해 한해동안의 풍년과 평온을 기원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이 특정 시기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농사에 적절한 시점에 따라 부락마다 해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명절을 보내는 일반적인 모습에는 많은 유사성이 보인다.
'까끄뵈'라는 라후족의 새해 첫날 아침에는 세심하게 만든 색동옷을 입으며, 마을한가운데 제사음식을 올려두고 발을 엇갈리면서 주변을 도는 것은 땅을 밟아 땅의 신을 자극하여 한해의 평온과 풍년을 기원하는 단체 의식을 치르는 데 이것은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전하는 고대 마한의 제천의식을 연상시키는 지신밟기와 비슷하다.

분명히 우리와 많이 닮았다. 또다른 우리와 닮은 사실. 그들이 마련한 고사상을 보면 알 수가 있는데, 고사 음식으로 찹쌀과 깨를 섞어서 만든 인절미와 웃는 돼지머리를 사용한다는 놀라운 사실이다. 고사상에 돼지 머리가 놓이면 마을의 최고령 노인이 축복의 메시지를 전한다.그러면 마을사람들이 모두 어울려 춤과 노래로 즐겁게 마무리를 한다.
 
라후족
우리말
나래 너 서울로 까이요?
나와 너 서울로 갈래?
나래너 타 도죠베요
나는 너 좋아해
나터 너터
나도 너도
서울에 방콕까가 까이요
서울에서 방콕까지 가요
나래 서울로 까이요
나는 서울로 가요
까이라 라베라
가려나 오려나
오빠
아빠
나흐 어이언니
우리 언니
나게 라오
나에게 와요
 
서울대 이현복 교수의 말
"일설에는 고구려가 망할 때, 당나라에서 고구려 유민 10만명을 포로로 끌고 갔는데 이들이 중국을 거쳐서 태국까지 오게 되었다는 사실을 추측할 수 있으나, 자세한 것은 연구가 이루워져야 한다. "
라후족이 우리말과 유사한 문장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 우리모두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지금은 태국말과 라후족언어를 모두 사용하고 있다. 서울대 이현복교수가 이들의 우리민족의 일부라고 생각하는 것과 동일한 생각이나, 그들의 기원에는 다소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들이 우리민족의 일부인지는 생물학적, 유전학적연구와 사료에 대한 검증이 있어야 하겠지만.
이들이 우리말을 지니며 살아 왔던 것은 이들이 오지에 고립되어 살다보니 기존의 언어와의 충돌이 상대적으로 적어 고유의 언어를 간직하며 살아 왔을 것이다. 또한, 고구려의 유민일 수도 있지만, 오히려 역사스페셜에서 방송된 바와 같이 백제의 유민이 아니었을까?
백제 22담로의 비밀에서 방송한 바와 같이 백제는 동남아지방에 많은 식민지를 건설하였다. 또한, 중국 남부에는 아직도, 백제마을, 백제현등의 이름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볼 때 연구의 대상이라고 본다. 백제가 동남아등지에 건설했다는 담로등에 거주하던 모두 백제인이 하루아침에 없어졌다고 생각하는 것도 무리가 있는 것이 아닐까? 물론, 원주민에 동화되어 더 이상 순수성은 찾아보기 어렵겠지만, 라후족과 같이 오지에 고립되어 사는 사람들은 여전히 우리의 문화와 언어를 일부 남아 간직하고 있지 않은 것인지 진지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이스라엘은 얼마전 아프리카에 살고 있는 유태인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을 이스라엘로 이주시키는 작업을 하였다. 그들이 이전에 성서에 기록된 바를 토대로 추적하여 고대에 이주한 이스라엘 사람이라는 근거를 바탕으로 말이다. 물론, 여기에는 정치적인 면도 고려하여야 하고 등등 반드시 우리가 따라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적어도 "우리"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잊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모두에게 상기시켜주고 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는 너무도 간단하게 잊어 버리고 있다. 위의 사실을 모두 단지 신기하다고 생각하고 이후에 연구가 이루워져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어느 누구도 그데 대해서 연구하지도, 한 바도 없다. 오히려 다른 나라 사람이 우리에게 그러한 사실을 거꾸로 제공하는데도 우리의 관심에는 변화조차 없다. 물론, 연구를 강요할 수는 없겠지만, 우리가 과연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의 계승자인지 의심스러운 부분이 많다.

★ 관련글과 말
- 실크로드, 길 위의 노래/전인평 지음/398쪽 소나무
   "‘고구려 유민의 후손’설이 제기되고 있는 태국 라후족의 노래가 강원도 민요와 유사하다는 분석도 눈길을 끈다."
- 소설 치망마이 / 김병호
 평정산 응국 묘지 금문 해석
  글쓴이 : 진인     날짜 : 08-04-01 19:30     조회 : 781    

하남(河南) 평정산(平頂山)의 응국(應國) 묘지에서 2005년 발굴되었다는 도자기에 새겨진 명문을 확대한 것입니다. .
..................................................................................................................................................

이는 금문이 분명하고 필자는 처음 보는 문장인데 자획이 모호한 부분이 많은 것이 흠이나 하여간 우리 역사에서 상당히 중요한 글이고 앞으로 우리 독자님들한테 전체 메일로 보내드릴, 환웅이 3 천명의 무리와 함께 고조선 개국지로 내려와 곰족과 동화 단군을 낳는다는 단군실화가 기록된 미국 부런티지 박물과 소장 코뿔소 술 두루미 명문 해독 전에 독자님들한테도 참고가 될 만한 자료 입니다.

이 금문의 필자 해독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보내드릴 위 코뿔소 술 두루미 해독을 전제로 한 금문 해독 법을 먼저 읽었더라면 이해가 쉬웠을 것인데 필자는 지금 무려 3 만여 자나 되는 금문 갑골문 대자전에서 우리에게 꼭 필요한 자료만 추출, 정리 하다 보니 늦어지고 있으나 거의 정리 되었습니다.

이것은 매우 중요 합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단군조선 이전 선인들의 국가 경제 관직 전쟁 무기 질병 먹거리, 그리고 결혼풍습, 성생활, 또는 야생동물이나 가축등 모든 사회 생활환경에 대해서 기록이 없으며 누가 쓴것이라 하더라도 전혀 근거가 없는 그 사람의 추상적인것이라 전혀 믿을 수가 없었습니다.

필자는 그간 천부인으로 만들었을 수밖에 없는 ㄱㄴㄷ...ㅎ 속의 뜻으로 우리 뿌리 말을 찾아 대략 당시의 생활상을 썼었으나 이도 이론이지 실증은 아니었던 것 입니다.

그러나 그 조상님들이 당시 모자라는 말이나 글자를 보충하기 위하여 그림으로 그려 썼던 금문, 갑골문은 현재 중국인들이 들여다가 자기네 말과 자기네 상식에 맞추어 진시황때 대전(大篆) 소전(小篆), 그리고 우리 삼국초 예서(隸書), 해서(楷書)를 거쳐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한자가 된 것이니 금문, 갑골문을 해독해 보면 우리 선조들의 생활상이 낯낯이 기록되어 있고 이는 우리 상고사에서 무엇보다도 생생한 실증이 되는것 입니다.


따라서 우리 카페에서 그간 신지녹도전자와 금문을 공부하신 분이라면 아래 금문 해석이 금방 이해가 갈 것입니다만 처음 읽으시는 분은 왜 그렇게 해독이 되는지 의아하신 분도 있을 것 입니다. 

이 금문 해독은 어느 유식하다는 박사나 특이 중국 땅에서 출토된 유물이라 해서 중국인들이 그들 말, 그들 글자로 해독한다는 것은 언어도단입니다.

필자가 항상 말했듯이 5 천 년 전 원시 우리 조상이 우리말과 우리 상식으로 그렸던 그림글자이므로 반듯이 우리가 우리말과 우리 상식으로 해독해야 하는데 그것도 그들과 같이 순진무구한 어린이 입장으로 돌아가 해독해 보아야 제대로 이해가 갑니다.

 특히 이 금문에 나오는 겨집, 알, 숫 등 용어를 알려면 필자의 졸저 천부인으로 만든 ㄱㄴㄷ...ㅎ 속의 뜻을 알아 우리 뿌리 말을 안 다음에야 제대로 이해가 될 것입니다.

이 금문은 글 내용상으로 보아 환웅 이후 단군때 써진 것으로 보여 집니다.


독자님들도 우리 카페에서 그간 금문해독을 공부 하신 분은 이 금문도 나름대로 해독해 보시기 바라며 혹 필자가  잘못 해독한 것이나 미심적은것이 있으면 독자 토론방에 올려 주시기 바랍니다.

이 금문이나 고서는 반듯이 우측 줄로 부터 내려 읽어 좌 측으로 가야 합니다.


* 우측 첫째줄 부터 아래로 한 글자씩 ...

1. 첫글자는 자획이 모호하나 서로 등을 지고 있는 사람으로 보인다.

2. 중국 금문학자들은 이 그림글자를 달(月), 또는 뱀蛇자로도 해독 했는데 우리 상식으로 달이란 땅이면서 겨집인 陰이 되기도 하고 뱀은 남근을 뜻하기도 한다.

3. 자획이 모호. 氏?

4. 환웅木아래 門이며 이는 숫이 겨집에 들어감을 뜻함, 중국 금문학자 미해독.

5 중국인들은 龍, 또는 번개라는 電으로 해독했는데 우리 상식으로 용이나 번개는 어우러 짐을 뜻한다.

6.중국 금문학자는 물론 王자로 해독했는데 우리 말로 왕이란 잇큼,즉 해, 하늘 같이 크다는 말이고 이 글자는 하늘 ㅡ 아래 네 활개를 편 사람인 大 자 밑에 다시 땅이 있다. 즉 하늘과 땅 사이에 가장 큰것이 사람이란 말이다.

7. 大(네 활개를 편 사람)

8. 자획이 모호하나 사람이 엎드려 무엇인가 하고 있다. 이 엎드린 사람을 중국 금문학자도 人 으로 보고 있다.

 

* 둘째줄

1.자획모호

2. 중국 금문학자들은 周로 해독 하고 있으나 이는 門아래 ㅂ 이나 口 가 있는 글자로 여인네 집, 하기는 여음이란 숫을 두르는 것이니...

3 王

4. 위는 A 가 아니고 △ 이며 그 아래 겨집이 엎드려 있다. 이를 중국 금문학자는 명령의 令, 命으로 해독.

5. 환웅木아래 門이며 이는 숫이 겨집에 들어감을 뜻함. 중국학자 미해독.

6..중국학자는 帝王住所 宮室의 宮자로 해독하는데 이는 집 안에 알이 쌓인것이니 큰 이의는 없다.

7.이 글자는 가운데 실타레(누에고치) 가 있고 그 주위에 점이 두개씩 있으려 왼쪽 점 두개 아래는 ㄱ 같은것이 있는데 이 글자는 중국학자는 미 해독이나 그 표시는 行자나 道 자 같이 십자로이고 그 중간에  고치이니 알 을 승계 한다는 뜻이 있다.

8. 王

9. 자획모호, 보이는 머리 글자는 중국 학자들이 달(月)로 보는 글자인데 달이 둘이면 多 자 로 저녁이 많다는 뜻이다. 즉 저녁마다 란 뜻이다.


* 셋째줄

1. 王

2.중국 학자들이 스승師로 해독하는 글자인데 누에꼬치인 알 두개는 연속을 말하고 옆은 사내이니 스승이란 생명을 연속 시키는 방법을 가리쳤던 모양이다.

3.출산이 가능한 여음아래 술단지로 여음을 축복한다는 말이다. 중국학자 미해독.

4.중국학자들은 父자로 해독하는데 우리 말로 아비는 지애비등 남변이 되기도 한다. 이 그림은 남근을 손으로 받뜨는 겨집의 손이다.

5.이 글자도 가운데 실타레(누에고치) 가 있고 그 주위에 점이 두개씩 있으려 왼쪽 점 두개 아래는 ㄱ 같은것이 있는데 이 글자는 중국학자는 미 해독이나 그 표시는 行자나 道 자 같이 십자로이고 그 중간에  고치이니 알 을 승계 한다는 뜻이 있다.

6..중국 학자들은 小 자로 보는데 당시 우리 상식으로는 그냥 점 새개로 세 사람, 또는 숫자가 없던 당시 많다는 뜻도 된다.

7.중국학자는 눈(目)로 보는데 필자의 해독은 눈 이니 살핀다는 뜻으로 본다.

8.王

9.사내가 알을 보고 있고 그 뒤에는 물고기 꾸러미인데 이는 물건이며 돈 이다. 이 글자 전체는 중국학자는 미해독이나 부분적으로는해독.

 

* 넷째줄

1. 大(사람) 밑에 불(火)인데 이는 사내가 불을 놓은다는 것도 되고 밝힌다는 뜻도 된다. 중국 금문학자 부분적 해독.

2.△ 이 위아래로 있어 환숫을 받든다는 말인데 좌측것은 남근 우측 점 둘은 알 이다. 중국학자 미해독.

3. 중국 금문학자는 이 글자를 열十 자의 시작으로 보는데 이는 금문 七에서 보듯 우리말 일곱이고 이는 알(씨)을  가지고 결국 十자로 확산 하려는 글자.

4. 중국학자는 反 자로 해독하고  復也라는 토를 달아 놓았는데 이는 막힌 벽을 더듬는 글자이므로 反復 이라면 말이 된다.

5. 王

6. 자획이모호하나 ㅂ 과 같고 그렇다면 받는 뜻의 여음

7. 이 글자도 중국 학자들은 小 자로 보는데 당시 우리 상식으로는 그냥 점 새개로 세 사람, 또는 숫자가 없던 당시 많다는 뜻도 된다.

8. 중국인들이 子 로 보는 글자지만 하늘같이 큰 머리를 이고 하늘을 날고 있으니 하늘의 정기로 본다.

9. 이역시 중국학자들은 小 자로 보는데 그냥 점 새개로 세 사람이며 숫자가 없던 당시 많다는 뜻이다.

10. 중국학작들은 눈(目) 으로 보지만 살핀다는 뜻이다.

 

다섯째 줄

1.자획모호?

2.중국학자들은 손手자로 보는데 이는 손이지만 또 손을 내민다는 뜻이 있다.

3. 자획모호, 역시 손이지만 손에 알을 잡은것 같기도 하다.중국학자 미해독

4. 새(鳥) 를 바들고 있는데 여기서 새 란 우리 말로 새것을 말하기도 한다. 중국학자 미해독

5. 조개(여음)과 숫을 세운 사내.중국학자나 세계 어느 학자도 인류 최초의 돈은 조개인 패전(貝錢)이었다 하지만 금문을 해독해 보면 조개를 돈으로 썼던 일은 없다. 또 만약 조개돈을 썻다면 바닷가 사는 사람들은 모두 갑부였을 것이다. 조개貝 란 여음이고 이 여음이 돈 대신 썼다는것이 금문해독상 분명한데 이것을 착각한 것이다. 우리말 쪽애 > 조개, 쪽 = 성인낭자. 쪽 = 결혼한여인의 머리장식등. 

6. 통나무에 구멍을 파서 만든 쪽배(여음)를 바뜨는 사내손. 중국인 미해독이나 兪자를 해독해 보면 알 수 있음

7.환웅木을 보면서 후미교접(중국학자는 北, 背자로 해독) 하는 한쌍.

8. 중국 학자는 힌백(白)자로 해독하지만 원래 白은 하늘 ㅇ 의 주인인 해로 ㅇ 가운데 점이 있고 이것이 주국인들에 의해 日이 되었는데 그 위에 빛 금인 / 은 햇빛이므로 白은 힌 햇빛이다.

9.이 글자역시 중국학자는 十으로 보지만 금문 七에서 보듯 씨를 가지고 격국 十자로 확산하려는 우리말 일곱

 

* 여섯째 줄

1. 자획모호하나 알(씨)이 있는 아래에 잠자는 ㅈ(자지)이 있고 왼쪽에서 사내 숫이 있다. 중국학자 미해독.

2. 중국학자는 老로 보는데 실은 숫이 시들 시들한 늙은이

3.환숫의 솟대인  △을 사내와 겨집이 바뜰고 있다. 중국학자 미해독

4.남근을 겨집이 바뜰고 있다. 중국학자 미해독.

5.일곱이 알을 배어 솟아 오르다. 중국학자 미해독

6. 이역시 하늘아래 땅위 가장큰 사람을 ㅂ 으로 바뜨는 왕족. 중국학자 미해독.

7.조개인 여음을 찌르려는 사내. 중국학자 미해독.

8.도깨비 탈. 이 도깨비 탈은 중국인들은 감옷, 공갈 협박을 한다는 甲,畏, 鬼 자로 해석하지만 이는 동두철액(銅頭鐵額)을 했다는 치우천왕의 탈이고 지금 붉은 악마의 00이다. 즉 도깨비란 당시 쇠를 녹이는 접시가 우리 말로 도가니 이고 그 제철 기술을  가졌던 사내가 도가니아비 > 독아비 > 도깨비 이다. 당시 국가 제 일급 비밀인 제철 기술은 왕족만이 가졌고 무위도식 하던 왕족이 많아지지 농민들의 농기구를 만들어 주기 위해 지방에 파견 했는데 그 왕족들은 현지주민들로 부터 술밥을 제공받는 이외에 절대 금품을 요구 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도깨비들한테 잘 보이면 금은 보화 보다 더 중한 농기기를 공짜로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당시는 결혼제도가 없었으므로 동네 겨집들과 관계를 가지려면 그녀들이 사람을 알아 보고 정이 들지 못하게 탈을 썼는데 그것이 바로 붉은 악마들이 애용하는 도깨비 탈이니 당시에 벌써 그 탈이 있었다는 말이다.

9.환웅목을 앞에 두고 후방위 교접. 중국학자는 후바위 교접을 北또는 背 로 해독.

 

* 일곱째줄

1. 먼저 말한 빛(白)

2.大(사람)밑에 불로 밝힌다. 중국학자 미해독

3. 먼저 설명, △ 이 위아래로 있어 환숫을 받든다는 말인데 좌측것은 남근 우측 점 둘은 알 이다.

4. 금문의 七과 냇물

5.먼저 말한 벽, 반복 

6. ㅂ 위에 싹

7. 빛을 탄 쪽배, 중국학자는 물위에 배로 보지만 이는 삼수변이 아닌 빛. 參 참조.

8.싹을 살피는 사내. 우측 글자를 중국인들은 兄으로 해독하는데 씨놀음(씨름) 승자나 맞이가 제를 올리므로 제주로도 본다.

9. 중국학자는 見 으로 해독하는데 이는 눈아래 사람으로 살피는 사내

 

* 여덟번째 (마지막 좌로 부터 첫번째)

1. 후방위교접(나중에 중국인들에 의해 北, 背자가 됨

2.먼저 말했듯이 힌백(白)자의 원형으로 빛을 의미함

3  이는 사다리를 세우는 사내이고 중국학자들은 用 자로 해독,

4.후방위교접(나중에 중국인들에 의해 北자가 됨

5. 먼저 말했듯이 중국인들은 周로 해독 하고 있으나 이는 門아래 ㅂ 이나 口 가 있는 글자로 여인네 집, 하기는 여음이란 숫을 두르는 것이니...

6. 八과 같은 출구에 아래 입 (여음)

7. 중국 학자는 보물 寶자로 해독하나 보물이란 꼭 물건뿐이 아닌 자식도 해당.

8. 술독을 바뜨는 두 사람(제사,축제)

9. 자획모호.

 

모호한 글자가 있으나 위 글을 종합해 말을 붙여 보면

 

* 우측 첫째줄에서 아래로

1. 남녀가 서로 등지고 있으면

2. 겨집에게서

3.氏 가 나올 수 없다( 원시 우리말에서 바람도 바람이고 바람을 막는 벽(壁)도 바람이듯 능동과 수동이 없다.

4.환숫의 남근이라도

5. 용이나 번개같이 어울어 저야.

6.하늘아래 땅위 가장 위대한 사람(王)이되고

7. 무엇인가 하는 사람이 나온다.

 

* 둘째줄

1.자획모호 ?

2. 겨집의 집에

4. 왕이 들어가려면

5. △아래 겨집이 업드려야

6. 숫(사내, 남근)이 들어가서

7. 집안에 알이 싸이고

8. 생명이 계승된다.

9..하늘아래 땅위 가장 위대한 사람(王)은

10. 달(밤)이 많아야 한다. 자주 와야 한다.

 

* 셋째줄

1.하늘아래 땅위 가장 위대한 사람(王)은

2. 생명 연장을 가리키는 스승이 되야 하는데

3. 먼저 알 구멍에 경배 드려야 하고

4. 겨집은 남근을 바뜰어야 하며

5. 많은 사람이

6. 살피어

7.왕이

8. 알을 살피는데 물건(돈)을 쓰게 한다.

 

* 넷째줄

1. 사람이 불을 밝히려면

2.  △(사람, 셋, 환웅, 남근)을 위아래로 세우고 알들을 위해 남근 을 내밀어야 하는데

3. 일곱(씨를 일구는 사내)은

4.막히지 않게 반복하라.

5.王의 ㅂ? (그릇)은

6. 많은

7.정기를

8.많은

9. 눈(目)으로 살펴야 한다.

 

* 다섯째 줄

1. 자획모호

2. 손과 또

3. 알을 쥐려는 손이

4. 새(새것)

5.조개( 새 조개= 처녀여음)을

6. 통나무에 구멍을 판 배 처럼 새 구멍을 뚫어 바뜰고 (당시인은 출산여부를 모르는 처녀 여음보다 이미 출산 경험이 있는 애기  엄마 여음을 더 선호)

7.환웅木을 앞에두고 후방위 교접을 하되

8. 빛인 

9. 일곱이 배가 불러 지게 해야 한다.(일곱이 여덜, 아홉이 되게 한다)

 

* 여섯째줄

1. 알(씨) 아래 다리 사이의 ㅈ(자지)를 보살피어

2.늙어 시들기 전에

3. △ 을 사내와 겨집이 세운다.

4. 남근은 겨집이 살피어

5. 알(씨)을 가진 일곱이 솟게 해야한다.

6. 왕족이

7.조개(여음)을 취할때는

8.도깨비 탈을 쓰고

9. 환웅木을 앞에 놓고 후방위 교접으로 한다.

 

* 일곱 째 줄

1. 빛과

2. 빛을 밝히는 사내는

3.△(사람, 셋, 환웅, 남근)을 위아래로 세우고 알들을 위해 남근 을 내밀어야 하는데

4.일곱이 개울물 흐르듯 해야 하며

5. 막힘이 없이 반복한다면

6. ㅂ(여음)에서 싹이 나고

7. 빛을 타게 된다.

8. 그 싹을 살피고

9. 감시 해야 한다.

 

* 여덟번째 줄 ( 좌즉에서 첫번째 줄)

1. 후방위 교접으로

2. 빛을 향하여

3. 사다리를 세우고 

4. 후방위 교접으로

5. 門아래 입이 열리면 

6. 八 과 같은 통로 구멍 아래 입에서 보물이 나온다.

7. 술독을 바뜰고

8. 축제를 벌이게 된다.

 

* 이 금문 문장은 오직 생식만을 최 우선으로 삼던 조상들의 사고인데 중국의 금문 학자가 그들 한자 해독으로는 말이 연결 될 수가 없으며 또는 미국 어떤 박사라도 이 문장을 말이 되게 해독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우리 상식, 우리 말을 하는 사람이면 유무식 을 물론하고 아무나 할수 있는것이다.

 

- 이상 끝 -

 

책 천부인과 천부경의 비밀 저자

금문 갑골문등 고대문자 연구가

카페 천부인과 천부경의 비밀 운영자

http://cafe.daum.net/chunbuinnet  - 우리 -

[발췌] 조용헌 살롱 '梵語와 한글'

범어(梵語)는 고대 인도어다. 불교의 초기 경전은 범어로 적혀 있었고, 한자로 번역된 것이 대장경(大藏經)이다. 번역본을 읽다 보면 원전(原典)이 보고 싶어진다. 신미대사(信眉大師)는 불교 초기 경전의 원전을 보고 싶어서 범어를 공부하게 되었다.

신미는 한글을 만들 때 범어의 틀을 그대로 적용하였다고 한다. 범어에는 50개의 자모음(子母音)이 있는데, 신미는 이 가운데서 28개를 선별하였다. 한글에는 다섯 가지 발음체계가 있다. 어금니에서 발음이 되는 아음(牙音:ㄱ, ㅋ 등), 혓바닥에서 나는 설음(舌音:ㄷ, ㅌ), 입술에서 나는 순음(脣音:ㅂ, ㅍ), 이빨 사이에서 나는 치음(齒音:ㅈ, ㅊ), 목구멍에서 나는 후음(喉音:ㅎ, ㅇ)이다. 한글의 골격은 이 5단계 발음체계이다. 자음과 모음은 음(陰)과 양(陽), 그리고 이 5단계 발음체계는 오행(五行)에 배당시켰다.


그런데 이 다섯 가지 체계는 범어에 그대로 있다는 것이 한글과 범어의 상관 관계를 30년 동안 추적해온 강상원(68) 박사의 주장이다(‘훈민정음 28자 어원적인 신해설’). 강 박사에 의하면 범어와 한글은 표현하는 문자만 서로 다를 뿐, 발음은 대부분 같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이렇다. 윷놀이할 때 ‘윷’이라는 말은 범어의 ‘yudh’에서 왔다. 범어로 ‘yudh’은 ‘별들의 전쟁’이라는 뜻이다. 정초에 하는 윷놀이는 하늘의 북극성을 중심으로 28수(宿)를 도는 과정이다. 28수를 한 바퀴 돌면 1년이 지난다. 윷놀이는 28개 별을 정초에 미리 짚어 보는 놀이이므로 별들의 전쟁이기도 하다. 아리랑은 범어의 ‘ari’와 ‘langh’이 합해졌다. ‘ari’는 ‘사랑하는 임’이라는 뜻이고, ‘langh’은 ‘서둘러 떠나다’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아리랑은 “사랑하는 임이 서둘러 떠나다”라는 의미가 도출된다.


‘머슴(심)’의 ‘머(ma)’는 ‘관리하다’이고, 심(sime)은 ‘힘’이다. 따라서 머슴은 힘(노동력)을 관리하는 사람이 된다. ‘아사달’은 ‘난공불락의 성’이라는 뜻이다. ‘밥’은 범어의 ‘vame’에서 왔는데, 이는 ‘어머니의 젖’을 가리킨다. 밥 먹었느냐는 ‘젖 먹었느냐’의 뜻이었던 것이다. 쌀농사를 짓게 되면서 어머니의 젖이 쌀로 대체된 셈이다. 앞으로 논쟁해 볼 가치가 있는 흥미로운 주장이다.

싼스크리트어는 우리 토속 사투리에 근간을 두고 있었다.
 
이름  임종기(ilhan)        
 싼스크리트어는 우리 토속 사투리에 근간을 두고 있었다.

學問이란 아시다시피 몇몇 아는 事實(사실)을 적당히 꿰맞추고, 상상하고, 추측하여 自己中心的으로 해석하는 것은 禁物입니다.  확실한 典據(전거)에 依하지 않으면 안 되겠지요.
이와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事項을 환기 시키고자 합니다.
 
 1. 原典(원전)(漢文)에 依(의)한 上古歷史(상고역사) 通察(통찰)이 必須的으로 要請됩니다.

  山海經(산해경)․資治通鑑(자치통감)․歷代神仙通鑑(역대신선통감)․太平御覽(태평어람)․三國史記(삼국사기)․三國遺事(삼국유사)․通知(통지)․通典(통전)․25史(25사)․後漢書(후한서)․唐書(당서)․舊唐書(구당서)․新唐書(신당서)․僞書(위서)․梁書(양서)․宋書(송서)․隋書(수서)․周書(주서)․三國志(삼국지)․魏志(위지)․竹書記(죽서기) 等等 …많은 사서에 대한 고증이 있어야 합니다.

 싼스크리트어가 우리의 토속사투리인 증거를 結論만 한마디로 記述(기술)하면,


우리 文明 東夷族(동이족)은 燉惶(돈황)을 中心으로 한 天山, 곤륜, 백산地域, 卽(즉) 西域(서역)의 天竺疆域(천축강역)에서 發生한 1만년의 歷史이다.

 

② 이 上古歷史(상고역사)와 言語로 밝힌 1만년의 歷史는 일치한다.

③ 天竺(천축)은 印度(인도)가 아니다. 

   Sanskrit(梵語(범어))는 印度語(인도어)가 아니다.

④ 佛敎(불교)는 印度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天竺(천축)에서 發生했다.

⑤ 歷史(역사)에서 “中國”은 현재의 “중화민국” 과 구별해야 한다.

   상고사 사서에서 ‘中國’은 中心된 나라 또는 중원의 여러 나라라는 뜻이다. 나라의 중앙(임금이 있는 곳)이란 朝鮮(조선)이란 뜻이다.

   朝鮮은 韓半島(한반도)에 국한 된 것이 아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의 三國과 고려․朝鮮(조선)의 歷史(역사)무대는 支那大陸(지나대륙)이었다.

⑥ 천인지, 음양 오행사상과 佛敎(불교)․道敎(도교)․儒敎(유교)는 우리 韓民族(한민족) 고유의 우주만유자연 철학사상이며, 太初(태초)의 실담思想이다.  중화민국의 思想이 아니다.

2.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言語(토속사투리)가 실담語요.

   Sanskrit의 母胎(모태:original)가 되는 말이다.

   Sanskrit어는 실담語가 인도로 流入되면서 변조된 것이다.

   1만년전 부터 우리는 실담語(싼스크리트어에 근간이 되는 말)를 말하고 있는 民族이었다.

3. 漢文 古典(한문 고전)에 훈민정음 28字로 表記된 ‘古語’ 는 모두가 실담語 그 自体(자체)이다.


  •東國正韻(동국정운)․ 訓蒙字會(훈몽자회)․ 新增類合(신증유합)․ 光州千字文(광주천자문)․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兒解․ 능엄경언해․용비어천가․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 등의 언해(古語)는 모두 실담語이다.


  •漢字는 실담語를 음사한(이두처럼) 글이다.  卽, 실담어 개념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이 또한 東夷族(동이족)인 우리 민족의 글이다.

  •通志에 있는 鄭樵(정초)의 七音略序(칠음약서)에 記述되기를, “七音六韻(칠음육운) 起自西域(기자서역) 流入諸夏… 萃僧從而定文(췌승종이정문)… ” 는 七音이 西域에서 夏(하)나라(BC.2224 - BC.1778) 卽, 支那大陸(지나대륙)으로 流入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4. 실담語와 Sanskrit와 우리말(토속사투리)의 관계를 알고자 한다면,


  • Oxford 사전(Sanskrit English Dictionary) 20만단어를 통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 Sanskrit語, 佛經, 법화경, 금강경을 通讀해야 한다.


    이 모두가 실담語이며 우리는 現在 이 실담語(토속사투리)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再確認(재확인)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우리 韓民族(한민족)은 東西文明(동서문명)을 찬란한 역사를 創造한 偉大한 民族임을 밝혀 드리는 바입니다.


(참고로 Oxford 辭典 안에 있는 表紙의 Title를 注目 하십시오.)


 “Sanskrit Language Cognate Indo-European Language” Sanskrit는 印度語(인도어)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인도어라면 Cognate 代身 Proto를 써야 합니다.)


5. 집현전 학자들은 새로운 글자의 창제원리를 깊이 연구하는 데에 노력했다.  그런데 우리가 쓰고 있는 말은 1만년전의 실담어 이다.  실담어로 기술된 언어는 우리 토속사투리와 일치 한다. 

  훈민정음은 이미 그 의미와 발음이 실담어이기 때문에 실담 글자에 의거하지 않고는 훈민정음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다.



參考 문헌: 姜相源 博士 著書 (참고 강상원 박사 저서)

1. 天竺(천축) 실담 象形文字(상형문자) 註釋(주석)

  <$300. 보급價 15万원>

2. 한글 古語辭典 실담語 註釋

  <$300. 보급價 15万원>

3. 王孫正統言語(왕손정통언어) 復元  실담語 註釋

  <$300. 보급價 15万원>

4. 訓民正音(훈민정음) 28字 語源的 新解析

  <$75. 보급價 35,000원>

5. 법화경․금강경 英譯(영역)(近刊豫定)

6. 우리말 뿌리 世宗文字․불교어.라틴語․실담語 辭典(近刊豫定)




가장 이해가 쉬운 예가 있는데, 스탄 이란 단어입니다. 스탄의 뜻과 발음이 땅과 똑같은 거랍니다.
우리가 일제시대를 거치며 맞춤법을 정비했기 때문에 훈민정음 시기의 발음, 표기와 지금의 것이
달라졌죠. 최두환 님의 칼럼을 하나 소개해드리죠.

제목 : 땅을 찾아라
우리가 쓰는 말의 근본은《훈민정음》에 나오는 28자의 범위에 있다. 물론 그 발음이 본디 그《훈민정음》의 방식과는 다르게 쓰인다고 하더라도, 그 의미는 별로 다르게 쓰이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가 다시 생각해봐야 하는 글과 소리가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니라 "땅"이라는 말이다.
이 "땅"이란 글자는 옛날에 "ㅅ다/ㅅ다히"이며, 토시와 더불어서 "ㅅ다해/ㅅ다희/ㅅ다히"가 있다. 여기서 "ㅅ다"는 지금은 그 소리를 [ㄸ]로서 알파베트로는 [dd] 또는 [tt]로 낸다. 그러나 이것은 현재의 문제이고, 옛날에는 그렇지 않았다.
말하자면, 지금의 "사나이/사나히"를 옛날엔 "ㅅ나히"였으므로 [ㅅ]발음, 즉 [s] 소리가 났던 것이다.
그렇다면 "ㅅ다/ㅅ당"의 알파벳 표기는 "sta/stan"이 된다. 이 알파베트를 다시 요즘의 소리 표기하면 [스따/스딴][스타/스탄]이 되는데, 역시《훈민정음》식 표기는 "ㅅ다/ㅅ당"이 된다.
이런 표기는 현재 실제로 벨루치스탄(Beluchistan)·파키스탄(Parkistan)·아프가니스탄(Afghanistan)·타지키스탄 (Tadzhikistan)·키르기즈스탄(Kyrgyzstan)·우즈베키스탄(Uzbekistan)·투르크메니스탄 (Turkimenistan)·카자흐스탄(Kasakhstan)의 "stan"이 그것이다. 이 "stan"은 페르시아 지역의 언어인데, 영어로 "land"이며, 조선말로는 "땅/나라/국가"이다.
영어에 state·station·stair·step·sterile·stance·start·stamp·stand·stable·stage 등의 "sta"가 "ㅅ다/따"에서 나왔음도 알 수 있다.
이 "ㅅ다/따"의 어원은 실담어를 전공한 강상원 박사의《왕손 정통언어복원 실담어 주석》(한국세종한림원, 2003), pp.2∼3에 보면, "ㅅ다 地·坤·壤: ta : the essential nature of the earth. the mother of the all things. the earth. land. soil."이라고 하였다. 싯담어, 또는 실담어에 "따[ta]"가 "지구/나라/땅/흙"이라고 하였으니, 그 의미가 새롭지 않을 수 없다.

이 실담어는 곧 중앙아시아 지역의 언어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반도에서 쓰는 "땅"의 뿌리는 그 중앙아시아에서 수입되어 사용하는 말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이 한반도에서도 처음부터 쓰고 있었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 문화의 뿌리는 언어문화사 측면에서 다시 살펴보면 알 일이다. 다만 한반도가 조선으로 심어지는 시기에 1920년대부터 대대적으로 한글보급운동을 벌인 것을 보면 아무래도 한반도의 언어문화라고 고집하기에는 설득력이 떨어지며, 그런
문명 속에서 살고 있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 최두환 -
 
 



 
 
[2/20]  dolmen   IP 58.247.167.x    작성일 2007년3월20일 12시29분       
 
 실담어 또는 싯담어라고 산스크리트어의 원형이라고 하는데 이게 훈민정음 시기 우리말의 원형이라고 합디다. 강상원 박사는 대륙조선설을 모르는 상태에서 이 이론을 전개했는데 요즘은 최두환 교수와 교류하고 있다고 하더군요.
또 한가지 예로 졸본이라는 단어의 뜻은 샛별인데 이게 솔본 졸본 이렇게 불렸죠.
솔본...소르본과 같은 말입니다. 소르본도 샛별이란 의미가 있다는군요.
요즘 보고 있는 재밌는 책이 있는데 '노스트라트 어원여행'이라는 책이죠.
대륙조선설과 상관은 없는데 재밌습니다.

---------------------------------------------------------------------------------------------------
싯담어는 우리나라 옛 사투리이다.

  [참고문헌] 대륙조선사 연구회, "싯담어"는 또 무엇인가? (최두환저)

  [주내용]

1. 싯담어(Siddham: 悉曇語)

  1) 강상원(姜相源)씨가 지은 <訓民正音 28字 語源的인 新解釋>(한국세종한림원, 2005) 참고
 2)"우리 韓國의 전통토속 사투리"
 3)"梵語(범어, Sanskrit語)의 母胎(모태)가 되는 諺語(언어)
 4) 이 사투리(Ksiatria ; 크샤트리아)를 王族言語라 함.
 5) 싯담어의 사용지역은 "만년전에 삼위태백, 천산, 곤륜산, 백산,
    中天竺疆域(중천축강역)의 阿斯達(아사달, Asaddhar: a holy city, invincible castle, strong
    hold)",
"伊甸園(이덴원)"이요,"silk road의 요지인 삼위, 태백이 위치한 燉煌(돈황) 지역"

  6)"東國正韻(동국정운)...訓蒙字會(훈몽자회)...의 의미와 音韻(음운)이 대부분 싯담어와 동일성을 보여준다."
7) 중앙아시아 지역의 싯담어가 아시아 동쪽 끝에 있는 한반도의 언어와 그 뿌리를 같이 한다.
8)북경어는 싯담어와 다른 구어로써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한문을 변조한 것이다. 

2. 싯담어의 실례
(1) "grahang khyene"(그랑께네) : comprehended the meaning so as to make it manifest.
    [그 本質(본질)을 이해하고, 확인하고, 밝히는 바이다.]
(2) "agruta khai"(아그러타 카이) : I aproved it, as I confirm!!ed. or made it clear.
(3) "mara kheyena"(마라 켄나?) : what do you figure out and make menifest?
    [뭐라고 헤아리며 밝히고 있나?]
(4) "vame mev-ta"(밤 무따!] : drink the milk, eat rice.
    [우유를 마시거나, 밥을 먹다.]

[연관성]

세계어의 동질성을 이룬다.

1. 한글은 아메리카의 원주민언어와 유사하다.
   아버지=아팟치 등
2. 스페인어와 싯담어와 흡사하다.
3. 중앙아시아어와 한글어와 유사하다.
4. 영어도 한글어와 흡사한 것이 많다.
   dung= 똥 등

설날을 설날이라 부르는 타밀족 타향서 ‘4월의 설맞이’

일요일인 13일 서울대 학생회관 지하 강당. 까무잡잡한 피부에 유난히 커다란 눈망울과 짙은 쌍꺼풀을 가진 아이가 또렷한 발음으로 “엄마”,“아빠” 부른다. 아이의 부름을 들은 엄마는 아이에게 알아들을 수 없는 외국어로 답한다. 이들은 인도의 한 종족인 타밀인들이다.‘타밀력’으로 새해 첫날인 이날,180여명의 타밀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타밀의 설날’ 행사를 가졌다.

▲ 한국에 거주하는 타밀인들이 ‘타밀력’으로 새해 첫날인 13일 서울대 학생회관에 모여 ‘설날’ 잔치를 벌였다. 타밀족의 한 어린이가 전통무용을 뽐내고 있다.
김명국기자
daunso@seoul.co.kr

타밀인들은 인도 남부와 스리랑카 북부에 흩어져 산다.
타밀어는 국어와 어순도 같고 발음이 유사한 단어가 수백개에 이른다.‘엄마’,‘아빠’는 발음이 아예 똑같고 ‘이빨’은 ‘빨’,‘이리와’는 ‘잉게와’,‘사람’은 ‘사라르’,‘보름달’은 ‘보오르느미’로 발음한다. 이들은 옛날에는 설날을 우리와 같이 ‘설날’로 불렀고 요즘에는 ‘무달날’로 부른다.

타밀어 전문가들은 이런 유사성이 가야의 김수로왕비인 허황옥이 타밀 지방에서 왔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기도 한다.
문화도 비슷한 점이 많다. 손윗사람에게 ‘형’이나 ‘선배’ 등의 호칭 없이 직접 이름을 부르면 예의에 어긋난다. 대부분 중매 결혼을 해 과거 우리나라와 같이 결혼 전에 신랑과 신부의 얼굴을 모르는 일이 허다하다. 궁합과 사주도 본다. 우리의 한가위와 비슷한 ‘디파왈리’라는 명절을 10∼11월에 지내기도 한다.

현재 국내에 머물고 있는 타밀인들은 2000여명. 대부분 전문직과 박사급 연구원들로 IT기업이나 카이스트 등에서 연구활동을 한다.2003년 ‘코리아 타밀 친구’라는 모임을 만든 락시미파티 라오(29)는 “한국 곳곳에 흩어져 있는 타밀인들이 ‘설날’을 맞아 어디서 어떻게 사는지 얘기도 나누고 음식도 해먹으면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삭이기 위해 모인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 전통 민속춤인 ‘바라사나티야’를 추기도 하고 한 사람씩 마이크를 들고 타국 생활의 어려움을 털어놓기도 했다.

IT업체에서 일한다는 밧갈(25)은 “지하철에서 자리에 앉으면 주변과 앞의 사람들이 슬금슬금 피해가는 모습으로 인종차별을 드러낸다.”면서 “피부가 까맣다고 ‘태도가 나쁠 것’이라는 편견을 버리고 같은 아시아인으로 똑같은 사람이라는 점을 생각해 줬으면 좋겠다.”고 아쉬워했다.

이재훈기자 nomad@seoul.co.kr" target=_blank>nomad@seoul.co.kr

■용어클릭

타밀인 인도 남부와 스리랑카 동북부에 거주하는 민족이다. 인도의 28주 가운데 하나로 타밀주의 인구는 6000만명에 이르지만 타밀족은 일부에 불과하다. 타밀어를 중심으로 강력한 문화권을 형성했지만 단일 민족 정부를 이루지는 못했고 늘 다른 국가의 통치권 아래 있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74만명 정도 흩어져 살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서울신문 2008-04-14  8면

----------------------------------------------------------------------------------------------

아시아에서 무장 독립 투쟁을 가장 적극적으로 해온 단체는 스리랑카의 타밀 엘람 해방호랑이(LTTE)이다. 이 단체는 무력으로 타밀족의 독립을 쟁취하려는 반군조직이다. ‘엘람’은 타밀어로 스리랑카를 의미하며, 호랑이는 스리랑카 국기에도 등장하는 싱할리족의 상징인 사자에 대응되는 개념이자 타밀족 옛 왕조의 전통문양이다.

이 단체는 현재 병력이 1만명을 넘고, 10여척의 함정에 5대의 항공기까지 보유하고 있다. 이 단체는 올 들어 지난 6년간 지켜왔던 스리랑카 정부와의 휴전 협정을 깨고 다시 무력 투쟁에 들어갔다. 스리랑카의 인구는 약 2000만명으로 이 중 75%가 불교를 믿는 싱할리족이고, 힌두교를 믿는 토착 타밀족과 영국 식민통치 시절 인도 남부에서 차 농장 노동자로 대거 유입된 인도의 타밀족을 합쳐 15%를 차지하고 있다. 1948년 독립 이후 다수의 힘으로 정권을 장악한 싱할리족은 현재까지 소수파인 타밀족에 대한 차별 정책을 펴왔다. 이 때문에 1983년부터 2002년 휴전이 이뤄지기 전까지 스리랑카 정부군과 타밀 반군의 전투로 7만여명이 숨지기도 했다.

노르웨이의 중재로 양측이 당시 타협한 휴전 협정의 골자는 타밀 반군이 독립국가 건설 노선을 버리는 대신 스리랑카 동부와 북부 지역을 자치 지역으로 한다는 일종의 연방제였다. 하지만 타밀 반군은 자신들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고 있는 스리랑카 정부를 의심하면서 다시 독립 국가를 건설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보이고 있다. 양측의 휴전 협정이 폐기된 이후 지금까지 타밀 반군의 테러 공격과 스리랑카 정부군의 보복 등으로 300여명이 사망하는 등 갈수록 상황이 악화하고 있다. ▒

질문 :
질문 : 타밀어와 한국어는 연관성을 가지는 가?
내용

인도 남부의 타밀나두주에서 살면서 가끔씩 드는 생각은 혹시 타밀어가 우리말과 비슷한 것들이 있어, 두 언어 사이에 연관성이 있지 않을 까 하는 것이다. 먼저 지금까지 발견한 것들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1. 한국어 (엄마) : 타밀어 (엄마)
2. 한국어 (아빠) : 타밀어 (아빠)
3. 한국어 (나) : 타밀어 (난)
4. 한국어 (너) : 타밀어 (닌)
5. 한국어 (꼬마) : 타밀어 (꾸마르)
6. 한국어 (쌀) : 타밀어 (사듬)
7. 한국어 (이것) : 타밀어 (이더
)

그리고 유사성을 가지는 지는 의문이지만 우리말로 ‘똥배’라는 말과 타밀어의 ‘톳배’라는 부분이 어쩐지 닮아 있다. 그 의미는 불룩 나온 배를 경멸하여 말하는 것이다.


두 언어의 유사성은 단순히 낱말들에 지나지않고 어순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타밀어로 ‘잉거 뽀레?’는 한국어로 ‘어디로 가니? 이다. ‘잉거=어디로’와 ‘뽀레=가니?’ 의 조합이다. 거기다가 존경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잉거’등이 쓰여 우리말의 ‘~니까?’등과 같은 구실을 한다. 위의 타밀 문장을 존경의 표현으로 나타내면 ‘잉거 뽀렝거?’ 라고 표현 하면 된다.

아무런 학문적 근거 없이 단순히 발견한 몇 마디의 말과 문장으로 타밀어와 한국어의 유사성을 논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지만 이렇게 의견을 나누는 가운데 이 의문에 대한 갈증을 해갈할 수 있지 않을 까 하는 생각으로 글을 올립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