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범윤은 1902년 간도 시찰원이었다가 1903년 간도관리사間島管理使로 승진하였고 간도지역에 민병대인 忠義隊충의대를 결성하고 군 초소를 구축했다. 이범윤의 충의대(忠義隊)와 대한제국군 함북진위대는 1901~1903년 북간도에 침입한 청병(淸兵)이나 청비와 싸워 연전연승함으로써 간도를 지켜냈다. 러일전쟁이 터진 직후인 1904년 봄 이범윤 부대는 자발적으로 의용군 부대로 전환하여 항일군사활동을 전개했다. 충의대는 3천, 4천명 이상의 인원이 참가하여 상당한 군세를 확보하고 있었다.
1904년 3월 회령지역에서 의병활동을 수행하던 추명찬은 “러시아와 우호협력을 유지하라.”는 고종황제의 밀명을 소지하고 있어다. 이들은 회령 지역에 진주해 있던 일본군 동향에 관한 첩보를 수집해 러시아 제1 네르친스크 까자크연대 백인부대장에게 넘겨주었다.
함경남도 원산 지역에서는 현홍근 부대가 활약하였다. 이 부대는 러일전쟁이 터진 직후인 1904년 3월, 연해주의 추구예프 유년군사학교 출신 현홍근이 같은 학교에 다니던 유년사관들과 함께 결성하였다. 현홍근 부태는 300명으로 구성되어 주로 원산과 평양에 진주한 일본군 경비대대와 전투를 벌였으면 첩보수집과 첩자체포에 여러 차례 공을 세웠다.
러시아 연해주 군관구사령부는 1904년 6월 함경도 일대의 도시 부령, 함흥, 무산, 원산, 경성, 회령, 훈춘 그리고 길주 등 에서 활약하고 있는 한인의병을 지원하기 위해 3천명으로 구성된 기병대를 북부지장으로 파견하였다. 기병대장은 대한제국군 출신 김인수가 맡았는데 대한제국군 부령(중령)을 지낸 사람으로서 일본이 한성을 장악하던 1904년 2월 서울을 빠져나와 일본군의 추적을 피해 러시아로 건너간 인물이다. 그는 러시아군을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한인 빨치산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었다. 김인수 기병부대가 부여받은 임무는 북한지방을 계속 장악하면서 일본군이 두만강을 넘어 러시아로 침범하는 것을 막는데 있었다.
1905년 7월 7일 한반도 북부 지역에서 러시아군이 지휘하는 선견한국분견대先遣韓國分遣隊가 결성되어 작전을 수행할 때, 이범윤 부대 역시 공동작전을 수행하였다. 러시아 군을 도와 일본군과 싸우라는 국왕 고종의 지시를 수명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참고문헌
1. 심헌용, ’한반도에서 전개된 러일전쟁 연구’,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1
'근현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제국 석현(石峴) 이용익李容翊 암살, 김현토金顯土 (0) | 2018.09.13 |
---|---|
대한제국군 운영, 국방비 (0) | 2018.08.19 |
갑진왜란甲辰倭亂 조선병합전쟁朝鮮倂合戰爭 (0) | 2018.08.12 |
대한제국 군사력, 총기제조소銃器製造所 (0) | 2018.08.12 |
미스터 션샤인, 활빈당 活貧黨 ? (0) | 2018.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