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을 거닐며/알뜰잡학10 중국 선비족(鮮卑) 후예, 시버족錫伯族 [세계의 창] 시버족錫伯族과 만주어가 살아있는 신강성 찹찰(察布査爾) 시버(錫伯) 자치현 역사기사 2009/02/08 21:36 1. 만주어가 살아숨쉬는 곳 글: 이승섭(자유기고가) 찹찰 시버 자치현[찰포사이察布査爾 석백錫伯 자치현自治縣, Capcal Xibe-]은 과거 구 소련과 국경이 맞닿아 있는 신장위구르자치주의 한 현(縣)이었지만, 구 소련이 해체된 후 지금은 카자흐스탄과 국경을 마주하고 있다. 찹찰 시버족 자치현을 포함해서 신장위구르자치주에는 17만 여 명(1990년 조사)의 시버족이 살고 있다. 시버족은 한자로는 ‘錫伯’로 표기하며 로만알파벳으로는 Sibo, Sibe, Xibo, Xibe 등으로 표기한다. 이들의 언어인 시버어가 우리에게 특별히 남다른 의미를 가지는 이유는 바로 최후의 ‘만주어.. 2015. 2. 20. 고대 허리띠 고리(바클), 대구(帶鉤) 마형대구(馬形帶鉤) 청동기시대 말기부터 삼국시대까지 사용한 말모양의 띠고리. 허리에 차도록 되어 있는 일종의 장식물이다. 원형 또는 타원형의 금구(金具) 한쪽에 고리를 만들어 혁대에 부착시킨 것으로 맞은편의 둥근 고리〔環〕에 걸도록 하였다. 이러한 청동띠고리의 동물의장(動物意匠)은 북방청동기의 영향으로 볼 수 있으며 청동기의 실제 사용이라기보다는 의기적(儀器的)인 성격으로 장식성이 가미된 것이라 하겠다. 대체로 청동기시대 말기에 나타나 초기철기시대를 거쳐 삼국시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호형대구(虎形帶鉤) 초기철기시대 말기에서 원삼국시대 초기에 걸쳐 사용된 호랑이모양의 청동제 띠고리. 한국식 동검문화 관계유적에서 발견되고 있다. 전체적으로 웅크리고 앉은 호랑이의 형상을 하였다. 한쪽 면은 호랑이의 측면형태가.. 2015. 2. 20. 알이랑 민족 또 하나의 선민 알이랑 민족-한국 24 금제단 센터 뉴스레터 180호 인터넷뉴스팀 2006-03-03 16:54:44 아리랑은 원래 ‘알이랑’이다(알이랑→아리랑). ‘알이랑’은 ‘알’과 ‘이랑’으로 구분된다. ‘알’은 성경의 ‘엘(EL)’, 아랍인의 ‘알아(알라)’처럼 ‘하느님’을 뜻하는 단어다. ‘하느님’이라는 유일신의 신명(神名)은 최초에 ‘알’이었다. 그런데 ‘알’ 앞에 ‘한’이라는 관형사를 붙이고, ‘알’ 뒤엔 ‘님’이라는 접미사를 붙여 ‘한알님’이라고 했다. 이 ‘한알님’이 한알님→하날님→하늘님→하느님으로 변한 것이다. 그러므로 ‘알’은 ‘하느님’을 의미한다. ‘이랑’은 ‘~와 함께’라는 토씨로서 영어의 ‘With’에 해당한다(예: 갑돌이랑= 갑돌이와 함께). 그래서 ‘알이랑’은 ‘하느님과 함께.. 2009. 2. 21. 고려 왕후 황보씨 (皇甫氏) 천추태후 영천황보씨 족보에 중국 안정(安定)에서 시작된 성씨로서, 신라 말에 당나라로부터 건너온 황보경(皇甫鏡)이 우리나라 황보씨의 시원을 이루었다. 《영천황보씨세보(永川皇甫氏世譜)》에 의하면 황보경의 증손 능장(能長)이 고려 태조 때 공을 세워 영천부원군(永川府院君)에 봉해졌으므로, 관향을 영천으로 하게 되었다고 한다. 황보(皇甫)성의 유래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서주(西周) 관직 명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황보(皇父)가 황보(皇甫)의 발음이 유사한 것으로 유추하는 설이 있다. 논외로 안정(安定 ; 현재 감숙성 고원현)은 한(漢)나라 시대에 양주(凉州)에 속해있는 지역이고 도요장군 황보 규(皇甫 規; 104 ~ 174 AD)의 고향이고 후한(後漢) 때 명성을 떨친 황보 숭(皇甫嵩)이 조카이고 동생은 안문태수 황보.. 2009. 2. 2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