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원에서 한반도까지 <22> 투바공화국을 아시나요
사라져가는 한 초원국가에 대한 강대국들의 동상이몽
- 국제신문
- 디지털뉴스부 inews@kookje.co.kr
- 2010-02-15 19:11:45
- / 본지 20면
투바호수 위의 한 섬에 세워진 포르-바쥔 성. 매우 독특한 모습이다. |
- 남한의 배 크기 · 인구 30만명
- 몽골계 민족의 전형적 유목국가
- 스키타이시대 적석목곽분, 황금유물 등 출토
- 알타이 못지 않은 유목문화 자랑
- 푸틴의 강한 러시아 투바 배경 상징화
- 중국과 러시아 영토·역사분쟁 가능성
러시아 남부 시베리아에는 우리나라 백두대간에 비유될 수 있는 커다란 산맥이 가로지른다. 이 산맥의 이름은 사얀-알타이로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몽골, 중국을 아우르고 있다. 우리에게 익숙한 알타이도 바로 이 산맥의 일부다. 그런데 알타이의 동쪽에는 투바(현재는 티바로 개명)인들의 자치공화국이 있다. 이 공화국에는 알타이 못지 않게 고대부터 내려오는 많은 초원의 유적이 살아 숨쉬고 있다. 하지만 알타이보다 고고학 조사가 덜 진행된 탓에 외부인들이 잘 모른다. 유라시아 대륙 한 가운데 숨겨진 아시아의 진주라고도 할 수 있는 투바공화국은 러시아와 중국사이에 끼인 지정학적 위치와 유목민족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20세기 이후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 사라져가는 한 초원국가에 대한 강대국들의 동상이몽
러시아의 공화국 지도 속 투바공화국. 아래쪽 녹색으로 칠한 부분이다. |
약 2500년 전 투바족이 사용했던 황금유물. |
중앙아시아에 숨어 있는 투바공화국. 하지만 의외로 미국에서 투바는 유명하다. 왜냐하면 미국에서 손꼽히는 물리학자인 리처드 파인만이 죽기 직전까지 투바의 열렬 애호가로 자청하며 다양한 대외활동을 벌였기 때문이다. 파인만은 1965년에 노벨물리학상을 받는 등 아인슈타인과 함께 20세기 최고 물리학자였다. 또한 그는 1985년 우주왕복선 챌린저호의 폭발을 규명했으며,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라는 책으로 물리학계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친숙한 학자이기도 하다.
■ 농담 잘 하는 파인만 씨가 진지해진 이유
투바족장 황금보검. |
파인만이 투바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1940년대에 발행된 '탄누-투바'공화국의 우표 한 장에서 시작됐다. 현대문명과는 완전히 다른 패턴으로 초원 유목생활을 하는 투바인들은 언제나 창의력과 호기심에 가득 찬 파인만이 죽음의 공포를 떨칠 수 있었던 원동력은 아니었을까?
파인만의 경우가 잊혀져 가는 유목국가에 대한 관심이었다면, 21세기의 푸틴 러시아 총리(전 러시아 대통령)가 집권한 이후에 투바는 급격히 강해지고 있는 러시아 국력의 상징으로 재등장하고 있다. 근육질의 푸틴 총리가 휴가철에 반라의 차림으로 낚시나 수영을 즐기는 모습이 가끔씩 외신으로 보도된다. 강한 러시아와 지도자를 원하는 러시아 국민들을 위한 선전의 성격이 강하다. 그런데 푸틴이 주로 휴가를 즐기는 곳이 투바의 초원이다. 그 배경에는 푸틴의 측근인 투바 출신 러시아 정부 비상대책부장관 세르게이 쇼이구가 있다고 한다. 그 인연으로 투바의 자연과 역사는 중앙아시아의 마지막 남은 초원문화의 터전에서 러시아 국력의 상징으로 등장했다.
투바에는 호수 속에 세워진 '포르-바쥔' 이라는 성터가 있다. 마치 엘도라도의 전설처럼 호수 위에 떠 있는 듯한 이 성터는 서기 12세기 대 탕구트국(티베트계통의 민족이 세운 나라. 중국어로 서하·西夏)의 것이다. 지난 2007년 여름에 푸틴은 모나코의 황태자 알베르트 2세와 이 성터 발굴 현장에 머물렀다. 한국 같이 정치인들이 양복에 안전모를 쓰고 뒷짐진 채 현장을 순시하지 않고, 자연 속에서 캠핑을 하며 삽으로 흙을 퍼올리는 모습이 보도됐다. 푸틴의 마초이즘적 이미지를 강화시키는 데 초원제국을 연구하는 고고학도 동원된 셈이다. 이렇듯 러시아에 가장 늦게 편입된 변방의 투바는 최근 강력해지는 러시아의 거칠지만 강한 자연의 상징으로 떠오르고 있다.
■ 강대국 틈바구니에서
러시아의 화가이자 역사가 니콜라이 레리흐가 그린 '초원의 석양'. 아인슈타인이 그의 그림을 보고 크게 감동했다고 한다. |
파인만과 아인쉬타인이 좋아했던 초원은 현대와는 판이하게 다른 패러다임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이었기 때문이 아닐까. 틀에 박힌 현대문명의 삶과 사고방식에서 완전히 벗어난 새로운 생활의 사람들이 그 원인은 아니었을까. 물리학에서 파인만이 평가받는 이유는 바로 기존의 통설을 깨는 단순하며 합리적인 생각이었다. 그리고 개방적이며 창의적으로 살며 새로운 취미와 연구를 즐겼다. 그는 지적으로는 이미 유목민적인 사고를 지녔다. 그래서 나노(nano) 시대를 예언했는지도 모른다. 그가 투바에 빠진 이유는 단순한 탐험가적 취미가 아니라 확연히 다른 방식으로 살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관심이었을 것이다. 지금 세계는 빠르게 바뀌고 있다. 이들 천재들은 유목민의 모습에서 수십 년 뒤 지구의 미래를 본 것은 아닐까?
초원은 창조력의 원천인 동시에 강대국들이 국력을 휘두르는 도구이기도 했다. 투바의 역사가 그를 증명한다. 투바는 13세기 몽골의 지배하에 들어갔으며, 청나라때는 중국의 판도에 편입되었다가 1911년에 독립할 수 있었다. 이후 다시 소련의 영토가 됐고, 지금은 강한 러시아의 상징이 되고 있다. 아직 중국이 투바에 대한 영유권을 공식적으로 러시아에 제기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최근 중국은 주변지역의 역사로 관심이 확장되고 있으니, 조만간 두 강대국 간 투바를 둘러싼 역사분쟁을 기대(?)해도 좋을 듯 하다.
강인욱 부경대 사학과 교수 |
중앙아시아의 숨겨진 투바공화국의 매력을 느끼길 바란다. 파인만과 아인슈타인이 초원에 매혹을 느낀 배경에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포용이었음도 기억해주시기 바란다.
'한겨레뿌리 > 순록민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카족 순록, 사슴1 (0) | 2015.02.22 |
---|---|
코리(Qori), 고리(槁離),고려(高麗)는 순록이다. (0) | 2015.02.21 |
만 -퉁구스 제 민족과 조선민족의 설화에서의 사슴의 상징적의미 (0) | 2015.02.21 |
순록치기 조선 단군 (0) | 2015.02.17 |
소욘족(鮮族), Chaatang 조선(朝鮮)은 순록치기 (0) | 201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