夫餘5 부여 황금문화 [발췌] [네이버 지식백과] 부여의 황금문화 (한국 고대문화의 비밀, 2012. 12. 27., 새녘출판사) 노하심 유적의 묘제와 출토 유물의 문화내용은 앞의 서차구 유적과 같은 계통의 문화로서 그 시기만을 달리하고 있다. 특히 서차구 유적과 노하심 유적에서 출토되는 유물의 종류와 문화내용은 다음과 같은 『삼국지』 동이전 부여조의 기사와 상당 부분 일치한다. “그 나라[부여]에서는 가축을 잘 기르며, 좋은 말과 붉은 구슬[적옥(赤玉)]·담비·아름다운 구슬[미주(美珠)]이 산출되는데, 구슬은 대추만하다. 그리고 활·화살·칼·창 등 병기를 사용하며 집집마다 각자 갑옷과 무기를 보유하고 있다.” 『삼국지』 동이전에는 계속해서 “부여는 금과 은으로 모자를 장식하였다[以金銀飾帽]”고 하였다. 그리고 『위서(魏書).. 2017. 4. 21. 동탄산 부여 금동 얼굴상 2점 조선총독부박물관이 1923년 구입한 부여의 금동 얼굴상. 길이 27.4cm 오른쪽은 중국 뤼순박물관에서 발견된 것으로 얼굴이 매우 닮았고 크기슨 17.9cm 로 약간 작다. 국립중앙박물관 김민구 교수 제공 ********************************************************************************************************************** "갸름하고, 찢어진 눈… 가장 오래된 韓國人 얼굴 찾았다" 허윤희 문화부 기자 E-mail : ostinato@chosun.com 입력 : 2014.09.05 05:38 美 미네소타大 김민구 교수 "2~3세기 夫餘 얼굴상 2점 확인" 머리에 상투 튼 모양… 귓불엔 귀고리용 구멍 뚫려 부여 2~.. 2017. 4. 20. 부여의 기원과 문제점 2 [퍼옴] 부여의 기원과 문제점 작성자 청초쪼꼬 2007.06.08. 17:19 http://blog.naver.com/tomorrowx 2. 부여의 세력권과 실체 (1)부여의 중심지와 세력권 부여의 문화의 기원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부여의 세력범위 및 위치설정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 중국 및 우리학계는 고고학적 발굴성과와 제 문헌사료 등을 참작, 부여의 초기 중심지를 길림시 일대, 더 구체적으로는 초기 부여의 왕성을 길림시 동단산(東團山)남성자(南城子)로, 그리고 기원후 4세기 이후의 부여 중심지역을 농안지방으로 파악하고 있다. 부여의 초기 중심지를 길림으로 비정한다는 전제 아래 기원후 3세기경까지의 부여의 세력권이 ‘약수’곧 제 1송화강(동류 송화강)을 그 북한(北限)으로 동으로는 장광재령, 서로는 이.. 2017. 4. 19. 부여의 기원과 문제점 [퍼옴] 부여, 고구려 고고학〉-부여문화의 원류와 서단산문화- 작성자 청초쪼꼬 2007.06.08. 17:19 http://blog.naver.com/tomorrowx 부여의 기원과 그 문제점 - 목 차 - Ⅰ. 머리말 Ⅱ. 부여의 기원 1. 부여에 주목해야하는 이유 2. 부여의 세력권과 실체 3. 서단산문화와 백금보(白金寶)-한서2기(漢書2期)문화 Ⅲ . 부여의 문화와 문제점 1. 고고학으로 알아보는 부여의 문화 2. 부여사 연구의 문제점 Ⅳ. 맺음말 Ⅰ. 머리말 집단에 있어 정체성(identity) 문제의 핵심은 동아리 내부의 동질성의 확인과 다른 집단과의 차별성을 인식함에 있다. 곧 그것은 우리의 남과 다름을 인식함과 다름 아니다. 그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움직임 속에서 고고학적 연구는 많은 자.. 2017. 4. 19. 부여의 기원과 문제점 3 [퍼옴] 부여의 기원과 문제점 (3) http://blog.naver.com/tomorrowx 작성자 : 청초쪼꼬 2007.06.08. 17:29 Ⅲ . 부여의 문화와 문제 1. 고고학으로 알아보는 부여의 문화 그렇다면 부여의 문화란 과연 어떠한 것일까. 전한 이후 부여인들이 남긴 문화는 서단산문화 다음에 나타나는 한 대문화이다. 그렇지만 부여문화의 실체는 1980 ․ 81년에 대규모로 발굴된 유수(楡樹)․ 노하심(老河深)문화에서 본격적으로 언급되기 시작하였다. 이곳에서 발견된 세 개의 층위 가운데 중층이 부여문화에 해당하는데, 장방형 수혈토광묘 129기와 마두 매장갱 1기, 유물 4200여 점이 발굴되었다. 또한 1985년 토광목곽묘(土壙木槨墓) 3기가 발견되고 1989년부터 본격적으로 발굴되기 시작한.. 2017. 4.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