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대아시아

프리기아 킴메르

by bobjyeon 2016. 1. 14.

기원전 2500년 전 흑해 북방에는 얌나(Yamna)문화라고 하는 문화가 출현했다. 이 문화를 향유한 자들은 인도유럽어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리고 이보다 조금 늦은 기원전 2300년 경에는 카타콤 문화가 출현했다. 카타콤이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문화는 이 시기 초원지대에서 자주 발견되는 무덤들에서 그 이름을 따온 것이다.
 그리고 후기 청동기 시대에 접어들면서 볼가강 하류를 중심으로 하는 스루브나 문화가 탄생했다. 현재 학계에서는 이 스루브나 문화와 킴메르족이 관련이 깊다고 보고 있다.  킴메르. 지금부터 가장 먼저 다뤄볼 자들이 바로 그들이다.


<최초의 유목민족. 킴메르족>


 킴메르 족에 대해서는 자료가 그렇게 많은 편이 아니다. 애초에 그들은 너무 일찍 나타나 상세한 기록이 남을 여지가 별로 없었다. 하지만 헤로도투스나 아시리아의 기록, 학자들의 연구 결과 등을 통해 그들의 역사는 나름대로 유추할 수 있다. 

 헤로도투스의 '역사'나 현대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킴메르는 기원전 1200년 경 우크라이나 일대에 출현한 인도-유럽어족 계통의 유목민들이다. 청동기를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이들은 이 지역에서 동물문양의 장식품 등을 만들면서 문화를 발전시켜나갔다. 이런 문화는 중국 상나라나 시베리아지역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렇게 이들은 청동기 문화를 발전시켜나갔지만 기원전 8세기 경에는 철도 어느 정도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할슈타트 문화(1)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들은 비슷한 시기 동쪽에서 밀려온 인도-유럽어족 계통의 스키타이족에게 밀려나고 말았다. 헤로도토스에 의하면 당시 킴메르족 내부의 상류층들은 스키타이와 싸울 것을 주장했고 백성들은 피난갈 것을 주장했는데 왕족들이 스키타이족과 싸우다 전멸하자 백성들이 왕족들을 묻어주고 남쪽으로 도주했다고 적고 있다. 

 이렇게 그들은 도주했다. 그들은 카프카스 산맥을 넘어 남쪽으로 내려갔고 길목에 있던 우라르투 왕국을 공격했다. 아시리아를 상대로 오랫동안 열심히 싸워왔던 우라르투지만 남쪽과 북쪽 양방향에서 밀려오는 적들을 당해내지 못한 우라르투는 결국 쇠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리고 방향을 서쪽으로 튼 킴메르족은 아나톨리아를 휩쓸기 시작했다. 이들은 프리지아를 파괴하고 리디아를 공격, 사르디스를 불태우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이런 킴메르족을 본 아시리아는 그들이 위험하다고 판단하였고, 마침 킴메르족을 추격하기 위해 스키타이족이 카프카스 산맥을 넘어오자,(2) 아시리아는 스키타이와 연합, 킴메르족을 협공하여 격파하였다. 이후 킴메르족은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1세의 베히스툰 비석에서 언급되는 것을 마지막으로 역사 속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들은 딱히 유명하지는 않고 역사에서 단지 최초의 유목민족 정도로 언급된다. 다만 하워드의 소설을 기반으로 1980년대 아놀드 슈워제네거 주연으로 만들어졌다가 다시 리메이크되어 2011년 개봉된 미국 영화 코난 더 바바리안의 주인공 코난이 킴메르족이라는 설정이 붙어있다고 한다

*************************************************************************************

‘미다스의 황금손’ 여기 잠들다

정수일의 실크로드 재발견 <44> 문명의 보고, 아나톨리아 문명

등록 : 20060817 21:08 | 수정 : 20060818 16:24

» 터키의 아나톨리아 문명박물관에 전시된 프리기아 왕국의 미다스 왕 밀납인형. 미다스 왕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유명한 ’황금손’과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전설의 주인공이다.

아라랏산 기슭 도우바야즈트에서 다음 목적지 앙카라로 가기 위해 반으로 되돌아와야 했다. 오후 3시20분, 반 공항에서 민항기를 탔다. 화산과 분지, 구릉과 초원이 뒤엉킨 아나톨리아 고원을 가로질러 1시간반만에 앙카라 국제공항에 안착했다. 터키공화국 수도이자 주도인 인구 약 350만(1999년)의 앙카라는 고원 중심부 교통요지다. 옛부터 인접 8개 주와 회랑으로 이어져 아나톨리아 문명의 구심점 구실을 해왔다.

앙카라란 지명은 그리스어로 ‘앙키라’인 ‘닻’이 여기서 발견되었다는 것과 연관 짓기도 한다. 하지만, 특산물인 털깎이용 염소 ‘앙고라’에서 유래됐다는 설이 좀더 신빙성이 있다.

기원전 8000년에 시작된 아나톨리아
헬레니즘보다 1600여년 앞선
세계 최초 동서융합문명
아시아와 유럽 잇는 지리적 위치로
찬란한 문화 꽃피워

기원전 2000년께 히타이트 시대부터 알려졌으며 기원전 750년께 세워진 프리가이 왕국 때 역사무대에 점차 등장하게 된다. 기원전 6~5세기, 아케메네스조 페르시아 시대 개통된 ‘왕의 길’(수도 수사에서 아나톨리아 사르디스까지의 2475km) 길목에 있던 앙카라는 교역도시로 떠올랐다. 기원전 3세기 전반에는 유럽으로부터 유입한 가르타(겔트) 일파가 세운 나라의 도읍이 됐다. 그 뒤부터 앙카라는 아나톨리아 반도와 운명을 같이하면서 로마 식민지를 거쳐 비잔틴 제국에 편입되었고, 11세기부터 투르크인들이 지배하는 셀주크·오스만 제국 치하에서 명맥을 이어갔다. 한때 일칸국 속주로 전락하고, 티무르의 핍박도 받았다. 1차 세계대전 뒤 독립 전쟁 근거지가 되고, 공화국 성립 뒤 수도로 선포되면서 그 면모를 더욱 일신했다.

한국전 희생된 넋들 기념탑에

이런 역사와 더불어 오늘날 앙카라는 아나톨리아 문명 전반을 보여주는 전시장 구실을 하고 있다. 일행도 그 흡입력에 끌려서 왔다. 8월20일, 우선 한국 공원에 있는 높이 9m의 4층짜리 ‘한국전쟁 참전토이기(터키)기념탑’에 들렀다. 서울-앙카라 자매결연을 계기로 1973년 11월, 1년여간 시공을 거쳐 세워진 탑이다. 옆에 관리사무소로 쓰는 한국식 6각 정자가 있었다. 이어 찾은 곳은 도심 울루스 지역에 있는 아나톨리아 문명박물관이다. 오스만 시대에 지은 앙카라성(히사르) 남쪽에 자리잡은 박물관은 원래 대상들의 숙박소였다가 15세기 귀금속 시장으로 쓰던 두 개 건물을 개축했다. 처음 히타이트 박물관으로 출발했으나 1968년 개축공사가 마무리되면서 지금 이름으로 바뀌었다. 중앙에 10개 돔 지붕을 인 건물의 대문, 입구는 검소하나 내부는 굉장하다. 구석기~근대의 귀중한 유물들을 다량 소장해 세계적인 박물관으로 평가받고 있다.

아나톨리아란 고대 그리스어의 ‘아나톨리코스’에서 나온 말로 ‘해 뜨는 곳’, 즉 ‘동방’이란 뜻이다. 지리적 범위는 터키와 에게해 연안 섬들, 이라크 북부 지역까지 포함한다. 동서 1600km, 남북 550km에 총면적은 78만㎢(남한의 약 8배)에 이른다. 그 중 97%는 아시아, 3%는 유럽에 속한다. 삼면이 바다로 에워싸인 반도이며, 오늘날 흔히 ‘소아시아’로 부른다. 이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반도에서 일어난 문명을 ‘아나톨리아 문명’이라고 하는데, 세계 문명의 보고로 인정받고 있다. 그 까닭을 박물관에서 확인해 보기로 하자.

아나톨리아 문명사는 대체로 6개 시대로 나눈다. 태동은 신석기-청동기 시대(기원전 8000~2000년)로 거슬러 올라간다. 콘야의 차탈 호육에서 출토된 기원전 5750년께의 지모신 좌상을 비롯해 하즈랄에서 발견된 기원전 5300년께의 각종 기하학 무늬 채도, 기원전 3000~2000년대 청동 순록상과 지름 6.5cm의 금제 팔찌 등은 유구한 문명상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그 다음 히타이트-프리기아 시대(기원전 2000~700년)는 아나톨리아의 첫 통일국가 히타이트 왕국이 출현해 문명의 원형이 이뤄졌다. 금제 인장과 환인(幻人)곡예(서커스)상, 유익인면상, 전차부조상, 각종 각배가 대표적 유물들이다. 200년간의 앗시리아 식민시대 유물로는 점토판 쐐기문자 등이 보인다. 히타이트는 대단히 강성한 나라로 말이 끄는 전차로 이집트 중왕국을 정복하고 100년간 지배했다. 그것이 계기가 되어 강력한 전쟁수단인 전차가 세계에 알려졌다. 그런가 하면 스키토-시베리아 문화에 딸린 중국 수원 청동기 문화 속에는 세형동검, 날개 두개 달린 화살촉 같은 동전한 히타이트 청동기 문화 흔적이 엿보이기도 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유명한 ‘황금 손’이나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전설(신라, 유고에도 비슷한 전설이 있음)의 주인공은 바로 프리기아 왕국의 미다스 왕이다.





우라루트-페르시아 시대(기원전 10세기~334년)에는 숱한 왕국들이 흥망을 거듭했다. 이 과정에서 동부 우라루트 왕국이 약 400년간 존속하면서 문명을 꽃피웠으며, 아케메네스조 아래서는 페르시아 문명의 영향을 받았다. 화려한 금제 단추와 향로, 금제 보석 장식물은 이 시대의 높은 예술성을 말해준다. 리디아 왕국은 세계에서 처음 금속 화폐를 주조했다. 기원전 세계를 마감한 헬레니즘-로마 시대(기원전 334~기원후 395년)에 아나톨리아는 헬레니즘 중심지로서 그리스-로마 문화뿐 아니라, 동방 문화의 영향도 받았다. 유리 그릇과 그리스 신상 부조물, 각종 금속 주화 등이 이런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 서구 기독교 문명이 동전한 비잔틴 시대(395~1071년)엔 기독교 유물들을 많이 남겨놓았다. 셀주크-오스만 터키 시대(1071~1922년)는 서구 기독교 문명을 대신해 동방 투르크인들의 이슬람 문명이 정착하면서 화려한 아랍-이슬람 예술을 수용하고 조화시킨 유물들이 특징적이다.

» 아나톨리아 문명은 신석기-청동기시대(기원전 8000~2000), 히타이트-프리기아시대(기원전 2000~700년),우라루트-페르시아 시대(기원전 10세기~334년),헬레니즘-로마 시대(기원전 334~기원후 395), 비잔틴 시대(395~1071), 셀주크-오스만 튀르크시대(1071~1922)로 대체로 6개 시대로 나누며 흔히 동서 융합문명의 효시라는 헬레니즘보다 무려 1600여년 앞선 인류 최초의 동서 용합문명이다. 터키 아나톨리아 문명박물관에 전시된 신석기-청동기 시대의 순록상(왼쪽)과 지모신 좌상(두번째). 히타이트-프리기아 시대의 곡예(서커스) 부조상(세번째)과 전차 부조상(맨 오른쪽).